층간 소음 방지재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육군참모총장 조회 9회 작성일 2024-10-19 14:43:35 댓글 0

본문

“층간소음 못 잡으면 준공도·입주도 불가”…공사비 상승 우려도 / KBS 2023.12.12.

살인 등 강력 사건이 반복될 정도로 오랫동안 해법을 찾지 못했던 층간소음 문제에 대해 정부가 강도 높은 대책을 내놨습니다.

앞으로 층간소음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한 아파트는 아예 준공 승인을 내주지 않겠다는 겁니다.

처음 만들 때부터 제대로 만들라는 건데, 일각에서는 공사비 상승에 대한 우려도 있습니다.

최광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해부터 시행 중인 층간소음 사후 확인제.

준공 직전 아파트를 대상으로 층간소음을 확인해, 기준에 미달할 경우 보완 시공을 하도록 한 제돕니다.

하지만 이는 권고사항일 뿐, 시공사엔 불이익이 없어서 실효성 논란이 이어져 왔습니다.

[KBS 뉴스 9/2020. 6. 9. : "게다가 이미 집이 다 지어진 뒤여서 소음 차단 능력을 높이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하지만 앞으로는 층간소음 기준을 못 맞춘 아파트엔 입주 자체가 불가능해집니다.

현행 층간소음 판단 기준인 49 데시벨 이하 아파트에만 준공 승인을 내주겠다는 겁니다.

이 기준을 못 지키면 보완 시공을 한 뒤 재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또 층간소음 검사 시기를 현행 준공 직전보다 최대 15개월 빠른 골조 완성 시기로 앞당겼습니다.

[원희룡/국토교통부 장관 : "기존에도 이미 다 하도록 돼 있고 비용이나 공기(공사 기간)에도 다 반영돼 있는 것을 제대로 됐는지를 중간중간 검사해서 의무화하겠다는 것입니다."]

기존 아파트에 대해서는 바닥 방음 보강 지원을 강화합니다.

방음 공사 비용의 지원 범위를 늘리고, 방음 매트 시공 비용도 일부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LH의 공공주택은 바닥구조 1등급을 선제적으로 적용합니다.

바닥 두께를 4cm 높이는 방법 등으로 내년 시범단지부터 층간소음 기준 1등급을 이루겠다는 겁니다.

하지만 건설사, 특히 중소 업체들은 비용 증가나 공기 지연 등을 우려하는 분위기입니다.

[김경우/선임연구위원/건설기술연구원 : "권고가 강제화되는 것들이기 때문에 건설사 입장에서는 상당히 부담이 갈 거고 좀 더 많이 재원이나 내용을 투자하지 않겠느냐..."]

국토부는 강화된 층간소음 기준이 분양가 상승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시장 감시를 강화할 방침입니다.

KBS 뉴스 최광호입니다.

촬영기자:이호/영상편집:김대범/그래픽:여현수\r
\r
▣ KBS 기사 원문보기 : http://news.kbs.co.kr/news/view.do?ncd=7839255\r
\r
▣ 제보 하기\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r
◇ 전화 : 02-781-1234\r
◇ 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r
◇ 이메일 : kbs1234@kbs.co.kr

#층간소음 #입주 #준공

마음껏 뛰어도 안심…층간 소음 잡는 방음 철판/SBS

아파트에서 층간소음 걱정없이 아이들이 마음껏 뛰어놀 수 있도록 돕는 건축자재가 개발됐습니다. 건축 비용이 다소 비싸지더라도 더 조용하고 안전한 자재를 찾는 수요가 늘고 있습니다.

한세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SBS NEWS 유튜브 채널 구독하기 : https://goo.gl/l8eCja

▶대한민국 뉴스리더 SBS◀
홈페이지: http://news.sbs.co.kr
페이스북: http://www.facebook.com/sbs8news
트위터: http://www.twitter.com/sbs8news





... 

#층간 소음 방지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3,354건 174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www.uljinpension.kr. All rights reserved.  연락처 : cs@ep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