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먼바이오
페이지 정보
본문
유망 전공 소개 : 휴먼바이오 / HumanBio / 인체생물학
[대학전공] 이번 영상부터 새롭게 시작되는 시리즈?가 되겠습니다~ 바로 '나에게 맞는 전공 찾기' , 이 주제는 미국 대학교에 있는 그 수많은 전공들 중에 누구나 다 아는 것들 말고 아 ~! 이런 전공도 있었네? 라고 새롭게 찾아볼 수 있는 전공들로 준비해봤습니다. 이 영상을 보는 학생들과 학부모님들이 전공찾는데 도움이 되시길 바라면서 ~ 나의 전공찾기! 그 첫번째 시간 시작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HumanBio 과연 어떤 전공일까요? 인체생물학 전공자는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앤디프랩] 대학교를 선택하는 일만큼 쉽지 않은 일이 바로 전공선택하기 입니다. 남들이 하는 전공 다 따라하는것도 좀 그렇고,, 어떤 전공이 나한테 잘 맞는지 어떻게 알아 봐야 하는지 난감할때 시리즈별로 볼 수 있는 영상을 만들어 봤습니다 ~ 앤디쌤과 선생님들이 여러분들께 도움이 되고자 많이 조사했으니 앞으로도 쭉 지켜봐주세요 ~
컨설팅 프로그램 소개http://andyprep.com/teacher/consult_intro/index.php
특강 프로그램 소개: http://andyprep.com/program/program3.php
영어 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GjqYSH8ep2mG3_HJ_92q_A?sub_confirmation=1
페이스 북: https://www.facebook.com/andy.prep
카카오톡 을 통한 뉴스 소식 받기 :http://andyprep.com/program/kakaostruct.php
* 기본 문의는 유튜브를 활용 해주시면 앤디쌤이 직접 답변 드릴 수 있습니다.
* 기타 수업 , 개별 상담, 프로그램 관련 문의 전화는 82-2-541-2464 로 전화 주시면 친절히 안내 드리고 있습니다. ㅎㅎ
#전공, #인체생물학, #미국대학
jin min : Ap 시험요.걍학교수업중수강하는거말구요
jin min : 저런전공ㆍbiomedical engineering 등가려면 ap bio 나ap chem이필수인가요?
ultra : 선생님 혹시 생명공학과 갈려면 sat2 biology 필수인가요 지금까지 다 physics로 준비했고 이제 12학년이라 ap 도 시간이 없는데 많이 힘들까요?감사합니다 ㅎ
홍영희 : 딸이 전공을 결정하지 못했는데 앞으로 도움이 될거 같습니다.
오늘 말씀도 감사합니다.
이화여자대학교 휴먼기계바이오공학부 홍보영상
휴먼기계바이오공학부는 전세계적으로 인구의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수요가 급격하게 증대되고 있는 바이오헬스 신산업 분야를 연구하는 융합학문 분야입니다. 본 학부는 의학과 공학의 융합을 통해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인 첨단의료기기, 지능형 로봇, 빅데이터, 바이오인포매틱스, 생체공학, 바이오센서, 뇌신경접속 등을 포함하는 여성친화적인 미래신산업 분야를 이끌어갈 여성 엔지니어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엘텍공과대학의 휴먼기계바이오공학부는 기존 공과대학뿐만 아니라 이화의료원(목동병원, 마곡병원(2018년 개원예정))과 의과대학, 약학대학, 자연대학, 뇌인지과학 등을 기반으로 의생명공학 분야의 다학제적 융복합 교육과 연구를 담당합니다.
Sun Sun : 환경공학과도 해주세요ㅠㅠㅠㅠ 미래 유망 직업 환경!!
의공학부 취업률 노답인가?
의공학부 취업률 노답인가?
이 영상은 연세대학교 의공학부 졸업생들의 취업현황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영상입니다.
Does Biomedical engineering has a vision for future??
This video is based on the employment status of graduates of Yonsei University's medical and engineering departments.
산도의 의공학 유튜브 : 구인구직사이트에 관한 언급은 저의 주관적인 의견이며 이걸 시청하시는분은 일반화하여 생각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또한 제가 앞으로 만들거나 만들어온 영상중의 질문들이나 조언은 저의 주관적인 조언입니다. 성급한 일반화는 자제해주세요!! 저 또한 일반화를 최대한 안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eun : 의공기사 자격증 따고 싶으면 어떻게 공부해야되나요?
판다 : 2:08 438번에 계약직 채용공고라고 뜨는데... 정보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지네요
코알라 : 울산대 의공학부는 어떤가요..?
dhwn _0623 : 영상의 6개의 학교가 가장 유명한가요?
조피자 : 기계공학을 본전공으로 하고 생명쪽을 복수전공하는 방법도 있겠네요
e e : 저기서의 연세대는 미래캠퍼스(원주)를 말하는거 맞죠?
헤이스트 : 저거원주캠이잖아
지예림 : 고등학교때 물리안하면 많이 따라가기 힘들어요??
황온유 : 아마 우리나라에서 가장 좋은?(일단 상위권인) 의공학부에 재학중인 사람으로서 말하자면... 의공학은 정말 넓은 분야라 의공학을 공부하고자 할 때 의공학부에 입학하는 것은 것 비효율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차라리 정해진 공학과를 간다면(기계공학과, 화학공학과 등) 그 분야에서 확실히 배운 것을 대학원에서 새로 배우는 내용과 종합하면 그것이 의공학을 전공하는 것이 됩니다. 즉, 뭔가를 제대로 공부하고 싶다면 대학 4년으로는 어떤 것도 배울 수 없는 것 입니다. 애매하게 여러 분야 다 배우다가 제대로 배우는 것은 없고, 그 과정에서 학부 연구생을 해야 한다면 자신의 멘탈을 갉아먹으면서 "스스로 학습"을 해야 하는 불상사가 생깁니다. 저의 경우에는 4학기를 마쳤는데도 불구하고 뭔가를 기초부터 심화까지 다 배운 과목이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공학과의 경우에는 여러 역학을 배우고 그 다음에 응용으로 들어가는 반면, 재료, 뇌공학, 시스템 등을 배워야 하는 저희과의 경우 역학은 과감히 생략합니다. 사실, 의공학과가 강조되려면 전공을 들어가는 3학기부터 의공학에 관련된 것을 들어야 하지만 그렇게 되면 기초를 모두 생략하고 말 그대로 "태어난 아기가 걸어야 되는"상황이 발생합니다.
일반적으로 공학 분야의 학생들이 힘든 것은 학교에서 배우는 양이 많아 힘든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거기에 실험 자체도 예비 레포트, 실험, 레포트 등을 내야 하여 시간이 더 많이 듭니다. 그러나 의공학과는 배우는 것도 많지만, 과감히 기초를 생략하기 때문에 그 기초를 스스로 유튜브, 구글, 전공 서적 등을 보면서 공부하는 방법밖에 없습니다. 또한 교수님도 깊게 설명하지 않으시고 빨리빨리 다 다루시려고 합니다. 제가 이번 학기에 고작 3학점 실험에 매주 18시간 이상을 쏟은 사람입니다...
물론 모든 학교가 저희 학교처럼 커리큘럼을 짜놓았다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만, 커리큘럼 보시고 분명히 "의공학"인데 6학기 까지 다른 비슷한 공학과와 커리큘럼이 많이 다르다면 피하세요. 취직도 많이 중요하지만 일단 의공학을 배우고 싶어 갔다면 그 커리큘럼은 매우 비효율적인 것이고 학교를 다니면서 "부당함"을 많이 느낄 수 있습니다. 그냥 취직 잘 되고 많이 배우는 전화기 가셔서 공부 열심히 하시다가 대학원으로 들어오시면 오히려 좀 더 낫지 않으실까 생각합니다.
[대학전공] 이번 영상부터 새롭게 시작되는 시리즈?가 되겠습니다~ 바로 '나에게 맞는 전공 찾기' , 이 주제는 미국 대학교에 있는 그 수많은 전공들 중에 누구나 다 아는 것들 말고 아 ~! 이런 전공도 있었네? 라고 새롭게 찾아볼 수 있는 전공들로 준비해봤습니다. 이 영상을 보는 학생들과 학부모님들이 전공찾는데 도움이 되시길 바라면서 ~ 나의 전공찾기! 그 첫번째 시간 시작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HumanBio 과연 어떤 전공일까요? 인체생물학 전공자는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앤디프랩] 대학교를 선택하는 일만큼 쉽지 않은 일이 바로 전공선택하기 입니다. 남들이 하는 전공 다 따라하는것도 좀 그렇고,, 어떤 전공이 나한테 잘 맞는지 어떻게 알아 봐야 하는지 난감할때 시리즈별로 볼 수 있는 영상을 만들어 봤습니다 ~ 앤디쌤과 선생님들이 여러분들께 도움이 되고자 많이 조사했으니 앞으로도 쭉 지켜봐주세요 ~
컨설팅 프로그램 소개http://andyprep.com/teacher/consult_intro/index.php
특강 프로그램 소개: http://andyprep.com/program/program3.php
영어 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GjqYSH8ep2mG3_HJ_92q_A?sub_confirmation=1
페이스 북: https://www.facebook.com/andy.prep
카카오톡 을 통한 뉴스 소식 받기 :http://andyprep.com/program/kakaostruct.php
* 기본 문의는 유튜브를 활용 해주시면 앤디쌤이 직접 답변 드릴 수 있습니다.
* 기타 수업 , 개별 상담, 프로그램 관련 문의 전화는 82-2-541-2464 로 전화 주시면 친절히 안내 드리고 있습니다. ㅎㅎ
#전공, #인체생물학, #미국대학
jin min : Ap 시험요.걍학교수업중수강하는거말구요
jin min : 저런전공ㆍbiomedical engineering 등가려면 ap bio 나ap chem이필수인가요?
ultra : 선생님 혹시 생명공학과 갈려면 sat2 biology 필수인가요 지금까지 다 physics로 준비했고 이제 12학년이라 ap 도 시간이 없는데 많이 힘들까요?감사합니다 ㅎ
홍영희 : 딸이 전공을 결정하지 못했는데 앞으로 도움이 될거 같습니다.
오늘 말씀도 감사합니다.
이화여자대학교 휴먼기계바이오공학부 홍보영상
휴먼기계바이오공학부는 전세계적으로 인구의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수요가 급격하게 증대되고 있는 바이오헬스 신산업 분야를 연구하는 융합학문 분야입니다. 본 학부는 의학과 공학의 융합을 통해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인 첨단의료기기, 지능형 로봇, 빅데이터, 바이오인포매틱스, 생체공학, 바이오센서, 뇌신경접속 등을 포함하는 여성친화적인 미래신산업 분야를 이끌어갈 여성 엔지니어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엘텍공과대학의 휴먼기계바이오공학부는 기존 공과대학뿐만 아니라 이화의료원(목동병원, 마곡병원(2018년 개원예정))과 의과대학, 약학대학, 자연대학, 뇌인지과학 등을 기반으로 의생명공학 분야의 다학제적 융복합 교육과 연구를 담당합니다.
Sun Sun : 환경공학과도 해주세요ㅠㅠㅠㅠ 미래 유망 직업 환경!!
의공학부 취업률 노답인가?
의공학부 취업률 노답인가?
이 영상은 연세대학교 의공학부 졸업생들의 취업현황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영상입니다.
Does Biomedical engineering has a vision for future??
This video is based on the employment status of graduates of Yonsei University's medical and engineering departments.
산도의 의공학 유튜브 : 구인구직사이트에 관한 언급은 저의 주관적인 의견이며 이걸 시청하시는분은 일반화하여 생각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또한 제가 앞으로 만들거나 만들어온 영상중의 질문들이나 조언은 저의 주관적인 조언입니다. 성급한 일반화는 자제해주세요!! 저 또한 일반화를 최대한 안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eun : 의공기사 자격증 따고 싶으면 어떻게 공부해야되나요?
판다 : 2:08 438번에 계약직 채용공고라고 뜨는데... 정보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지네요
코알라 : 울산대 의공학부는 어떤가요..?
dhwn _0623 : 영상의 6개의 학교가 가장 유명한가요?
조피자 : 기계공학을 본전공으로 하고 생명쪽을 복수전공하는 방법도 있겠네요
e e : 저기서의 연세대는 미래캠퍼스(원주)를 말하는거 맞죠?
헤이스트 : 저거원주캠이잖아
지예림 : 고등학교때 물리안하면 많이 따라가기 힘들어요??
황온유 : 아마 우리나라에서 가장 좋은?(일단 상위권인) 의공학부에 재학중인 사람으로서 말하자면... 의공학은 정말 넓은 분야라 의공학을 공부하고자 할 때 의공학부에 입학하는 것은 것 비효율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차라리 정해진 공학과를 간다면(기계공학과, 화학공학과 등) 그 분야에서 확실히 배운 것을 대학원에서 새로 배우는 내용과 종합하면 그것이 의공학을 전공하는 것이 됩니다. 즉, 뭔가를 제대로 공부하고 싶다면 대학 4년으로는 어떤 것도 배울 수 없는 것 입니다. 애매하게 여러 분야 다 배우다가 제대로 배우는 것은 없고, 그 과정에서 학부 연구생을 해야 한다면 자신의 멘탈을 갉아먹으면서 "스스로 학습"을 해야 하는 불상사가 생깁니다. 저의 경우에는 4학기를 마쳤는데도 불구하고 뭔가를 기초부터 심화까지 다 배운 과목이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공학과의 경우에는 여러 역학을 배우고 그 다음에 응용으로 들어가는 반면, 재료, 뇌공학, 시스템 등을 배워야 하는 저희과의 경우 역학은 과감히 생략합니다. 사실, 의공학과가 강조되려면 전공을 들어가는 3학기부터 의공학에 관련된 것을 들어야 하지만 그렇게 되면 기초를 모두 생략하고 말 그대로 "태어난 아기가 걸어야 되는"상황이 발생합니다.
일반적으로 공학 분야의 학생들이 힘든 것은 학교에서 배우는 양이 많아 힘든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거기에 실험 자체도 예비 레포트, 실험, 레포트 등을 내야 하여 시간이 더 많이 듭니다. 그러나 의공학과는 배우는 것도 많지만, 과감히 기초를 생략하기 때문에 그 기초를 스스로 유튜브, 구글, 전공 서적 등을 보면서 공부하는 방법밖에 없습니다. 또한 교수님도 깊게 설명하지 않으시고 빨리빨리 다 다루시려고 합니다. 제가 이번 학기에 고작 3학점 실험에 매주 18시간 이상을 쏟은 사람입니다...
물론 모든 학교가 저희 학교처럼 커리큘럼을 짜놓았다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만, 커리큘럼 보시고 분명히 "의공학"인데 6학기 까지 다른 비슷한 공학과와 커리큘럼이 많이 다르다면 피하세요. 취직도 많이 중요하지만 일단 의공학을 배우고 싶어 갔다면 그 커리큘럼은 매우 비효율적인 것이고 학교를 다니면서 "부당함"을 많이 느낄 수 있습니다. 그냥 취직 잘 되고 많이 배우는 전화기 가셔서 공부 열심히 하시다가 대학원으로 들어오시면 오히려 좀 더 낫지 않으실까 생각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