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석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구라 조회 14회 작성일 2023-11-14 08:09:27 댓글 0

본문

[용산구] 역사문화표석, "이대로 괜찮나"

【 스튜디오 】
앵커: 계속해서
역사문화표석과 관련해
취재기자와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이재용 기자, 어서 오시죠.

질문 1)
앞선 리포트를 보니
이봉창 집터 표석에 대해
사람들이 잘 모르는 거 같습니다?

【 스튜디오 】
기자: 네. 그렇습니다.
서울시는 33년 전부터
역사와 학술적 가치가 있는
유적 터에 역사문화표석을
설치해 왔는데요.
그러다 보니 현재 317개의 표석이
서울시 곳곳에 설치돼 있습니다.

【 VCR 】- 표석과 온라인 스케치
기자: 하지만 표석의 위치를
알려주는 안내 시설이
현장엔 전혀 없다 보니
눈엔 잘 띄지 않는 상황이고요.
서울형 지도태깅 공유마당에서만
표석에 대한 위치나 문안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이봉창 집터 표석과 같이
등록되지 않은 경우엔
온라인에서조차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가 없습니다.

【 스튜디오 】
기자: 주변에 역사문화표석이 있어도
지역 주민들조차 모르는 경우가
허다한 이윱니다.

질문 2)
현장에 표석의 위치를 알려주는
안내판을 만들면 되지 않나요?

【 스튜디오 】
기자: 그런 의견에 대해
서울시도 공감하는 분위긴데요.
문제는 사료 고증을 통해
표석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는 겁니다.
이럴 경우 설치한 안내판 역시
철거와 재설치가 반복될 수밖에 없는데요.
이런 문제를 고려해
서울시는 내년 연말까지
사료조사를 마치는대로
각 지자체별 홍보 관광 안내물에
표석 정보가 실리는 안을
검토하겠다는 입장입니다.

질문 3)
표석을 만들고 알리는 건 좋은데
관리는 누가 하나요?

【 스튜디오 】
기자: 표석 관리는
각 자치구에서 맡고 있는데요.

【 CG IN 】백 스크린
기자: 판석형을 비롯해
탁자형과 원통형, 사각기둥형,
기본형, 장소친화형, 기능특화형으로
표석 종류가 다양한데다,
설치된 위치도 제각각이다 보니
여러 사건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 CG IN 】

【 스튜디오 】
기자: 도로 옆에 설치된 표석 중엔
주행 중이던 차량이 들이받아
파손된 사례도 있고요.
아예 표석이 없어진 경우도 있는데요.
각 자치구에선 주기적인 순찰을 통해
표석의 상태를 점검하고 있고요.
버려진 담배꽁초나 쓰레기 등은
기존의 청소인력을 통해 치운다고 합니다.

질문 4)
서울시에선 표석을 관리하는
해당 자치구에 어떤 지원을
하고 있습니까?

【 스튜디오 】
기자: 서울시 한 관계자는 아직까지
표석을 설치하는 것 말고
관리에 대한 지원은 없었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전체 표석 수 중
절반 이상이 모여있는 종로구의 경우엔
지원 대책이 필요해 보인다고 답했습니다.
때문에 공공근로를 활용해
표석 관리를 지원하는 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이런 지원 대책도 좋지만
서울 시내에 사라진 문화유산의 터나
역사적인 사건 현장을 기억하고
기념하기 위해 표석을 세운 만큼
우리 모두가 좀 더 관심을 갖고
관리에 신경쓸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 스튜디오 】
앵커:
행정적인 보완도 필요하지만
개개인의 관심도 있어야 겠군요.
이 기자
오늘 얘기 잘 들었습니다.

#서울시 #역사문화표석 #317개 #파손 #분실 #관리 #자치구 #순찰 #지원대책

서울경기케이블TV 이재용 기자 /
sports88@dlive.kr

#6. PlayStation® 유저 인터뷰 표석 편

주말에도 봉사활동 하시고
좋은 일 하는 분들이 많은데
제가 당첨된 것은 그저 운이 좋았다고 생각합니다.

지난 12월 진행한 페이스북 10만 팔로워
사연 이벤트 당첨자 '표석' 님의
진솔한 이야기를 영상으로 만나보세요.
@user-gg3kw6rs6k : 아주 공정하게 추첨하는 플스 당신은 정말...
@jjjjaehun : 이 분 결국 받으셨구나~~ 축하드려요
@zetagundal : 받을만한 분이 받으셨군요.
@user-rh4zm5tc6i : 참 잘했어요~~
@kgh6378 : 잘 쓰이길~

[서울 표석]1.육군무관학교

육군무관학교(陸軍武官學校) 또는 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는 대한제국의 육군 장교 양성 기관. 한국육군무관학교로도 불린다.1896년 1월 설치되었으나 아관파천으로 인해 불과 5명의 졸업생만을 배출하고 문을 닫았다가 대한제국 수립 이듬해인 1898년에 신식 장교를 양성하기 위해 다시 설치되었다. 1907년의 대한제국 군대 해산 후에도 남아 있다가 1909년 폐교되었다.
출처 : 위키백과

... 

#표석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3,354건 402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www.uljinpension.kr. All rights reserved.  연락처 : cs@ep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