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즘과학
페이지 정보
본문
[초등과학/실험/인강]6학년1학기5단원2차시 프리즘을 통과한 햇빛은 어떻게 될까요?
#프리즘 을 통과한 #햇빛 은 어떻게 될까요?
#6학년 1학기 5단원 2차시 #과학실험 을 통해 알아봅시다^^
:혜안: : 아꿈선 오랜만이네..
swmudi스무디 : 이번에도 2초늦었네 어쩌네하는 사람없길 바란다
강원지 : 3분 그나마 맞췄네 2초 늦긴 했지만ㅋ
州公 : e학습터 진짜 개같네
기본 : 마지막에 뭐라고 하는거에요??
아꾸선 삼삼 무관한(?)~!!
티디 : 아꿈선 댓글 특:
아꿈선 ★분 ★초 과학!!-30%
걍 처봐-20%
외의 다수 시비댓글-30%
e학습터로 온사람!-20%
영상에 관한 댓-9%
나같은 놈-1%
황은영 : e학습터가 나를 여기로 이끌었다
모시모시 : 어떤 분들은 아꿈선 1초과학하던데
퀘이커 앵무 초희 레희 TV : 어헛! 누가 댓글보고잇으래
HEE JI : 과제
빛을 통해 들여다보는 과학 / YTN 사이언스
[앵커]
과학에 대한 모든 궁금증을 풀어주는 '궁금한 S' 시간입니다. 어둠을 밝히는 빛은 우리 삶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인데요. 그래서 아인슈타인을 포함한 위대한 과학자들도 '빛'에 대한 관심이 많았다고 합니다.
빛이 가진 재미있는 특성은 무엇일지, 지금 바로 화면으로 만나보시죠.
[이효종 / 과학 유튜버]
안녕하세요! 과학의 모든 궁금증을 해결하는 '궁금한 S'의 이효종입니다. '궁금한 S'와 함께할 오늘의 이야기 만나볼게요.
빛은 어두운 세상을 밝혀 무언가를 볼 수 있도록 해 줄 뿐만 아니라, 과학을 이해하고 기술을 발전시키는 데 커다란 도움을 줍니다. 그래서 예로부터 많은 신화나 이야기 속에서 찾아볼 수 있는, 너무나 고마운 존재죠.
수 세기에 걸쳐 정말로 많은 자연 철학자들과 과학자들은 이 '빛'이라는 존재에 대한 특성과 연구를 진행해왔고, 이는 정말 많은 과학 분야의 밑거름이 되었습니다. 이렇게 빛은 과학, 기술, 산업 그리고 우리의 일상과 아주 가까이 맞닿아 있는 존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다양하고 쉽게 접할 수 있는 대상이 되었습니다. 그런데 여러분, 혹시 알고 계셨나요?
바로 이 '빛'이 가지는 특성 때문에 우리 일상 속에서 발견할 수 있는 흥미로운 현상이 있다는 사실을 말이에요! 어떤 것들이 있는지, 함께 들여다보도록 할까요?
혹시 여러분들은 안에서는 밖이 보이는데, 밖에서는 안이 보이지 않는 유리를 본 적 있으신가요? 이러한 유리를 보통 반투과성 유리라고 합니다. 그런데 대체, 이 유리에 어떤 비밀이 숨어 있길래, 한쪽 방향에서는 투과되어 보이는 것이, 다른 한쪽 방향에서는 거울처럼 보일 수 있는 걸까요?
안에서는 밖이 잘 보이는데, 밖에서는 안이 안 보이는 상황은 대부분 물체에 닿는 빛이 '밖에' 있는 상황일 가능성이 매우 큽니다. 왜냐하면, 결국 우리가 무언가를 보기 위해서는 물체 표면에서 빛이 산란한 뒤에 우리 눈으로 들어와야 하는데, 그 과정에서 유리가 물체를 보는 것을 방해하기 위해서는 보이는 쪽에서 빛이 산란하는 상황이어야 합니다.
유리를 사이에 두고 건물 안쪽에는 'S'가 건물 바깥쪽에는 '궁금'이가 있습니다. 이 유리는 아주 특수하게 제작된 유리라서 빛을 70%는 튕겨내고 30%는 투과시킨다고 가정해봅시다. 지금 시각은 낮입니다. 어떤 일이 일어날까요?
궁금이의 입장에서는 약 70% 빛을 반사하는 유리는 직접 입사하는 빛이든, 산란을 통해서 입사하는 빛이든 강하게 반사하게 되며 이는 마치 유리를 거울처럼 보이게 합니다. 하지만 유리 안쪽에 있는 S의 경우에는 그냥 30%만 투과하는 빛만 보이기 때문에 바깥 풍경을 마음껏 감상할 수 있습니다.
빛에 관한 재미있는 궁금증이 또 하나 있습니다. 생각해보면 빛의 3원색이라는 존재들은 섞으면 섞을수록 밝아지는데, 왜 비슷해 보이는 물감은 섞으면 섞을수록 어두워질까요?
색의 기원이 빛이라는 사실을 처음 밝혀낸 사람은 17세기를 대표하는 자연 철학자인 아이작 뉴턴의 프리즘 실험을 통해서였습니다. 프리즘을 통과한 빛은 여러 색깔, 즉 빨주노초파남보의 7가지 무지개색으로 나뉜다는 것을 알고 계신가요?
뉴턴도 바로 이 프리즘을 이용해 빛의 특성을 알아보았던 자연 철학자였죠. 당시 뉴턴은 빛은 색을 지니고 있는 알갱이들의 집합, 즉 '코어퍼슬'로 이뤄져 있다고 생각하였고, 물체가 색을 나타내는 이유는 바로 이 특정한 색의 '코어퍼슬'이 우리의 눈으로 들어오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파동광학이 발달한 오늘날, 빛의 색은 사실 빛이 가지는 파장에 따라 달라진다는 사실을...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program_view.php?s_mcd=0082\u0026s_hcd=0022\u0026key=201904121627143131
재주 많은 친구들 : e학습터에서 왔는데 재밌넹
Jongdae Park : 유튜버 소개할때 아래 보면 유투버라 써져있음.ㅋ
이찬교 : ㅇ ㅗㄴㄹㅏㅇㅣㄴ 손?
푸른하늘guu : ㅗ
오
옹
나연잉 : e학습터에서 왔어요!!
김주현 : 호호
박진웅 : 역시 과학쿠키! ㅎㅎ 영상 조회수가 너무 낮다는게 아쉽네요 ㅜㅜ 기초 과학에 많은 관심과 응원이 필요한 때입니다.
해감자 : 3:09
무지개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 지구와 우주 | rainbow | 프리즘 | 빛의 굴절 | 깨비키즈 KEBIKIDS
무지개가 만들어지는 원리에 대해 재미있는 스토리를 통해 알아봅니다.
★ 깨비키즈 구독하기 ►► https://www.youtube.com/channel/UCD_-N4vf-tsqbUxrQ4CrJIA/?sub_confirmation=1
-----
대한민국 No.1 유아교육 깨비키즈에서 더 많은 영상을 만나보세요!
★ 깨비키즈 : http://www.kebikids.com
Copyright © KEBIKIDS Corp. All Rights Reserved.
#프리즘 을 통과한 #햇빛 은 어떻게 될까요?
#6학년 1학기 5단원 2차시 #과학실험 을 통해 알아봅시다^^
:혜안: : 아꿈선 오랜만이네..
swmudi스무디 : 이번에도 2초늦었네 어쩌네하는 사람없길 바란다
강원지 : 3분 그나마 맞췄네 2초 늦긴 했지만ㅋ
州公 : e학습터 진짜 개같네
기본 : 마지막에 뭐라고 하는거에요??
아꾸선 삼삼 무관한(?)~!!
티디 : 아꿈선 댓글 특:
아꿈선 ★분 ★초 과학!!-30%
걍 처봐-20%
외의 다수 시비댓글-30%
e학습터로 온사람!-20%
영상에 관한 댓-9%
나같은 놈-1%
황은영 : e학습터가 나를 여기로 이끌었다
모시모시 : 어떤 분들은 아꿈선 1초과학하던데
퀘이커 앵무 초희 레희 TV : 어헛! 누가 댓글보고잇으래
HEE JI : 과제
빛을 통해 들여다보는 과학 / YTN 사이언스
[앵커]
과학에 대한 모든 궁금증을 풀어주는 '궁금한 S' 시간입니다. 어둠을 밝히는 빛은 우리 삶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인데요. 그래서 아인슈타인을 포함한 위대한 과학자들도 '빛'에 대한 관심이 많았다고 합니다.
빛이 가진 재미있는 특성은 무엇일지, 지금 바로 화면으로 만나보시죠.
[이효종 / 과학 유튜버]
안녕하세요! 과학의 모든 궁금증을 해결하는 '궁금한 S'의 이효종입니다. '궁금한 S'와 함께할 오늘의 이야기 만나볼게요.
빛은 어두운 세상을 밝혀 무언가를 볼 수 있도록 해 줄 뿐만 아니라, 과학을 이해하고 기술을 발전시키는 데 커다란 도움을 줍니다. 그래서 예로부터 많은 신화나 이야기 속에서 찾아볼 수 있는, 너무나 고마운 존재죠.
수 세기에 걸쳐 정말로 많은 자연 철학자들과 과학자들은 이 '빛'이라는 존재에 대한 특성과 연구를 진행해왔고, 이는 정말 많은 과학 분야의 밑거름이 되었습니다. 이렇게 빛은 과학, 기술, 산업 그리고 우리의 일상과 아주 가까이 맞닿아 있는 존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다양하고 쉽게 접할 수 있는 대상이 되었습니다. 그런데 여러분, 혹시 알고 계셨나요?
바로 이 '빛'이 가지는 특성 때문에 우리 일상 속에서 발견할 수 있는 흥미로운 현상이 있다는 사실을 말이에요! 어떤 것들이 있는지, 함께 들여다보도록 할까요?
혹시 여러분들은 안에서는 밖이 보이는데, 밖에서는 안이 보이지 않는 유리를 본 적 있으신가요? 이러한 유리를 보통 반투과성 유리라고 합니다. 그런데 대체, 이 유리에 어떤 비밀이 숨어 있길래, 한쪽 방향에서는 투과되어 보이는 것이, 다른 한쪽 방향에서는 거울처럼 보일 수 있는 걸까요?
안에서는 밖이 잘 보이는데, 밖에서는 안이 안 보이는 상황은 대부분 물체에 닿는 빛이 '밖에' 있는 상황일 가능성이 매우 큽니다. 왜냐하면, 결국 우리가 무언가를 보기 위해서는 물체 표면에서 빛이 산란한 뒤에 우리 눈으로 들어와야 하는데, 그 과정에서 유리가 물체를 보는 것을 방해하기 위해서는 보이는 쪽에서 빛이 산란하는 상황이어야 합니다.
유리를 사이에 두고 건물 안쪽에는 'S'가 건물 바깥쪽에는 '궁금'이가 있습니다. 이 유리는 아주 특수하게 제작된 유리라서 빛을 70%는 튕겨내고 30%는 투과시킨다고 가정해봅시다. 지금 시각은 낮입니다. 어떤 일이 일어날까요?
궁금이의 입장에서는 약 70% 빛을 반사하는 유리는 직접 입사하는 빛이든, 산란을 통해서 입사하는 빛이든 강하게 반사하게 되며 이는 마치 유리를 거울처럼 보이게 합니다. 하지만 유리 안쪽에 있는 S의 경우에는 그냥 30%만 투과하는 빛만 보이기 때문에 바깥 풍경을 마음껏 감상할 수 있습니다.
빛에 관한 재미있는 궁금증이 또 하나 있습니다. 생각해보면 빛의 3원색이라는 존재들은 섞으면 섞을수록 밝아지는데, 왜 비슷해 보이는 물감은 섞으면 섞을수록 어두워질까요?
색의 기원이 빛이라는 사실을 처음 밝혀낸 사람은 17세기를 대표하는 자연 철학자인 아이작 뉴턴의 프리즘 실험을 통해서였습니다. 프리즘을 통과한 빛은 여러 색깔, 즉 빨주노초파남보의 7가지 무지개색으로 나뉜다는 것을 알고 계신가요?
뉴턴도 바로 이 프리즘을 이용해 빛의 특성을 알아보았던 자연 철학자였죠. 당시 뉴턴은 빛은 색을 지니고 있는 알갱이들의 집합, 즉 '코어퍼슬'로 이뤄져 있다고 생각하였고, 물체가 색을 나타내는 이유는 바로 이 특정한 색의 '코어퍼슬'이 우리의 눈으로 들어오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파동광학이 발달한 오늘날, 빛의 색은 사실 빛이 가지는 파장에 따라 달라진다는 사실을...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program_view.php?s_mcd=0082\u0026s_hcd=0022\u0026key=201904121627143131
재주 많은 친구들 : e학습터에서 왔는데 재밌넹
Jongdae Park : 유튜버 소개할때 아래 보면 유투버라 써져있음.ㅋ
이찬교 : ㅇ ㅗㄴㄹㅏㅇㅣㄴ 손?
푸른하늘guu : ㅗ
오
옹
나연잉 : e학습터에서 왔어요!!
김주현 : 호호
박진웅 : 역시 과학쿠키! ㅎㅎ 영상 조회수가 너무 낮다는게 아쉽네요 ㅜㅜ 기초 과학에 많은 관심과 응원이 필요한 때입니다.
해감자 : 3:09
무지개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 지구와 우주 | rainbow | 프리즘 | 빛의 굴절 | 깨비키즈 KEBIKIDS
무지개가 만들어지는 원리에 대해 재미있는 스토리를 통해 알아봅니다.
★ 깨비키즈 구독하기 ►► https://www.youtube.com/channel/UCD_-N4vf-tsqbUxrQ4CrJIA/?sub_confirmation=1
-----
대한민국 No.1 유아교육 깨비키즈에서 더 많은 영상을 만나보세요!
★ 깨비키즈 : http://www.kebikids.com
Copyright © KEBIKIDS Corp. All Rights Reserved.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