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의학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보라 조회 6회 작성일 2024-01-04 20:21:56 댓글 0

본문

넷플릭스? 영화광? 영상의학과란 무엇인가

#영상의학과 #영상대감
#전공소개영상
@rmaekrxj : 비의료인들 주로 수험생들을 위한 영상이니
의학적 내용이 다소 틀리더라도 감안해주시고 봐주세요 ㅎㅎ
쉽게 설명하다보니 약식으로 대충 뭉뚱그려 설명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영상의학과는 판독 + 인터벤션 일을 하시는 분들입니다.
영상의학과 판독이 없으면 수술을 들어가지 못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내과나 외과처럼 사람을 다이나믹하게 살리지 않는 것 같으면서도
다이나믹하게 살리는 역할(인터벤션)도 합니다.
환자 안봐서 인기가 없을 것 같은데
환자 안봐서 인기가 많기도 한 전공입니다.

제가 걷지 못한 전문의라는 길을 걸으신 모든 분야의 전문의 선생님들을 존경합니당.
사실 어떤 전공이라도 다 넓은 의미로 사람 살린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user-qi3mk4nr1g : “의학이란게 참 무식이 용감입니다.”
너무너무 공감..
@user-bp4pv4fc2w : 2:00 와..연기력 인정..똑같아요!!ㅋㅋㅋ
@user-qv7kc6mr7m : 영상의학과~~
새롭게 보입니다~~^^
모든 의느님들 존경합니다~~^^
금닥터님도 좋은 의사가 될것같아요
화이팅^^
@user-rb2fk6mk8w : 제가 신청했던 주제인데 우연일지라도 너무 신기하네요ㅎㅎ

건강검진, 진짜 솔직하게 까발립니다 (김윤수 영상의학과 전문의)

언더스탠딩 문의 : gygesring@naver.com
3분만에 글로 읽는 "삼프로TV 하이라이트".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ckbriefing/news
중국 전문가 이철 박사의 섬뜩한 경고. “달라진 중국 달라질 중국”
https://apps.3protv.com/3pro/home/lecture/159
@Doctorinside : 안녕하세요 여러분. 영상에 출연한 닥터인사이드 김윤수입니다.
이번에 좋은 기회로 언더스탠딩에 출연하게 되어 너무 영광이었습니다.
두 진행자분들 덕분에 정말 재미있게 웃으면서 촬영을 할 수 있었어요!

여러분들도 이 영상 보시고 건강관리를 하시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ㅎ
연말 마무리 잘 하시고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Jay-oc1ol : 뇌 MRI, MRA 얘기를 들으니 30대에 먼저 하늘로 간 동료가 생각나네요. 쓰러지기 몇 주 전에 기면증과 비슷하게 잠이 통제가 안 되어 갑자기 몰려오는 증상이 있고 머리가 무겁다고 해서 다들 병원에 가서 검사해보라고 독촉했어요. 병원에 가서 MRI 검사 및 수면다원검사 등을 받고 왔는데, 별다른 소견이 없었다며 일상을 이어갔습니다. 증상은 사라지지 않았고, 어느 날 집에서 동생과 식사를 하다가 갑자기 쓰러졌다는 연락을 받았습니다. 바로 병원으로 이송되었으나, 한 달동안 중환자실에 있다가 세상을 떠났습니다. 얘기를 들으니 뇌혈관 기형이 있어 MRA 검사로 찾을 수 있는 문제였는데 놓친 듯 하다고 하더군요. 함께 창업하고 두어달만에 떠난 친구라 10년이 지난 지금도 미안함과 안타까움으로 '그 때 좀 더 검사를 이것저것 꼼꼼하게 했는지 물어볼 걸'이라는 생각이 문득문득 떠오릅니다.
@user-fb8nj6jb1k : 매우 유익한 내용이었습니다. 건강검진전 여기저기 알아보느라 힘들었는데 정리가 꽤 됩니다. 덧붙여 매번 편안하고 재밌게 들을수있게 해주시는 두분의 아재(개그)진행자께도 감사드립니다
@user-ky9kc9gd2g : 우린 참으로 편리한 세상에 살고있다는걸 새삼 느끼며
속시원하게 긁어주신 이프로님 !!
솔직하게 까발려주신? 선생님 모두들 수고하셨구요
이렇게 유익한내용을 거실에서 손가락만 까딱,움직여 시청할수있다는것에 새삼
감사하고,
언더스텐딩~~
100만까지 응원합니다.
@user-is7go5ge6p : 언더스텐딩이 늘 발전하시길 바랩니다. 정직한 좋은 정보 주신 김윤수 선생님께 감사드립니다

영상의학의 역사와 역할의 이해, 비의료인을 위한 영상의학 진단 기법 소개, 영상진단과 중재시술 설명

2023년 2학기 울산대학교 대학원 강좌 ’질병의 이해와 미충족 의료수요’의 영상의학 소개 강의

강의: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영상의학과 이덕희 교수
Lecturer: Prof. LEE Deok Hee, Department of Radiology, Asan Medicaㅣ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의생명, 의공학 분야 석박사 과정 대학원 학생들을 위한 영상의학과 전반에 대한 설명을 담고 있습니다. 전체 3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1 부. 영상의학과와 영상의학의 발전의 역사
2부. 각 영상 검사 기법의 기본 원리 소개
3부. 영상 기반 중재 시술의 원리 소개

의과학 분야 학생, 연구자 분들의 영상의학 분야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만들어진 강의 영상입니다.
의료인이면서 영상의학과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가 필요한 분들에게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강의 목표
1. Understand the role of radiology in clinical practice
2. List radiologic studies and explain basic principle of each modality
3. List some keywords in radiology imaging
4. Understand basic principles of image-guided interventional procedures
5. List basic interventional devices

강의 중에는 서울아산병원 유튜브 채널을 다수 인용 하였으며, 그 자료의 링크는 다음과 같습니다.

1. CT:

2. 투시조영술 1)식도조영술:

3.초음파검사:

4.MRI:

5.혈관조영술:


강의 평가 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List 5 representative imaging modalities in radiology.
2. What is contrast media in radiology imaging?
3. List 3 orthogonal imaging planes.
4. Explain the difference between radiograph and radiography.
5. What does PACS stand for?
6. What is a field of radiology doing procedure under image guidance?
7. Name two representative arterial access sites for vascular procedures.
8. What does DSA stand for?
9. Explain the difference between revascularization and embolization.


자료 : NIDD 랩
영상 편집: 더랩291
https://www.thelab291.com

영상의학,방사선과,방사선학,radiology
@hjpark87 : 안녕하십니까 호흡기내과 20215705 박형준입니다. 강의 잘 들었습니다.
호흡기내과로 영상의학과와 평소 많은 컨택을 하고 있었지만, 다시한번 정리하는 마음으로 교수님 수업 잘 들었습니다.
최근, 영상의학과에서 딥러닝을 이용한 많은 연구들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단순히 영상의 진단을 넘어서 앞으로는 예후나 환자 치료에도 영향을 주는 부분들에 대하여
연구들이 더 필요할 수 있는데요 혹시 이런 부분에 대해서 앞으로 계획이 있으실지 여쭙습니다. 감사합니다.
@seungminryu3121 : 안녕하세요, 의공학과 20215691 류승민 입니다.
강의는 들었는데, 질문을 남기는 것을 깜빡했습니다. 죄송합니다.
영상의학과 라는 과목에 대해 전반적으로 한번 이해해볼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 되었습니다.
의료 영상이 점점 radiation을 줄어드는 방법으로 발전했다고 생각을 합니다. 강의에도 나왔지만,
radiation을 줄이기 위해서 apron등을 입기도 한다고 강의에서 봤습니다.
환자는 검사를 한번 받으면 끝나지만, 영상의학 관련 의료인들은 계속 radiation을 받을거라 생각되는데
의료인들이 지속적인 radiation의 노출로 부터 보호하는 방법들이 어떤 것 들이 고안되어 있는지 궁금합니다.
@jmellow312 : 안녕하세요 의과학과 20195385 김지민입니다. 공지를 뒤늦게 확인하여 오늘 영상을 시청하였는데 의료 영상기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CT와 MRI를 1:1로 비교하기는 어렵지만 CT 상에서는 관찰이 힘든 연부조직의 이상 등을 MRI 상에서 관찰 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유용하다는 내용을 새로 알게되었습니다. 그리고 자기장을 이용하는 기계인 만큼 금속을 착용하거나 금속성 의료기기가 삽입되어있는 경우 사용이 어려울 수 있다는 내용을 담고 있어, 최근 산소통을 주변에 두고 MRI 촬영을 한 환자에게 산소통이 빨려들어가 숨지게 되었다는 기사가 생각이 났습니다.
그렇다면 환자에게 산소공급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촬영을 진행해야한다거나 금속성 의료기기를 착용한 경우 MRI 이용 할 수 있는 방법은 아예 없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다른 영상이나 자료들을 검색해봤을 때 금속성 의료기기는 고장이나거나 심한 경우 뚫고 나오는 경우까지 있다고 하는데, 산소통의 경우 일정 거리를 유지하면 사용이 가능 한 것일까요?
아직 영상기법에 대해서는 아는 지식이 많지 않아 단순한 질문인 듯 하여 죄송합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sjk7890 : 의과학과 박사과정 20215624 김수진입니다. 공지를 늦게확인하여 죄송합니다. 강의 덕분에 영상의학에 대해 잘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강의를 듣고 질문을 남깁니다. 초음파의 경우 음파의 반사를 이용하는 원리인데, 요즈음은 특히 심장 초음파시 컬러 초음파를 이용하여 진단하는 경우도 많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때, 동맥혈과 정맥혈을 초음파로 어떻게 구분하는지 원리가 궁금합니다. 또, 뇌의 revascularization 등은 혈관조영을 이용해 스텐트 시술을 진행할텐데, 이후 경과관찰을 위해 MRI 촬영을 동반한다면 금속성 스텐트에 대한 문제는 촬영시 어떻게 해결하시는지 궁금합니다.
@user-sq1ku4fm3v : 안녕하세요. 의과학과 20215636 박세은입니다.
공지를 늦게 확인하였습니다. 죄송합니다
그렇지만 좋은 강의를 들을 수 있어서 감사드립니다.
강의를 듣고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 드립니다.
초음파를 통해 뇌를 비롯한 여러 장기의 종양이 생긴 것을 알 수 있는데, 그렇다면 산부인과에서 진행하는 초음파검사를 통해서도 태아에게 종양이 있거나 문제가 발생한 것을 미리 발견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 

#영상의학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3,354건 371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www.uljinpension.kr. All rights reserved.  연락처 : cs@ep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