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남도지도
페이지 정보
본문
충청남도 행정구역 변화 (1945년-2021년)
지도로 보는 충청남도의 행정구역 (시·군) 변화입니다.
파란색은 시, 빨간색은 군을 나타냅니다.
일부 번지 단위의 관할구역 변경은 생략되었습니다.
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TV-cc6oe : 데이터다람쥐님 화이팅
@user-px2dq5tg9o : 안녕하세요 저는 선플달기 운동을 하고 있는 고운초등학교 5학년 학생입니다 저는 평소 데이터 다람쥐님 영상을 챙겨보는데요
어떻게 이런걸 조사하는지 신기하네요 앞으로도 데이터 다람쥐님 영상 많이 챙겨 볼께요~
그리고 서산,태안쪽에 땅이 늘어나는 것도 잘 표현 하셨네요 이런 디테일 한 부분까지 살려주시니 좋아요 앞으로도 이런 영상 많이 올려주시고
항상 응원 합니다!
@ryan.eagles : 온양과 대천이 1986년에 시로 승격되었으나 1995년 도•농복합시로 군명칭인 아산시와 보령시로 각각 승격되면서 없어졌지만 현재는 행정동이라는 명칭이 붙게 되었네요(아산: 온양1~6동, 보령: 대천1~5동)
@user-qc6cj7zn4e : 추풍령이 조령 죽령에 상대적으로 고개가 낮아서 경부선이 대전쪽으로 가게되서 대전이 경부선과 호남선이 분기해서 만나는 지역이 되었고 공주에서 도청까지 가져와서 커지게 되었죠
@JS-uj3kq : 볼때마다 느끼는데 항상 행정구역들이 1995년 도농복합시통합으로 많이 바뀌네요 :) 언제나 잘 보고 갑니다
동그라미로 보는 충청남도 시군별(+대전, 세종) 인구 변화 (1966-2019)
1966년 부터 2019년 3월까지의 충청남도 시군별 인구변화 입니다.
자료출처: KOSIS(통계청, 인구총조사), 2019.4.20.,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 2019.4.20.
영상: 데이터다람쥐
Track: Weero \u0026 Mitte - Our Dive [NCS Release]
Music provided by NoCopyrightSounds.
Watch:
Free Download / Stream: http://ncs.io/OurDiveYO
@HelloCN_Official : 30년전 충남에는 태안이 없었다??
(데이터다람쥐X충남방송 콜라보)
@skskfdl133 : 매번 인구 관련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재미있게 잘 보고 있어요~~
@DataSquirrel : 오류 수정후 재업로드 했습니다.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whoau2149 : 대전 사람이라 편파적으로 보는걸수도 있지만...세종은 대전 사람들이 이동한 걸로 커진 것 같네요... 원래 계획과는 다르게 서울, 수도권에서의 이주는 미미하구요. 한편으론 그만큼 대전의 이주 방어 정책이 효과가 없었다는걸 뜻하기도 하네요. 대전시도 긴장하고 세종에 마냥 내줄께 아니라면 정신 차립시다.
@recommendexperiment : 세종 나오기 전만 해도 아산이 가장 빠르게 증가하는 곳이었는데 갑자기 나타난 세종 놀랐다.
아산보다 많게 뛰어 넘었네
생긴 거랑 다르게 노는 지역명, 왜 이런 걸까?|크랩
#크랩 #충청도 #인천
지도를 볼 때면 고개가 절로 갸우뚱해지는 충청도와 인천. 분명 좌우로 뻗어있는 충청도가 왜 북도/남도로 나뉘는지, 또 인천은 동구/서구/남구 등 자치구 이름과 위치가 왜 이리 따로 노는지에 대해 의문인 사람이 여럿 있었는데요! 크랩이 한 번 알아보았습니다!
구성 서연주 인턴
촬영 박도훈
편집・디자인 김진배
@heilmetropolis8144 : 황해도도 동서로 나누어져 있지만 황해남북도라고 부르고, 좌우도 행정구역 편제 당시 함길도(함흥+길주와 합친 도이자 지금의 함경도)는 예외로 남북으로 나누어 되었고 평안도는 3개 도(평안좌•중•우도)로 나뉘었죠. 여담으로 옛 중국의 왕조 역시 수도의 위치에 따라 나라의 국호를 다르게 부르는데 동진/서진, 북송/남송 이렇게 부르기도 했습니다.
@TheEdel-kx6mj : 동인천도 인천의 동쪽이 아니라 당시 인천시청(현 중구청)의 동쪽에 있어서 동인천이라 부른 겁니다
현재 인천 구들 중에 위치가 맞는 건 그나마 서구가 유일합니다
또 행정구역 개편을 해서 연수구와 송도구(송도국제도시)로 나누는 것도 필요해 보입니다
(송도국제도시와 연수구청은 거리가 꽤 있는 편)
@Lee.Hae_Jun : 광주광역시도 1988년 광산구가 광주로 편입되면서 서구가 약간 방위 개념상 광산구가 서구같고 되려 서구는 중구로 바뀐 느낌이 있더라고요
물론 광산구를 배제하고 보면 동서남북구가 잘 잡혀있지만
@jinhopark4683 : 몇 달 전부터 이게 엄청 궁금했었는데 유튜브 영상 알고리즘에서 어쩌다가 나타나서 보게 되었는데 이 영상 덕분에 궁금증이 풀렸어요! 좋은 정보 감사해요
@leebukhan7436 : 저도 하나의 추측이긴하지만 한국 뿐만 아니라 다른 곳 특히 항해나 걷기로 지도를 완성 시키던 나라들에서는 저러한 오류가 발견이 되는데 그거를 오늘날에 와서 고치는 경우가 꽤 있었습니다. 즉 정확한 좌표의 개념이 생성되기 이전이라 어림짐작으로 만들어 졌던 것은 아닐까 하네어.
지도로 보는 충청남도의 행정구역 (시·군) 변화입니다.
파란색은 시, 빨간색은 군을 나타냅니다.
일부 번지 단위의 관할구역 변경은 생략되었습니다.
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TV-cc6oe : 데이터다람쥐님 화이팅
@user-px2dq5tg9o : 안녕하세요 저는 선플달기 운동을 하고 있는 고운초등학교 5학년 학생입니다 저는 평소 데이터 다람쥐님 영상을 챙겨보는데요
어떻게 이런걸 조사하는지 신기하네요 앞으로도 데이터 다람쥐님 영상 많이 챙겨 볼께요~
그리고 서산,태안쪽에 땅이 늘어나는 것도 잘 표현 하셨네요 이런 디테일 한 부분까지 살려주시니 좋아요 앞으로도 이런 영상 많이 올려주시고
항상 응원 합니다!
@ryan.eagles : 온양과 대천이 1986년에 시로 승격되었으나 1995년 도•농복합시로 군명칭인 아산시와 보령시로 각각 승격되면서 없어졌지만 현재는 행정동이라는 명칭이 붙게 되었네요(아산: 온양1~6동, 보령: 대천1~5동)
@user-qc6cj7zn4e : 추풍령이 조령 죽령에 상대적으로 고개가 낮아서 경부선이 대전쪽으로 가게되서 대전이 경부선과 호남선이 분기해서 만나는 지역이 되었고 공주에서 도청까지 가져와서 커지게 되었죠
@JS-uj3kq : 볼때마다 느끼는데 항상 행정구역들이 1995년 도농복합시통합으로 많이 바뀌네요 :) 언제나 잘 보고 갑니다
동그라미로 보는 충청남도 시군별(+대전, 세종) 인구 변화 (1966-2019)
1966년 부터 2019년 3월까지의 충청남도 시군별 인구변화 입니다.
자료출처: KOSIS(통계청, 인구총조사), 2019.4.20.,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 2019.4.20.
영상: 데이터다람쥐
Track: Weero \u0026 Mitte - Our Dive [NCS Release]
Music provided by NoCopyrightSounds.
Watch:
Free Download / Stream: http://ncs.io/OurDiveYO
@HelloCN_Official : 30년전 충남에는 태안이 없었다??
(데이터다람쥐X충남방송 콜라보)
@skskfdl133 : 매번 인구 관련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재미있게 잘 보고 있어요~~
@DataSquirrel : 오류 수정후 재업로드 했습니다.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whoau2149 : 대전 사람이라 편파적으로 보는걸수도 있지만...세종은 대전 사람들이 이동한 걸로 커진 것 같네요... 원래 계획과는 다르게 서울, 수도권에서의 이주는 미미하구요. 한편으론 그만큼 대전의 이주 방어 정책이 효과가 없었다는걸 뜻하기도 하네요. 대전시도 긴장하고 세종에 마냥 내줄께 아니라면 정신 차립시다.
@recommendexperiment : 세종 나오기 전만 해도 아산이 가장 빠르게 증가하는 곳이었는데 갑자기 나타난 세종 놀랐다.
아산보다 많게 뛰어 넘었네
생긴 거랑 다르게 노는 지역명, 왜 이런 걸까?|크랩
#크랩 #충청도 #인천
지도를 볼 때면 고개가 절로 갸우뚱해지는 충청도와 인천. 분명 좌우로 뻗어있는 충청도가 왜 북도/남도로 나뉘는지, 또 인천은 동구/서구/남구 등 자치구 이름과 위치가 왜 이리 따로 노는지에 대해 의문인 사람이 여럿 있었는데요! 크랩이 한 번 알아보았습니다!
구성 서연주 인턴
촬영 박도훈
편집・디자인 김진배
@heilmetropolis8144 : 황해도도 동서로 나누어져 있지만 황해남북도라고 부르고, 좌우도 행정구역 편제 당시 함길도(함흥+길주와 합친 도이자 지금의 함경도)는 예외로 남북으로 나누어 되었고 평안도는 3개 도(평안좌•중•우도)로 나뉘었죠. 여담으로 옛 중국의 왕조 역시 수도의 위치에 따라 나라의 국호를 다르게 부르는데 동진/서진, 북송/남송 이렇게 부르기도 했습니다.
@TheEdel-kx6mj : 동인천도 인천의 동쪽이 아니라 당시 인천시청(현 중구청)의 동쪽에 있어서 동인천이라 부른 겁니다
현재 인천 구들 중에 위치가 맞는 건 그나마 서구가 유일합니다
또 행정구역 개편을 해서 연수구와 송도구(송도국제도시)로 나누는 것도 필요해 보입니다
(송도국제도시와 연수구청은 거리가 꽤 있는 편)
@Lee.Hae_Jun : 광주광역시도 1988년 광산구가 광주로 편입되면서 서구가 약간 방위 개념상 광산구가 서구같고 되려 서구는 중구로 바뀐 느낌이 있더라고요
물론 광산구를 배제하고 보면 동서남북구가 잘 잡혀있지만
@jinhopark4683 : 몇 달 전부터 이게 엄청 궁금했었는데 유튜브 영상 알고리즘에서 어쩌다가 나타나서 보게 되었는데 이 영상 덕분에 궁금증이 풀렸어요! 좋은 정보 감사해요
@leebukhan7436 : 저도 하나의 추측이긴하지만 한국 뿐만 아니라 다른 곳 특히 항해나 걷기로 지도를 완성 시키던 나라들에서는 저러한 오류가 발견이 되는데 그거를 오늘날에 와서 고치는 경우가 꽤 있었습니다. 즉 정확한 좌표의 개념이 생성되기 이전이라 어림짐작으로 만들어 졌던 것은 아닐까 하네어.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