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nltjd
페이지 정보
본문
‘고체연료 로켓’ 타고 우주 간 SAR 위성 사진 공개 / KBS 2024.04.19.
지난해 시험 발사한 고체연료 추진 우주발사체에 실어 보냈던 위성이 넉 달 만에 영상을 보내왔습니다. 이달 초 발사했던 우리 군 정찰위성과 같은 방식인데, 어떤 모습인지 임종빈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해 12월 4일 제주도 인근 해상에서 고체연료 추진 우주발사체가 발사됐습니다.
국방과학연구소가 개발 중인 고체추진 발사체와 궤도진입 기반 기술을 바탕으로 민간기업이 발사체와 위성을 제작해 발사했습니다.
고체추진 우주발사체의 3차 시험발사로, 위성 모형을 탑재했던 지난 2022년 시험발사와 달리 처음으로 실제 위성을 탑재해 우주 궤도에 투입했습니다.
위성은 합성개구레이더, SAR 방식으로 전파를 발사해 되돌아오는 시간을 계산해 영상으로 재구성하는 방식입니다.
영상은 흑백으로 출력되지만 구름을 뚫고 나아가는 전파 특성상 기상 조건의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위성을 제작한 민간 업체가 650킬로미터 상공에서 찍은 사진을 공개했습니다.
미국 뉴욕 맨해튼 전경을 찍은 사진에는 메이저리그 뉴욕 양키스의 홈구장 양키 스타디움이 선명하게 찍혔습니다.
우뚝 솟은 마천루들과 센트럴 파크의 모습도 관측됩니다.
두바이의 인공섬 팜 주메이라의 모습도 구석구석 명확하게 포착됐습니다.
해당 위성은 하루에 지구를 15바퀴씩 돌며 최대 여섯 번가량 지상 기지국과 통신하고 있습니다.
해상도는 1 미터 급입니다.
지난 8일 우리 군 당국이 발사한 정찰위성 2호기도 같은 전파 방식이지만 해상도는 훨씬 뛰어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KBS 뉴스 임종빈입니다.
영상편집:이형주\r
\r
▣ KBS 기사 원문보기 : http://news.kbs.co.kr/news/view.do?ncd=7943999\r
\r
▣ 제보 하기\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r
◇ 전화 : 02-781-1234\r
◇ 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r
◇ 이메일 : kbs1234@kbs.co.kr
#고체연료 #우주발사체 #위성
10개 더 우주로 쏘아 올린다…첫 국산 군집위성 임무는 / SBS 8뉴스
〈앵커〉
우리나라의 첫 군집 위성 1호기가 뉴질랜드에서 발사돼 정상 궤도에 안착했습니다. 정부는 앞으로 10기를 더 우주로 보내서 모두 11개의 군집위성을 운영한다는 계획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김민준 기자가 설명하겠습니다.
〈기자〉
[3, 2, 1.]
군집위성 1호기 '네온샛'을 실은 발사체가 거대한 불길을 뿜으며 날아오릅니다.
50분 뒤, 네온샛은 발사체에서 분리돼 고도 400~500km 궤도에 안착했습니다.
군집위성 시스템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한반도와 주변 해역에 대한 정밀 관측을 위해 추진 중인 프로젝트입니다.
무게 100kg 미만인 네온샛에는 흑백 1m, 컬러론 4m 크기의 물체를 알아볼 수 있는 광학카메라가 장착돼 있습니다.
정부는 앞으로 2026년에 5기, 2027년에 추가로 5기를 더 쏘아 올려 모두 11개의 군집 위성을 운영할 계획입니다.
BTS 가수 이름은 아니고 오늘(24일) 발사 임무의 이름 '군집의 시작'의 줄임말입니다.
왜 위성을 한 대가 아니라 군집으로 여러 대 운용하려고 하는지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위성이 이렇게 한 대라면 하루에 한반도 상공을 한 두 번밖에 못 찍습니다.
공전하는 시간 때문입니다.
그래서 위성 사양이 아무리 좋아도 저 뒤에 있다면 한반도를 찍을 수가 없습니다.
그런데 만일 이때 북한에서 급변 사태가 벌어지거나 한반도에서 자연재해가 발생한다면 다른 나라한테 신세를 져야 할 경우도 생기는 겁니다.
그런데 이렇게 여러 궤도에서 많은 위성을 운용하면 공전을 기다릴 필요도 없고 촘촘한 관측이 가능해지는 겁니다.
그다음에 또 주목받았던 게 이 위성을 옮기는 발사체, 로켓인데요, 기존 같은 경우는 로켓 부품을 따로 만들어서 조립하는 식으로 만들었는데, 이번 미국의 로캣랩이라는 회사는 3D 프린터를 활용을 해서 이렇게 발사체를 복제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서 제작 시간과 가격을 크게 낮췄습니다.
누리호 같은 중대형 발사체를 개발 중인 우리나라도 저렴하고, 재활용 가능한 발사체 개발이 필요해졌습니다.
(영상편집 : 황지영, 디자인 : 임찬혁)
☞더 자세한 정보
https://news.sbs.co.kr/y/?id=N1007623818
#군집위성 #발사 #한반도
▶SBS 뉴스 채널 구독하기 : https://n.sbs.co.kr/youtube
♨지금 뜨거운 이슈, 함께 토론하기(스프 구독) : https://premium.sbs.co.kr
▶SBS 뉴스 라이브 : https://n.sbs.co.kr/youtubeLive , https://n.sbs.co.kr/live
▶SBS 뉴스 제보하기
홈페이지: https://n.sbs.co.kr/inform
애플리케이션: 'SBS뉴스' 앱 설치하고 제보 - https://n.sbs.co.kr/App
카카오톡: 'SBS뉴스'와 친구 맺고 채팅 - https://pf.kakao.com/_ewsdq/chat
페이스북: 'SBS뉴스' 메시지 전송 - https://www.facebook.com/sbs8news
이메일: sbs8news@sbs.co.kr
문자 #누르고 6000
전화: 02-2113-6000
홈페이지: https://news.sbs.co.kr/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sbs8news
트위터: https://www.twitter.com/sbs8news
카카오톡: https://pf.kakao.com/_ewsdq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sbsnews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토성, 고리가 없어진다? 토성 위성 생명체 연구와 카시니-하위헌스 탐사! [궤도의 태양계 시리즈]
궤도의 태양계 시리즈, 토성 두번째 편입니다.
토성의 고리가 없어진다?! 토성 위성에는 생명체가 살까?
파이오니어 11호, 뉴호라이즌스, 카시니-하위헌스에 이어지는 토성 탐사 이야기!
궤도 연구원이 토성 탐사에 대한 이야기를 준비했습니다.
#토성 #타이탄 #카시니 #하위헌스
◆ Reference
[1] Science. 364:1046-1051 (2019)
[2] Space Science Reviews. 104: 1–58 (2002)
[3] Journal of Spacecraft and Rockets. 34: 509-521 (1997)
[4] SpaceOps 2006 Conference. The Cassini-Huygens Mission Overview (2006)
[5] J Br Interplanet Soc. 45:257-271 (1992)
[6] Science Advances 1: e1400067 (2015)
[7] The Rings of Saturn Through a Telescope, Late Night Astronomy
[8] Saturn's Rings Are Disappearing, NASA Goddard
[9] On Saturn, It Literally Rains Diamonds | The Planets | BBC Earth
[10] Hubble Trouble: How fast is the universe expanding?, Science Magazine
[11] Rings vs Moons: The Roche Limit, It's Just Astronomical!
[12] A recent origin for Saturn's rings (part 1), John Dubinski
[13] Pioneer 11 Animation and Archive Footage, NASA Video
[14] Voyage of Discovery, NASA Video
[15] Voyager Encounter Highlights, NASA STI Program
[16] Cassini: A Saturn Odyssey, NASA Jet Propulsion Laboratory
[17] Cassini Launch, NASASolarSystem
[18] NASA at Saturn: Cassini's Grand Finale, NASA Jet Propulsion Laboratory
[19] Huygens's descent to Titan's surface, ESA Science \u0026 Technology
[20] The Final Images From Titan, Saturn's Largest Moon, Space Matters
[21] Interstellar - Miller's Planet (HDR - 4K - 5.1), 4K HDR Media
[22] Star Trek 2009
◆영상출처
[1] Titan Touchdown https://www.youtube.com/watch?v=msiLWxDayuA
[2] When Huygens Met Titan https://www.youtube.com/watch?v=E2MpHaL8708
[3] What Huygens Saw On Titan - New Image Processing https://www.youtube.com/watch?v=9L471ct7YDo
[4] Crashing Into Saturn: This Cassini Mission Is the Most Epic Yet | Short Film Showcase https://www.youtube.com/watch?v=68vxYRAony8
[5] Cassini E21 Enceladus Flyby https://www.youtube.com/watch?v=QuAgTEunHFA
◆ Thanks to
Written by 강정연, Orbit
Directed by Orbit
Editor: 조주현, 서진
◆ 안될과학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unreal.science
◆ 안될과학-모어사이언스 스마트스토어 (과학굿즈)
https://smartstore.naver.com/morescience
◆ 안될과학 커뮤니티
https://cafe.naver.com/unrealscience
◆ 안될과학 문의
E-MAIL : MoreScience2018@gmail.com
◆ Music
Storm Time by Muciojad https://soundcloud.com/muciojad
Creative Commons — Attribution-ShareAlike 3.0 Unported— CC BY-SA 3.0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
Music promoted by Audio Library
지난해 시험 발사한 고체연료 추진 우주발사체에 실어 보냈던 위성이 넉 달 만에 영상을 보내왔습니다. 이달 초 발사했던 우리 군 정찰위성과 같은 방식인데, 어떤 모습인지 임종빈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해 12월 4일 제주도 인근 해상에서 고체연료 추진 우주발사체가 발사됐습니다.
국방과학연구소가 개발 중인 고체추진 발사체와 궤도진입 기반 기술을 바탕으로 민간기업이 발사체와 위성을 제작해 발사했습니다.
고체추진 우주발사체의 3차 시험발사로, 위성 모형을 탑재했던 지난 2022년 시험발사와 달리 처음으로 실제 위성을 탑재해 우주 궤도에 투입했습니다.
위성은 합성개구레이더, SAR 방식으로 전파를 발사해 되돌아오는 시간을 계산해 영상으로 재구성하는 방식입니다.
영상은 흑백으로 출력되지만 구름을 뚫고 나아가는 전파 특성상 기상 조건의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위성을 제작한 민간 업체가 650킬로미터 상공에서 찍은 사진을 공개했습니다.
미국 뉴욕 맨해튼 전경을 찍은 사진에는 메이저리그 뉴욕 양키스의 홈구장 양키 스타디움이 선명하게 찍혔습니다.
우뚝 솟은 마천루들과 센트럴 파크의 모습도 관측됩니다.
두바이의 인공섬 팜 주메이라의 모습도 구석구석 명확하게 포착됐습니다.
해당 위성은 하루에 지구를 15바퀴씩 돌며 최대 여섯 번가량 지상 기지국과 통신하고 있습니다.
해상도는 1 미터 급입니다.
지난 8일 우리 군 당국이 발사한 정찰위성 2호기도 같은 전파 방식이지만 해상도는 훨씬 뛰어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KBS 뉴스 임종빈입니다.
영상편집:이형주\r
\r
▣ KBS 기사 원문보기 : http://news.kbs.co.kr/news/view.do?ncd=7943999\r
\r
▣ 제보 하기\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r
◇ 전화 : 02-781-1234\r
◇ 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r
◇ 이메일 : kbs1234@kbs.co.kr
#고체연료 #우주발사체 #위성
10개 더 우주로 쏘아 올린다…첫 국산 군집위성 임무는 / SBS 8뉴스
〈앵커〉
우리나라의 첫 군집 위성 1호기가 뉴질랜드에서 발사돼 정상 궤도에 안착했습니다. 정부는 앞으로 10기를 더 우주로 보내서 모두 11개의 군집위성을 운영한다는 계획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김민준 기자가 설명하겠습니다.
〈기자〉
[3, 2, 1.]
군집위성 1호기 '네온샛'을 실은 발사체가 거대한 불길을 뿜으며 날아오릅니다.
50분 뒤, 네온샛은 발사체에서 분리돼 고도 400~500km 궤도에 안착했습니다.
군집위성 시스템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한반도와 주변 해역에 대한 정밀 관측을 위해 추진 중인 프로젝트입니다.
무게 100kg 미만인 네온샛에는 흑백 1m, 컬러론 4m 크기의 물체를 알아볼 수 있는 광학카메라가 장착돼 있습니다.
정부는 앞으로 2026년에 5기, 2027년에 추가로 5기를 더 쏘아 올려 모두 11개의 군집 위성을 운영할 계획입니다.
BTS 가수 이름은 아니고 오늘(24일) 발사 임무의 이름 '군집의 시작'의 줄임말입니다.
왜 위성을 한 대가 아니라 군집으로 여러 대 운용하려고 하는지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위성이 이렇게 한 대라면 하루에 한반도 상공을 한 두 번밖에 못 찍습니다.
공전하는 시간 때문입니다.
그래서 위성 사양이 아무리 좋아도 저 뒤에 있다면 한반도를 찍을 수가 없습니다.
그런데 만일 이때 북한에서 급변 사태가 벌어지거나 한반도에서 자연재해가 발생한다면 다른 나라한테 신세를 져야 할 경우도 생기는 겁니다.
그런데 이렇게 여러 궤도에서 많은 위성을 운용하면 공전을 기다릴 필요도 없고 촘촘한 관측이 가능해지는 겁니다.
그다음에 또 주목받았던 게 이 위성을 옮기는 발사체, 로켓인데요, 기존 같은 경우는 로켓 부품을 따로 만들어서 조립하는 식으로 만들었는데, 이번 미국의 로캣랩이라는 회사는 3D 프린터를 활용을 해서 이렇게 발사체를 복제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서 제작 시간과 가격을 크게 낮췄습니다.
누리호 같은 중대형 발사체를 개발 중인 우리나라도 저렴하고, 재활용 가능한 발사체 개발이 필요해졌습니다.
(영상편집 : 황지영, 디자인 : 임찬혁)
☞더 자세한 정보
https://news.sbs.co.kr/y/?id=N1007623818
#군집위성 #발사 #한반도
▶SBS 뉴스 채널 구독하기 : https://n.sbs.co.kr/youtube
♨지금 뜨거운 이슈, 함께 토론하기(스프 구독) : https://premium.sbs.co.kr
▶SBS 뉴스 라이브 : https://n.sbs.co.kr/youtubeLive , https://n.sbs.co.kr/live
▶SBS 뉴스 제보하기
홈페이지: https://n.sbs.co.kr/inform
애플리케이션: 'SBS뉴스' 앱 설치하고 제보 - https://n.sbs.co.kr/App
카카오톡: 'SBS뉴스'와 친구 맺고 채팅 - https://pf.kakao.com/_ewsdq/chat
페이스북: 'SBS뉴스' 메시지 전송 - https://www.facebook.com/sbs8news
이메일: sbs8news@sbs.co.kr
문자 #누르고 6000
전화: 02-2113-6000
홈페이지: https://news.sbs.co.kr/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sbs8news
트위터: https://www.twitter.com/sbs8news
카카오톡: https://pf.kakao.com/_ewsdq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sbsnews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토성, 고리가 없어진다? 토성 위성 생명체 연구와 카시니-하위헌스 탐사! [궤도의 태양계 시리즈]
궤도의 태양계 시리즈, 토성 두번째 편입니다.
토성의 고리가 없어진다?! 토성 위성에는 생명체가 살까?
파이오니어 11호, 뉴호라이즌스, 카시니-하위헌스에 이어지는 토성 탐사 이야기!
궤도 연구원이 토성 탐사에 대한 이야기를 준비했습니다.
#토성 #타이탄 #카시니 #하위헌스
◆ Reference
[1] Science. 364:1046-1051 (2019)
[2] Space Science Reviews. 104: 1–58 (2002)
[3] Journal of Spacecraft and Rockets. 34: 509-521 (1997)
[4] SpaceOps 2006 Conference. The Cassini-Huygens Mission Overview (2006)
[5] J Br Interplanet Soc. 45:257-271 (1992)
[6] Science Advances 1: e1400067 (2015)
[7] The Rings of Saturn Through a Telescope, Late Night Astronomy
[8] Saturn's Rings Are Disappearing, NASA Goddard
[9] On Saturn, It Literally Rains Diamonds | The Planets | BBC Earth
[10] Hubble Trouble: How fast is the universe expanding?, Science Magazine
[11] Rings vs Moons: The Roche Limit, It's Just Astronomical!
[12] A recent origin for Saturn's rings (part 1), John Dubinski
[13] Pioneer 11 Animation and Archive Footage, NASA Video
[14] Voyage of Discovery, NASA Video
[15] Voyager Encounter Highlights, NASA STI Program
[16] Cassini: A Saturn Odyssey, NASA Jet Propulsion Laboratory
[17] Cassini Launch, NASASolarSystem
[18] NASA at Saturn: Cassini's Grand Finale, NASA Jet Propulsion Laboratory
[19] Huygens's descent to Titan's surface, ESA Science \u0026 Technology
[20] The Final Images From Titan, Saturn's Largest Moon, Space Matters
[21] Interstellar - Miller's Planet (HDR - 4K - 5.1), 4K HDR Media
[22] Star Trek 2009
◆영상출처
[1] Titan Touchdown https://www.youtube.com/watch?v=msiLWxDayuA
[2] When Huygens Met Titan https://www.youtube.com/watch?v=E2MpHaL8708
[3] What Huygens Saw On Titan - New Image Processing https://www.youtube.com/watch?v=9L471ct7YDo
[4] Crashing Into Saturn: This Cassini Mission Is the Most Epic Yet | Short Film Showcase https://www.youtube.com/watch?v=68vxYRAony8
[5] Cassini E21 Enceladus Flyby https://www.youtube.com/watch?v=QuAgTEunHFA
◆ Thanks to
Written by 강정연, Orbit
Directed by Orbit
Editor: 조주현, 서진
◆ 안될과학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unreal.science
◆ 안될과학-모어사이언스 스마트스토어 (과학굿즈)
https://smartstore.naver.com/morescience
◆ 안될과학 커뮤니티
https://cafe.naver.com/unrealscience
◆ 안될과학 문의
E-MAIL : MoreScience2018@gmail.com
◆ Music
Storm Time by Muciojad https://soundcloud.com/muciojad
Creative Commons — Attribution-ShareAlike 3.0 Unported— CC BY-SA 3.0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
Music promoted by Audio Library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