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석도금선
페이지 정보
본문
동부스바 석도금(전기 주석도금)
부식(산화) 및 마모방지를 위한 석도금입니다. 타 도금대비 가성비가 높고 동의 산화와 마모를 방지하는 역활과 미려한 외관까지 덤으로 얻을 수 있는 석도금입니다.
동(Cu) 가공 후 소량도 도금가능하며 (기본단가적용) 일정은 1~3일 정도면 도금이 가능합니다.
전국어디서나 받아보실수 있습니다.
우용종합금속(주) 안양국제유통단지 1동 116~124호
전화 : 031-479-2024
메일 : wyong112@hanmail.net
네이버블로그 : https://blog.naver.com/wyongmetal
8G 주석선, 순동선, 실리콘선 부하별 온도비교 - 8AWG tin CCA vs Copper vs tin Copper Temperature Test
안녕하세요
지제이 입니다.
이 테스트는 전선별 한계전류를 실제상황에서 적용시켜보는 시험입니다.
이 실험을 통해 보여드리고 싶은 것은
1. 높은 전류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위험성
2. 각 전선별 간단한 특징
입니다.
보시고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pianonian : 잘 보고 갑니다 ^^
@likeoolove : 구리전선을 더굵은걸 쓰면 어떨까요 50스퀘어정도되는 굵은 전선은 몇암페어까지 버텨줄까요
캠핑카의 대용량파워뱅크를 만드는데 인버터와 배터리연결을 50sq - 70sq KIV연선을 쓰려고합니다 괜찮을런지요 배터리용량은 인산철500a입니다
@snowflakeperv : 전선별 특징이 알고싶어요. 차량용에 사용된다면 외부환경에 노출이 될텐데 어떤게 유리하다던지.. 그런거요.
오디오 선재, 은선/구리선/주석선의 차이 - 자작선도 만들기 쉬워요.
@user-no2fz4hw7j : 공감합니다.케이블에 따라서 음질이 달라진다는거
언제나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joonhwarho9956 : 아주 유익합니다
@user-yq9nn2qg8m : 제경우 60만정도 브랜드선재 사용시 보다 5만원짜리 미국제 주석선으로 매칭때 제일 좋았습니다
@user-ur8sc2pe5r : 금속간 상대전도율이
은:1.05
구리:1.00
주석:0.15
인데
순수 은선과 구리선에 은도금한것은 고주파에서의 표피효과로 신호의 대부분이 표피로 흐르므로 별차이가 없는것은 이론적으로 설명이되는데
은 과 구리의 경우 상대 전도율이 거의 차이가 없다고 할수 있는데도 음질의 차이가 느껴지는걸 보면
이론적으로 설명 할수 없는 뭔가가 있는것같은데 그것이 뭔지는 모르겠네요.
주석선은 전도도가 구리의 1/6이하므로
빈티지에서 주로 사용되는것은 의미있을것같고 그차이도 명확할것 같네요.
@GforceRonier : 실제로 선이 바껴서 소리가 달라지는것보다
사람이 다르다고 느끼는 갭이 더 크다는 점도 포함해야할듯 합니다
플라시보 효과는 학계에서도 인정하는 효과니까요
선재의 차이는 측정기로 측정이 되는데
사람의 귀는 측정치가 좋은 케이블이 좋다 라고 판단하지 못하는건 팩트 입니다
그 근거로 은이 전도율이 높아 왜곡이 덜하다고 좋아하는 사람도 있는 반면
전도율이 나쁜 주석선의 소리가 좋다 라는 사람도 있기때문이죠
더 나아가서
선을 바꾸는걸 눈으로 안보고 소리변화를 맞춰내는건 더더욱이 어렵고요
그렇다면 객관적 근거는 측정값이 되어야하는데
측정기보다 본인의 귀를 신뢰하는 분들이 많아서 그 역시 명확한 근거로서 인정받기 어려워 보이구요
입문자의 입장에서 볼때
측정치를 믿을것인가 그냥 다른사람의 말을 믿을것인가 고민 해볼 문제인거 같습니다
부식(산화) 및 마모방지를 위한 석도금입니다. 타 도금대비 가성비가 높고 동의 산화와 마모를 방지하는 역활과 미려한 외관까지 덤으로 얻을 수 있는 석도금입니다.
동(Cu) 가공 후 소량도 도금가능하며 (기본단가적용) 일정은 1~3일 정도면 도금이 가능합니다.
전국어디서나 받아보실수 있습니다.
우용종합금속(주) 안양국제유통단지 1동 116~124호
전화 : 031-479-2024
메일 : wyong112@hanmail.net
네이버블로그 : https://blog.naver.com/wyongmetal
8G 주석선, 순동선, 실리콘선 부하별 온도비교 - 8AWG tin CCA vs Copper vs tin Copper Temperature Test
안녕하세요
지제이 입니다.
이 테스트는 전선별 한계전류를 실제상황에서 적용시켜보는 시험입니다.
이 실험을 통해 보여드리고 싶은 것은
1. 높은 전류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위험성
2. 각 전선별 간단한 특징
입니다.
보시고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pianonian : 잘 보고 갑니다 ^^
@likeoolove : 구리전선을 더굵은걸 쓰면 어떨까요 50스퀘어정도되는 굵은 전선은 몇암페어까지 버텨줄까요
캠핑카의 대용량파워뱅크를 만드는데 인버터와 배터리연결을 50sq - 70sq KIV연선을 쓰려고합니다 괜찮을런지요 배터리용량은 인산철500a입니다
@snowflakeperv : 전선별 특징이 알고싶어요. 차량용에 사용된다면 외부환경에 노출이 될텐데 어떤게 유리하다던지.. 그런거요.
오디오 선재, 은선/구리선/주석선의 차이 - 자작선도 만들기 쉬워요.
@user-no2fz4hw7j : 공감합니다.케이블에 따라서 음질이 달라진다는거
언제나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joonhwarho9956 : 아주 유익합니다
@user-yq9nn2qg8m : 제경우 60만정도 브랜드선재 사용시 보다 5만원짜리 미국제 주석선으로 매칭때 제일 좋았습니다
@user-ur8sc2pe5r : 금속간 상대전도율이
은:1.05
구리:1.00
주석:0.15
인데
순수 은선과 구리선에 은도금한것은 고주파에서의 표피효과로 신호의 대부분이 표피로 흐르므로 별차이가 없는것은 이론적으로 설명이되는데
은 과 구리의 경우 상대 전도율이 거의 차이가 없다고 할수 있는데도 음질의 차이가 느껴지는걸 보면
이론적으로 설명 할수 없는 뭔가가 있는것같은데 그것이 뭔지는 모르겠네요.
주석선은 전도도가 구리의 1/6이하므로
빈티지에서 주로 사용되는것은 의미있을것같고 그차이도 명확할것 같네요.
@GforceRonier : 실제로 선이 바껴서 소리가 달라지는것보다
사람이 다르다고 느끼는 갭이 더 크다는 점도 포함해야할듯 합니다
플라시보 효과는 학계에서도 인정하는 효과니까요
선재의 차이는 측정기로 측정이 되는데
사람의 귀는 측정치가 좋은 케이블이 좋다 라고 판단하지 못하는건 팩트 입니다
그 근거로 은이 전도율이 높아 왜곡이 덜하다고 좋아하는 사람도 있는 반면
전도율이 나쁜 주석선의 소리가 좋다 라는 사람도 있기때문이죠
더 나아가서
선을 바꾸는걸 눈으로 안보고 소리변화를 맞춰내는건 더더욱이 어렵고요
그렇다면 객관적 근거는 측정값이 되어야하는데
측정기보다 본인의 귀를 신뢰하는 분들이 많아서 그 역시 명확한 근거로서 인정받기 어려워 보이구요
입문자의 입장에서 볼때
측정치를 믿을것인가 그냥 다른사람의 말을 믿을것인가 고민 해볼 문제인거 같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