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루폰입사
페이지 정보
본문
대한민국 3대 커머스, 그루폰의 탄생과 퇴장 (잡플래닛 황희승 대표)
* 풀버젼 링크:
* 촬영일: 2023년 3월 14일
* 출연신청 \u0026 제휴 및 광고문의 : ssid@dpnstud.io
* 이 영상은 투자판단에 대한 조언일 뿐, 투자에 대한 가치 상승하락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KISTEMP2022 : 세계 최고의 회사 잡플래닛
잘나가던 그루폰은 왜 갑자기 사라졌을까? 그루폰이 망할수 밖에 없었던 이유 I 이미준 2부
이미준, 대한민국 이커머스의 역사
http://bit.ly/3gk7zmt
♣ 문의 : the_capitalist@naver.com
자기계발 책을 자세하게 강의하는 책리뷰 채널
https://www.youtube.com/c/북슐랭가이드
[소셜리T] 티켓몬스터, 그루폰에 재매각! 소셜 커머스 시장 판도는?
국내 대표적인 소셜커머스 회사인 '티켓몬스터'가 미국 소셜커머스 1위 업체인 '그루폰'에 재매각됐습니다. 이미 2011년 8월에 티켓몬스터를 인수한 미국 업체 '리빙소셜'이 수익성 악화 등을 이유로 티켓몬스터를 내놓고 2년만에 한국 시장에서 철수했기 때문입니다.
이로써 티켓몬스터는 그루폰의 100% 자회사가 되었습니다. 지난 12일 한국을 방문한 그루폰 대표 에릭 레프코프스키는 "서양 격언에 '적을 쓰러뜨리지 못하면 친구가 되라'는 말이 있다"면서 "그루폰이 한국에선 후발 주자일 뿐이고 국내 업체들의 놀라운 성장세 탓에 따라잡기가 불가능해 보여 이번 M\u0026A를 진행했다"고 밝혔는데요.
한국은 전세계 E커머스 시장 중 4번째로 큰 시장입니다. 특정도시에 인구가 밀집돼 있고 OECD 평균치 2배를 넘는 자영업자 비율을 보이는 등 소셜커머스 비즈니스 모델에 매력적인 시장이라는 분석이 많습니다. 이번 인수를 두고 그동안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시장에서 전체 매출의 10%에 그치고 있었던 그루폰이 티몬을 인수하면서 본격적으로 아시아 시장을 공략하겠다는 뜻으로 해석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소셜에서는 다양한 의견이 오고 갔습니다. 티몬의 회사 매각 능력에 대해 놀라움을 보이는 의견이 있는가 하면 먹고 먹히기를 반복하는 스타트업들에 대한 자조 섞인 의견이 나타나기도 했습니다. 또한 소셜커머스가 말그대로 소셜을 활용한 마켓이라기 보다는 사실상 기존의 오픈 마켓과 차별점이 드러나지 않는다는 점을 꼬집는 의견도 있었습니다. 최근들어 TV 광고와 온라인 광고에 집중하는 소셜커머스 업체들의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고 있는 것을 보면 뚜렷한 성장 모델을 갖고 있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는 의견들도 있습니다.
일각에서는 보다 더 정교한 제품 추천 서비스와 가격의 신뢰성 등을 바탕으로 한 소비자와의 지속적인 소통이야 말로 진정한 소셜커머스의 방향이라고 제시하기도 합니다.
소셜 속의 주요 이슈를 분석하고 다양한 의견을 살펴보는 T타임의 코너 '소셜리T', 이번 시간은 티켓몬스터 재매각에 따른 소셜커머스 시장의 변화를 살펴봅니다. 김덕진 소셜분석 컨설턴트와 함께 합니다.
* 풀버젼 링크:
* 촬영일: 2023년 3월 14일
* 출연신청 \u0026 제휴 및 광고문의 : ssid@dpnstud.io
* 이 영상은 투자판단에 대한 조언일 뿐, 투자에 대한 가치 상승하락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KISTEMP2022 : 세계 최고의 회사 잡플래닛
잘나가던 그루폰은 왜 갑자기 사라졌을까? 그루폰이 망할수 밖에 없었던 이유 I 이미준 2부
이미준, 대한민국 이커머스의 역사
http://bit.ly/3gk7zmt
♣ 문의 : the_capitalist@naver.com
자기계발 책을 자세하게 강의하는 책리뷰 채널
https://www.youtube.com/c/북슐랭가이드
[소셜리T] 티켓몬스터, 그루폰에 재매각! 소셜 커머스 시장 판도는?
국내 대표적인 소셜커머스 회사인 '티켓몬스터'가 미국 소셜커머스 1위 업체인 '그루폰'에 재매각됐습니다. 이미 2011년 8월에 티켓몬스터를 인수한 미국 업체 '리빙소셜'이 수익성 악화 등을 이유로 티켓몬스터를 내놓고 2년만에 한국 시장에서 철수했기 때문입니다.
이로써 티켓몬스터는 그루폰의 100% 자회사가 되었습니다. 지난 12일 한국을 방문한 그루폰 대표 에릭 레프코프스키는 "서양 격언에 '적을 쓰러뜨리지 못하면 친구가 되라'는 말이 있다"면서 "그루폰이 한국에선 후발 주자일 뿐이고 국내 업체들의 놀라운 성장세 탓에 따라잡기가 불가능해 보여 이번 M\u0026A를 진행했다"고 밝혔는데요.
한국은 전세계 E커머스 시장 중 4번째로 큰 시장입니다. 특정도시에 인구가 밀집돼 있고 OECD 평균치 2배를 넘는 자영업자 비율을 보이는 등 소셜커머스 비즈니스 모델에 매력적인 시장이라는 분석이 많습니다. 이번 인수를 두고 그동안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시장에서 전체 매출의 10%에 그치고 있었던 그루폰이 티몬을 인수하면서 본격적으로 아시아 시장을 공략하겠다는 뜻으로 해석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소셜에서는 다양한 의견이 오고 갔습니다. 티몬의 회사 매각 능력에 대해 놀라움을 보이는 의견이 있는가 하면 먹고 먹히기를 반복하는 스타트업들에 대한 자조 섞인 의견이 나타나기도 했습니다. 또한 소셜커머스가 말그대로 소셜을 활용한 마켓이라기 보다는 사실상 기존의 오픈 마켓과 차별점이 드러나지 않는다는 점을 꼬집는 의견도 있었습니다. 최근들어 TV 광고와 온라인 광고에 집중하는 소셜커머스 업체들의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고 있는 것을 보면 뚜렷한 성장 모델을 갖고 있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는 의견들도 있습니다.
일각에서는 보다 더 정교한 제품 추천 서비스와 가격의 신뢰성 등을 바탕으로 한 소비자와의 지속적인 소통이야 말로 진정한 소셜커머스의 방향이라고 제시하기도 합니다.
소셜 속의 주요 이슈를 분석하고 다양한 의견을 살펴보는 T타임의 코너 '소셜리T', 이번 시간은 티켓몬스터 재매각에 따른 소셜커머스 시장의 변화를 살펴봅니다. 김덕진 소셜분석 컨설턴트와 함께 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