덕산동대출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큐어 조회 18회 작성일 2023-07-21 20:10:59 댓글 0

본문

대출 창구서 퇴짜 놓는 'DSR 규제', 이렇게 뚫으세요! [대출규제 완화 발표 완벽정리]

대출 받을 수 있는 길이 확 넓어졌습니다.


#대출규제 #주택담보대출 #DSR #LTV
@jjkl1943 : dsr을 풀어줘야 그게 규제완화죠ㅡ
@samwonlee : 도움이 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
@user-ic5tr3fq3h : 항상 정확한소식 빠른 영상
감사합니다. 잘 챙겨보고있습니다.
건강ㅡ잘ㅡ챙기고계시지요~~
@realestatewaya : 정말 유용하니 좋네요
@user-ey3nu1sz4k : 무주택자들에게 만큼은 잔금대출같은것에 DSR을 좀 풀어줬으면 좋겠네요

불법 사금융 피해 급증...대부업 대출 주의사항은? / YTN

[앵커]
연체율 상승에 대출 문턱이 높아지면서 사금융으로 내몰리는 취약 차주가 늘고 있습니다.

불법 사금융 피해도 덩달아 급증하고 있는데, 이런 피해를 보지 않으려면 주의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이형원 기자입니다.

[기자]
저축은행 직원인 것처럼 전화해 '햇살론' 대출을 받아주겠다며 수수료를 챙기는가 하면,

[박 모 씨 / 피해자 (지난달) : 사기라고는 거의 인식을 못 하고, 어쨌든 대출이 나왔기 때문에 사기라고는 인식은 못 했죠.]

인터넷 카페에 소액 대출 광고를 올려 연 5,000% 넘는 이자를 뜯어내기도 했습니다.

[피해자 / 불법 사금융 조직원 대화 (지난달) : 연체료만 110만 원이라고요? 안돼요. 이건 너무 하잖아요. 이건 내 알 바 아니야. 네가 늦은 거니까 네가 알아서 해야지.]

모두 불법 대부업체에 당한 사례로, 이런 피해는 급증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불법 채권추심 관련 피해 상담·신고 건수는 1년 만에 두 배 가까이 늘었습니다.

[석병훈 / 이화여대 경제학과 교수 : 경기가 안 좋아지면서 (은행) 연체율이 증가해 상대적으로 신용도가 높은 고객들 위주로 대출을 실행하게 됐습니다. 신용도가 낮은 서민들은 어쩔 수 없이 불법 사금융업체로….]

금융당국이 대부업체 이용 때 주의사항을 당부하고 나선 이윱니다.

우선 대부업체를 이용하기 전 햇살론 같은 서민금융상품을 이용할 수 있는지 관련 센터에 직접 확인합니다.

이런 상품을 안내하며 수수료를 요구하는 전화가 온다면 절대 응해서는 안 됩니다.

또 등록 대부업체만 이용하고, 함부로 개인 정보를 넘겨서도 안 됩니다.

[신동호 / 금융감독원 민생금융총괄팀장 : 대출 과정에서 신체 사진, 지인 연락처, 휴대전화 애플리케이션 설치를 요구하는 업체는 모두 미등록 불법업체이므로 전화를 바로 끊으시고, 경찰 또는 금감원 1332에 즉시 신고해주시길 바랍니다.]

대출 조건을 꼼꼼히 확인하고, 연 20% 넘는 이자는 불법인 만큼 초과분을 요구하는 업체는 신고해야 합니다.

YTN 이형원입니다.


영상편집 : 김희정
그래픽 :홍명화




YTN 이형원 (lhw90@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307201709439833
▶ 제보 하기 : https://mj.ytn.co.kr/mj/mj_write.php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YTN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user-hl5rl1qp9r : 검찰은 뭐허나.... 자나....
@user-hm1yd7dd3p : 정부는 뭐하나.

은행채 늘며 대출금리 7% 코앞...언제쯤 내려오나 / YTN

[앵커]
기준금리는 다섯 달째 묶였는데 최근 대출금리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새마을금고 사태로 은행채 금리가 오른 데다 다음 주 미국이 금리를 더 올릴 거란 예상도 미리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

김지선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5대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7%를 눈앞에 두고 있습니다.

신규 코픽스 기준 주택담보대출 변동형 금리는 4.35∼6.96%.

기준금리 동결이 시작된 지난 2월보다도 상단이 높습니다.

은행이 자금을 조달하는 은행채 발행량이 늘면서 가격은 떨어지고 금리가 오르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번 달 들어 발행된 은행채는 이미 지난달의 68% 수준을 넘어서 당분간 상승 추세가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지난 5월부터 채권 발행 제한 물량이 풀린 데다 최근 새마을금고가 예금 인출 사태에 대응하려 보유한 채권을 내다 팔기 시작한 영향도 컸습니다.

다시 늘기 시작한 가계 대출에 갈수록 높아지는 연체율도 은행이 슬금슬금 금리를 올릴 수밖에 없는 이유입니다.

[이정환 / 한양대학교 금융경제학부 교수 : 은행신용위험지수라고 말씀드리고 있는데 그 지수 같은 것들이 올라가고 있는 상황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은행에서도 대손충당금을 많이 쌓는다든지 아니면 대출에 있어서 어떻게 보면 보다 엄격한 심사를 한다든지….]

다음 주 미국이 기준금리를 올릴 거란 전망도 시장에 미리 반영됐습니다.

주요국들이 다시 긴축에 나서는 상황에서 우리도 언제까지 동결할 수 있을지 장담하기 어려운 겁니다.

[이창용 / 한국은행 총재(지난 13일) : 미 연준은 8월에 회의가 없기 떄문에 7월에 결정하고 나면 다음번, 한 번 정도는 올리지 않겠나 생각하지만 두 번이 될 거냐는 게 시장의 관점이잖아요. 결국 9월 정도까지도 저희들이 지켜봐야 할 상황…]

경기침체 우려에 금리 인하 기대감이 한층 커졌지만 정작 시장금리는 오르면서 가계 빚 부담은 여전히 무겁기만 합니다.

YTN 김지선입니다.

영상편집 : 박정란
그래픽 : 지경윤




YTN 김지선 (sunkim@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307211831134886
▶ 제보 하기 : https://mj.ytn.co.kr/mj/mj_write.php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YTN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caesar580 : 원래 7% 이상이여야 정상인데 윤정부가 관치금융으로 찍어눌러논게 이제야 튀기시작한거임.
은행채 금리 올라가고 대출, 예금 금리 이제 팍팍 올라갈거임.
@usdkrw4131 : 왜 내려가야할까요 올라가야 할 시점입니다.
@user-ph1rc1vo2w : 아니 예금금리는 왜 계속 그대로고 대출금리만 예금금리 2배에 육박하냐 ? 진짜 나라에서 관리안하냐 ? 왜 예금금리를 못올리게 막는거야 ...이거 대출금리 올리라고 부채질하는게 얼마나 바보같은짓인줄아냐 ? 예대차이 이렇게나면 결국 국민들만 갈려나간다는건데..예금금리를 올려라
@user-pb8rm9gr3n : 대출금리7%인데빚내서집사는건 폭탄을안고뛰어드는거랑비슷 본인돈으로대출안받고집을구입해야됨
@kfckfc-tq3xe : 왜 금리가 내려가야 하냐????
팍팍 좀 올라라 쭉쭉‥
서민들 은행 이자 좀 받아먹자

... 

#덕산동대출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3,354건 444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www.uljinpension.kr. All rights reserved.  연락처 : cs@ep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