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원기사
페이지 정보
본문
반복되는 임원 수행기사 갑질 피해...이유는? / YTN
[앵커]
이번 LG전자 임원의 갑질 논란에 앞서 재벌가·대기업 임원들의 갑질 사례는 빈번하게 있었습니다.
문제가 반복되는 이유로 수행기사들의 불안정한 고용 신분과, 외부의 감시가 어려운 제도적 한계 등이 꼽히는데요.
이어서 임성호 기자입니다.
[기자]
운전기사에게 차마 입에 담을 수 없는 욕설을 하고,
[이명희 / 前 일우재단 이사장 : (입) 다물어봐. 빨리 전화하란 말이야. 이 XX 딱지야. 어??]
급기야 폭력까지 행사합니다.
바로 고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의 부인 이명희 씨입니다.
여러 해에 걸쳐 경비원과 운전기사 등 9명에게 상습적으로 폭언하거나 폭행을 가한 혐의 등이 유죄로 인정됐습니다.
[이명희 / 前 일우재단 이사장(지난 2018년 6월) : (폭언과 폭행 의혹 영상이 나왔는데요 하실 말씀 없으십니까?) …]
이장한 종근당 회장도 수행기사에게 상습적으로 폭언을 가한 혐의로 법정에 서야 했습니다.
역시 1·2심에서 모두 유죄가 인정됐습니다.
[이장한 / 종근당 회장 (2017년 7월) : 저의 행동으로 상처를 받으신 분께 용서를 구합니다. 머리 숙여 사죄합니다.]
최근엔 유명 레깅스 업체 '안다르' 임원이 수행기사에게 사적 지시를 했다는 폭로가 나오는 등 올해 들어서도 비슷한 문제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한 시민단체엔 올해에만 5건의 피해 사례가 접수됐습니다.
폭언에 시달리는 건 기본이었고, 명품 가방을 사야 하니 따라오라고 하거나, 가족이 볼 연극 티켓을 예매해달라는 황당한 지시도 있었습니다.
[오진호 / 직장갑질119 집행위원장 : (수행기사 갑질 사례가) 2021년에 현재 한 5건 정도 확인이 되고 있습니다. 임원, 상사와 붙어서 일한다고 하는 업무 특성 때문에 신고를 망설이거나 두려워하는 상황들이 아주 많은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수행기사들 대부분 고용이 불안정한 파견·용역 근로자 신분이어서, 사실상의 고용 권한을 쥔 기업 임원에게 직접 대응하기란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그런 만큼 임원들의 갑질 문제에 관해 외부의 실태 조사가 가능하도록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김남석 / 변호사 : 만약에 회사가 조사를 제대로 하지 않거나 아니면 조사 자체를 하지 않는 경우에는 근로감독관이라든지 제3기관이 개입할 수 있도록 하는 근거 규정을 마련해야겠죠.]
근본적으론 수행기사 등을 포함한 파견 계약직들의 고용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YTN 임성호입니다.
YTN 임성호 (seongh12@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YTN은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YTN을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온라인 제보] www.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111030618213396
▶ 제보 하기 : https://mj.ytn.co.kr/mj/mj_write.php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YTN \u0026 YTN plus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노동사례 : 임원기사의 법정수당 미지급 사건
LG전자 임원 수행기사 '갑질' 파문...계속되는 '갑질' 대책은 없나? / YTN
■ 진행 : 김정아 앵커, 박석원 앵커
■ 출연 : 김철희 / 사회1부 기자
[앵커]
LG전자 임원이 집합 금지 기간에 불법 유흥업소를 수시로 드나들면서 수행 기사에게 장시간 대기까지 시킨 사실이 YTN 취재결과 드러났습니다.
해당 임원은 수행 기사에게 장을 봐오게 하고 가족이 코로나 검사를 받게 운전해달라는 등 부당한 사적 지시도 계속했는데요.
수행 기사가 구체적으로 어떤 '갑질'을 당했고 왜 문제가 되는지, 잊을만하면 발생하는 임원들의 갑질 문제는 왜 반복되는지, 이번 사건을 취재한 기자와 자세히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김철희 기자 안녕하세요.
우선 이번 LG전자 임원 갑질 사건, 어떤 사건인지부터 먼저 정리해보죠.
[기자]
한마디로 정리하면 수행 기사가 LG전자 임원에게 수시로 갑질을 당했다는 겁니다.
불법 영업하는 유흥업소까지 태워주고 그 앞에서 밤새도록 대기한 적도 있었고요.
퇴근 뒤 한밤중에 장 보러 가자고 불러내거나, 가족들이 코로나 검사를 받아야 하니 태워달라고 요구한 경우도 있었습니다.
LG전자에서도 이러한 사실관계를 파악하고, 현재 내부 징계 절차에 착수한 상황입니다.
[앵커]
그럼 하나씩 살펴보죠.
먼저 가장 문제가 될 것으로 보이는 게 해당 임원이 집합 금지 기간에 여러 차례 불법 유흥업소에 출입한 사실이 확인됐다고요?
[기자]
수도권 지역은 코로나19 대유행으로 거리두기 단계가 강화된 이후 지난달까지 줄곧 유흥업소 영업이 금지됐었죠.
몰래 영업하던 유흥업소에 단속반이 들이닥쳐 손님과 접대 여성이 무더기로 적발되는 모습도 여러 차례 보도해드렸는데요.
이 기간에 LG전자 임원인 A 씨가 서울 강남에 있는 유흥업소를 수시로 방문했던 사실이 YTN 취재 결과 확인됐습니다.
당장 지난달과 지난 8월에도 세 차례 서울 논현동의 한 유흥업소를 찾았는데요.
저희가 저녁 시간 가게를 직접 찾아가 봤더니 업소 문은 굳게 닫혀 있었습니다.
사람은 없었지만 가게 문 주변으로 여러 대의 CCTV가 설치돼있는 등 한눈에도 경계가 삼엄해 보였습니다.
20년 넘게 장사를 했다는 주변 상인도 가게 문이 열린 걸 본 적이 없다고 말했습니다.
구청에 확인을 해봤더니 업소는 유흥주점 대신 '일반음식점'으로 등록한 상태였습니다.
제보자들은 이 업소가 집합 금지 기간에도 문을 잠그고 몰래 영업을 이어왔다고 증언했습니다.
가게 안으로 손님들, 그리고 때때로 한 무리의 여성들이 몰래 안으로 들어가는 걸 봤다는 이들도 있었습니다.
더 큰 문제는 업소를 방문할 때 A 씨가 회사 차량과 수행기사를 동원했다는 겁니다.
수행 기사는 업소 앞에서 밤늦게까지 기다리는 경우는 부지기수였고,
임원이 여성과 이른바 '2차'라도 가는 날에는 호텔 앞에서 날밤을 꼬박 새우기도 했다고 말했습니다.
[앵커]
그렇다면 김 기자는 이런 문제가 있었다는 걸 어떻게 확인했습니까?
[기자]
불법 유흥업소에 출입할 때마다 임원이 수행 기사와 회사 차량을 이용했다는 데서 단서를 찾았습니다.
차량이 이동하면서 남겨진 위치 정보와 제보 내용 등을 대조해 유흥업소 출입 사실을 파악한 건데요.
그 결과 임원이 업소를 방문한 것으로 지목된 날짜와 시간마다 실제로 회사 차량이 업소 앞에서 몇 시간씩 대기했던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먼저 지난달 18일, 지역의 거래처 관계자들을 데리고 세 시간가량 해당 유흥업소에 머물렀던 적도 있고요.
지난 8월엔 두 차례에 걸쳐 해당 유흥업소에서 거래처 관계자와 함께 몇 시간씩 머물기도 했습니다.
다른 기록들에서는 해당... (중략)
YTN 김철희 (kchee21@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111031404532557
▶ 제보 하기 : https://mj.ytn.co.kr/mj/mj_write.php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YTN \u0026 YTN plus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앵커]
이번 LG전자 임원의 갑질 논란에 앞서 재벌가·대기업 임원들의 갑질 사례는 빈번하게 있었습니다.
문제가 반복되는 이유로 수행기사들의 불안정한 고용 신분과, 외부의 감시가 어려운 제도적 한계 등이 꼽히는데요.
이어서 임성호 기자입니다.
[기자]
운전기사에게 차마 입에 담을 수 없는 욕설을 하고,
[이명희 / 前 일우재단 이사장 : (입) 다물어봐. 빨리 전화하란 말이야. 이 XX 딱지야. 어??]
급기야 폭력까지 행사합니다.
바로 고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의 부인 이명희 씨입니다.
여러 해에 걸쳐 경비원과 운전기사 등 9명에게 상습적으로 폭언하거나 폭행을 가한 혐의 등이 유죄로 인정됐습니다.
[이명희 / 前 일우재단 이사장(지난 2018년 6월) : (폭언과 폭행 의혹 영상이 나왔는데요 하실 말씀 없으십니까?) …]
이장한 종근당 회장도 수행기사에게 상습적으로 폭언을 가한 혐의로 법정에 서야 했습니다.
역시 1·2심에서 모두 유죄가 인정됐습니다.
[이장한 / 종근당 회장 (2017년 7월) : 저의 행동으로 상처를 받으신 분께 용서를 구합니다. 머리 숙여 사죄합니다.]
최근엔 유명 레깅스 업체 '안다르' 임원이 수행기사에게 사적 지시를 했다는 폭로가 나오는 등 올해 들어서도 비슷한 문제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한 시민단체엔 올해에만 5건의 피해 사례가 접수됐습니다.
폭언에 시달리는 건 기본이었고, 명품 가방을 사야 하니 따라오라고 하거나, 가족이 볼 연극 티켓을 예매해달라는 황당한 지시도 있었습니다.
[오진호 / 직장갑질119 집행위원장 : (수행기사 갑질 사례가) 2021년에 현재 한 5건 정도 확인이 되고 있습니다. 임원, 상사와 붙어서 일한다고 하는 업무 특성 때문에 신고를 망설이거나 두려워하는 상황들이 아주 많은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수행기사들 대부분 고용이 불안정한 파견·용역 근로자 신분이어서, 사실상의 고용 권한을 쥔 기업 임원에게 직접 대응하기란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그런 만큼 임원들의 갑질 문제에 관해 외부의 실태 조사가 가능하도록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김남석 / 변호사 : 만약에 회사가 조사를 제대로 하지 않거나 아니면 조사 자체를 하지 않는 경우에는 근로감독관이라든지 제3기관이 개입할 수 있도록 하는 근거 규정을 마련해야겠죠.]
근본적으론 수행기사 등을 포함한 파견 계약직들의 고용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YTN 임성호입니다.
YTN 임성호 (seongh12@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YTN은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YTN을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온라인 제보] www.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111030618213396
▶ 제보 하기 : https://mj.ytn.co.kr/mj/mj_write.php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YTN \u0026 YTN plus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노동사례 : 임원기사의 법정수당 미지급 사건
LG전자 임원 수행기사 '갑질' 파문...계속되는 '갑질' 대책은 없나? / YTN
■ 진행 : 김정아 앵커, 박석원 앵커
■ 출연 : 김철희 / 사회1부 기자
[앵커]
LG전자 임원이 집합 금지 기간에 불법 유흥업소를 수시로 드나들면서 수행 기사에게 장시간 대기까지 시킨 사실이 YTN 취재결과 드러났습니다.
해당 임원은 수행 기사에게 장을 봐오게 하고 가족이 코로나 검사를 받게 운전해달라는 등 부당한 사적 지시도 계속했는데요.
수행 기사가 구체적으로 어떤 '갑질'을 당했고 왜 문제가 되는지, 잊을만하면 발생하는 임원들의 갑질 문제는 왜 반복되는지, 이번 사건을 취재한 기자와 자세히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김철희 기자 안녕하세요.
우선 이번 LG전자 임원 갑질 사건, 어떤 사건인지부터 먼저 정리해보죠.
[기자]
한마디로 정리하면 수행 기사가 LG전자 임원에게 수시로 갑질을 당했다는 겁니다.
불법 영업하는 유흥업소까지 태워주고 그 앞에서 밤새도록 대기한 적도 있었고요.
퇴근 뒤 한밤중에 장 보러 가자고 불러내거나, 가족들이 코로나 검사를 받아야 하니 태워달라고 요구한 경우도 있었습니다.
LG전자에서도 이러한 사실관계를 파악하고, 현재 내부 징계 절차에 착수한 상황입니다.
[앵커]
그럼 하나씩 살펴보죠.
먼저 가장 문제가 될 것으로 보이는 게 해당 임원이 집합 금지 기간에 여러 차례 불법 유흥업소에 출입한 사실이 확인됐다고요?
[기자]
수도권 지역은 코로나19 대유행으로 거리두기 단계가 강화된 이후 지난달까지 줄곧 유흥업소 영업이 금지됐었죠.
몰래 영업하던 유흥업소에 단속반이 들이닥쳐 손님과 접대 여성이 무더기로 적발되는 모습도 여러 차례 보도해드렸는데요.
이 기간에 LG전자 임원인 A 씨가 서울 강남에 있는 유흥업소를 수시로 방문했던 사실이 YTN 취재 결과 확인됐습니다.
당장 지난달과 지난 8월에도 세 차례 서울 논현동의 한 유흥업소를 찾았는데요.
저희가 저녁 시간 가게를 직접 찾아가 봤더니 업소 문은 굳게 닫혀 있었습니다.
사람은 없었지만 가게 문 주변으로 여러 대의 CCTV가 설치돼있는 등 한눈에도 경계가 삼엄해 보였습니다.
20년 넘게 장사를 했다는 주변 상인도 가게 문이 열린 걸 본 적이 없다고 말했습니다.
구청에 확인을 해봤더니 업소는 유흥주점 대신 '일반음식점'으로 등록한 상태였습니다.
제보자들은 이 업소가 집합 금지 기간에도 문을 잠그고 몰래 영업을 이어왔다고 증언했습니다.
가게 안으로 손님들, 그리고 때때로 한 무리의 여성들이 몰래 안으로 들어가는 걸 봤다는 이들도 있었습니다.
더 큰 문제는 업소를 방문할 때 A 씨가 회사 차량과 수행기사를 동원했다는 겁니다.
수행 기사는 업소 앞에서 밤늦게까지 기다리는 경우는 부지기수였고,
임원이 여성과 이른바 '2차'라도 가는 날에는 호텔 앞에서 날밤을 꼬박 새우기도 했다고 말했습니다.
[앵커]
그렇다면 김 기자는 이런 문제가 있었다는 걸 어떻게 확인했습니까?
[기자]
불법 유흥업소에 출입할 때마다 임원이 수행 기사와 회사 차량을 이용했다는 데서 단서를 찾았습니다.
차량이 이동하면서 남겨진 위치 정보와 제보 내용 등을 대조해 유흥업소 출입 사실을 파악한 건데요.
그 결과 임원이 업소를 방문한 것으로 지목된 날짜와 시간마다 실제로 회사 차량이 업소 앞에서 몇 시간씩 대기했던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먼저 지난달 18일, 지역의 거래처 관계자들을 데리고 세 시간가량 해당 유흥업소에 머물렀던 적도 있고요.
지난 8월엔 두 차례에 걸쳐 해당 유흥업소에서 거래처 관계자와 함께 몇 시간씩 머물기도 했습니다.
다른 기록들에서는 해당... (중략)
YTN 김철희 (kchee21@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111031404532557
▶ 제보 하기 : https://mj.ytn.co.kr/mj/mj_write.php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YTN \u0026 YTN plus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