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스틱자석
페이지 정보
본문
플라스틱이 자석이 된다? [핫클립] / YTN 사이언스
플라스틱의 전자 결합을 끊어
한 방향으로 배열하면 자석이 된다는 이론.
아직은 이론을 규명하는 정도지만
세계 최초로 가능성을 보였다고 한다.
▶full영상: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394\u0026key=202101141410368289
금속이 아닌 '플라스틱' 자석 세계 첫 개발 / YTN 사이언스
자석은 일반적으로 철을 비롯해 금속으로 만들어졌죠.
그런데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플라스틱 자석을 만드는 데 성공했습니다.
어떤 원리가 적용됐을까요?
새끼손가락 크기의 빈 플라스틱 용기에 자석을 갖다 대 봅니다.
플라스틱 용기가 자석에 반응하지 않습니다.
이번에는 탄소 유기화합물로 플라스틱 용기 안에 채운 내부를 채운 뒤 자석을 갖다 댔습니다.
그러자 거짓말같이 플라스틱 용기가 자석에 끌려갑니다.
물체가 자성을 띠는 것은 물질 내부를 돌아다니는 '자유전자' 덕분인데요.
금속만이 자유전자를 갖고 있고, 다른 물질은 자유 전자가 없습니다.
연구팀은 먼저 유기화합물에 화학반응을 일으켜 탄소 원자의 결합을 끊고 순간적으로 자유전자를 만들었습니다.
이후 자유전자가 다시 결합하지 못하도록 분자 구조를 바꾼 겁니다.
그 결과 플라스틱이 자성을 띠게 된 건데요.
플라스틱 자석은 추가 연구를 거쳐, 현재 자기공명영상 MRI 촬영에 쓰이는 금속 입자 조영제를 대체할 것으로 기대되는데요.
플라스틱 자석은 영구적으로 쓸 수 있고, 기존의 금속 입자 조영제와 달리 몸에 흡수되지 않아 인체에도 해를 미치지 않는다고 연구팀은 설명했습니다.
이성규 [sklee95@ytn.co.kr]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cience.ytn.co.kr/program/program_view.php?s_mcd=0082\u0026s_hcd=\u0026key=201808061612122899
플라스틱의 전자 결합을 끊어
한 방향으로 배열하면 자석이 된다는 이론.
아직은 이론을 규명하는 정도지만
세계 최초로 가능성을 보였다고 한다.
▶full영상: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394\u0026key=202101141410368289
금속이 아닌 '플라스틱' 자석 세계 첫 개발 / YTN 사이언스
자석은 일반적으로 철을 비롯해 금속으로 만들어졌죠.
그런데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플라스틱 자석을 만드는 데 성공했습니다.
어떤 원리가 적용됐을까요?
새끼손가락 크기의 빈 플라스틱 용기에 자석을 갖다 대 봅니다.
플라스틱 용기가 자석에 반응하지 않습니다.
이번에는 탄소 유기화합물로 플라스틱 용기 안에 채운 내부를 채운 뒤 자석을 갖다 댔습니다.
그러자 거짓말같이 플라스틱 용기가 자석에 끌려갑니다.
물체가 자성을 띠는 것은 물질 내부를 돌아다니는 '자유전자' 덕분인데요.
금속만이 자유전자를 갖고 있고, 다른 물질은 자유 전자가 없습니다.
연구팀은 먼저 유기화합물에 화학반응을 일으켜 탄소 원자의 결합을 끊고 순간적으로 자유전자를 만들었습니다.
이후 자유전자가 다시 결합하지 못하도록 분자 구조를 바꾼 겁니다.
그 결과 플라스틱이 자성을 띠게 된 건데요.
플라스틱 자석은 추가 연구를 거쳐, 현재 자기공명영상 MRI 촬영에 쓰이는 금속 입자 조영제를 대체할 것으로 기대되는데요.
플라스틱 자석은 영구적으로 쓸 수 있고, 기존의 금속 입자 조영제와 달리 몸에 흡수되지 않아 인체에도 해를 미치지 않는다고 연구팀은 설명했습니다.
이성규 [sklee95@ytn.co.kr]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cience.ytn.co.kr/program/program_view.php?s_mcd=0082\u0026s_hcd=\u0026key=20180806161212289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