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신동산부인과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오빤강남스타일 조회 10회 작성일 2024-05-02 14:51:24 댓글 0

본문

[다큐]골목,이야기②…'봉제의 품격' 느껴지는 창신동[1]

(서울=뉴스1) 김민우 PD =오토바이 소리가 쉴새없이 들려오고, 재봉틀 소리가 울려퍼지는 골목. 또 서울시 최초의 도시재생 공간으로 다시 태어나고 있는 골목이 있다. 수많은 변화와 위기 속에서도 골목을 지켜온 이른바 '봉제인'들과 이곳에 새로운 문화를 불어넣으려는 사람들이 어우러져 활기가 되살아나고 있는 곳, 바로 창신동이다.

창신동은 본래 조선시대 한성부 행정구역이었던 인창방과 숭신방에서 따온 이름으로, 한양도성 앞 첫번째 마을로도 유명했다. 한양도성 바로 앞에 위치한 덕에 사람들이 많이 살았던 이곳은 일제시대와 산업화시대를 거치면서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모였고, 현재는 서울시 종로구 창신 1, 2, 3동으로 나뉘었다.

1, 2, 3동으로 나뉘었어도 창신동은 여전히 봉제공장이 즐비하다. 각 골목 주택가엔 수십년씩 옷을 만들어온 봉제사들이 각자의 사연을 안고 오늘도 재봉틀을 돌리고 있다.

하지만 봉제산업은 예전같지 않다. 중국, 동남아 등지로 일감이 빠져나간 탓에 북적거리던 오토바이와 사람들의 모습이 눈에 띄게 줄어든 것. 22년차 봉제사 정석진씨는 "해마다 일감이 20%씩 줄고 있다"며 그 사정을 설명한다. 공장을 차린지 14년 됐다는 김경순씨 역시 "봉제업을 배운 세대는 우리가 마지막일 것"이라며 인력난을 걱정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어려움에도 아직 많은 봉제사들은 골목을 지키고 있다. 오랜 세월동안 지속해온 일인 만큼 봉제일에 자부심을 느끼기 때문이란다. 올해로 봉제일을 시작한지 30년이 됐다는 김선숙씨는 "손만 건강하면 나이들어서도 자식들에게 기대지 않고 얼마든지 내 삶을 일구어나갈 수 있는 기술이어서 자부심을 느낀다"고 말할 정도다. 이같은 봉제사들 덕분에 창신동엔 여전히 900여곳의 공장이 운영되고 있다.

또 창신동은 2014년 4월 도시재생 선도 지역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수많은 어려움 속에서도 언제나처럼 창신동을 지켜온 봉제인들의 공이 크다 하겠다. 또 지난해엔 이곳의 봉제 산업 특색을 인정받아 창신동 647번지가 위치한 거리 자체가 '봉제박물관'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창신동이 있어 일감을 찾아 봉제인들이 모인 것처럼, 봉제인들이 있어 이 골목은 이제 새로운 의미로 다시 태어나고 있다.

창신동의 또다른 이야기는 [2부 '함께하는 창신동'] 편에서 이어진다.

[저작권자© 뉴스1.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 제3자에게 배포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tbsTV]골목답사와 함께하는 'Made in 창신동'

소규모 봉제공장들이 밀집해 있는 종로구 창신동.\r
동대문 의류시장의 실질적 생산기지이기도 한데요. \r
서울의 대표적인 의류 생산기지이자 동대문 시장 발전의 주역이지만 \r
그동안 그 존재감이 가려졌던 창신동을 재조명하고 그 의미를 되새겨보는 \r
전시가 열렸습니다.

[다큐]똑똑똑 김목사예요 - 창신동 쪽방촌 이야기 @ 휴먼다큐 C

패션의 거리 동대문, 그 뒷편에서 화려한 거리와 대비되는 삶을 살고 있는 쪽방촌 사람들..
그들을 13년째 섬기고 있는 등대교회 김양옥 목사의 사역 이야기

휴먼다큐C 동영상 페이지 : http://bit.ly/1lI9kmQ
CGNTV 공식 홈페이지 : http://www.cgntv.net

ⓒ 2014 All rights reserved by CGNTV
* 모든 저작권은 CGNTV에 있으며, 이 콘텐츠는 무단 다운로드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 

#창신동산부인과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3,354건 287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www.uljinpension.kr. All rights reserved.  연락처 : cs@ep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