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 지도
페이지 정보
본문
[수원] 경기도의 핵심 수원시는 어떤 곳일까? 자세하게 알아보자!
#도시소개 #지역소개 #수원
전국 지자체 인구 1위인 도시이며 대한민국 기업 1위인 삼성전자의 본진, 세계문화유산 화성의 도시 수원은 어떤곳일까요?
수원의 랜드마크 화성이 어떻게 생겨났는지, 수원이 어떻게 광역시를 제치고 지자체 인구 1위를 찍었는지 알아보고 수원의 지명유래와 현황, 특징과 역사를 영상으로 통해 함께 알아보도록 하죠~~
수원시 타입랩스 영상과 항공촬영 영상을 사용하게 해주신 수원시청 홍보과에게 감사의 인사를 전합니다. 감사합니다~~
사용한 음악
Music : Vlad Gluschenko — Forest
License : CC BY 3.0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3.0/deed.en
Listen to this track on SoundCloud : https://soundcloud.com/vgl9/forest-free-download
병튜브 : 시간이 없으시거나 특정부분만 시청하시길 원하는 분들을 위해 파트별로 나눴습니다.
수원의 기본현황(인구,면적)과 지명유래
0:38 ~ 2:08
수원의 주요한 특징(지형, 교통, 산업)
2:09 ~ 5:07
수원에 대해 자세히 파해쳐보기
(각 행정구의 특징, 상권, 교육, 문화)
5:08 ~ 9:00
수원의 역사와 행정구역 변화
9:01 ~ 11:24
영상이 마음에 들면 좋아요를 마음에 들지 않았다면 댓글로 피드백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더 많은 도시와 지역에 대해서 알고 싶으면 제 채널에 놀러와주세요~~
Minyoung Kim : 서울에서 수원으로 이사와서 수원 전체적인 정보가 궁금했는데 정말 깔끔하게 흥미롭게 만든 영상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조우성 : 와~~ 영상 퀄리티가 엄청 좋습니다! 구독 했어요! 앞으로 자주 챙겨보겠습니다!
그리고 수원 살면서 진짜 병튜브님이 언급하신 내용 다 공감되네요!
체리맛쿠키 : 삼성전자 공장이 수원에 있던 시절 주말만되면 삼성전자 주변 상권은 대환장파티 지금은 공장이 대부분 지방이나 해외로 이전을 했지만 그래도 수원사람은 삼성전자를 자랑으로 여기고 자부심을 느낍니다.
조의성 : 영상 진짜 잘 만드셨네요~
내용도 너무 충실하고~
행궁동 카페거리 활성화 될수 있게 시간되실때 행궁과 화성의 아름다움을 영상에 담아주세요 ~~ 서울 연남동 가보면 행궁이 훨씬 스토리가 많은 싸이트인데~~사람들이 잘 모르는것 같아요~~ㅎㅎ~~영상 너무 잘 봤습니다.
‘인덕원~동탄 복선전철’ 수원시 내 6개역 신설 확정
지난 3월, 국토교통부가
'인덕원~동탄 복선전철 건설사업 기본계획'을 고시하면서, 수원 구간에 6개 역 신설이 확정됐습니다.
인덕원~동탄 복선전철 건설사업 기본계획에 따르면
인덕원선은 인덕원, 의왕, 수원, 용인, 동탄으로 이어지는
37.1km 구간에 건설됩니다.
2021년 착공해 2026년까지 개통할 예정입니다.
인덕원~동탄 복선전철 2026년 개통…. 수원시 관내 6개 역 신설
인덕원선이 개통되면 수원시 관내에 건설되는 역은
북수원, 장안구청, 수원월드컵경기장 등 6개입니다.
북수원역은 2012년 국토교통부의 기본계획에는 제외됐었지만
시는 국토교통부에 '북수원역 추가 설치'를
적극적으로 요구했습니다.
INT 김 용 학 / 수원시 도시교통과장
2014년 시민들과 수원시가 북수원역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총 사업 건설비 686억 중 343억을 수원시가 부담하는 것으로 하고, 결정하여 추진하게 되었습니다.
2026년 인덕원선 개통되면 '수원 통과 전철역 20개'
내년 수인선이 연결되면 수원시 관내 전철역은 14개가 되며,
2026년 인덕원선이 개통되면
수원을 통과하는 전철역은 총 20개가 됩니다.
INT 김 용 학 / 수원시 도시교통과장
인덕원~수원~동탄 복선전철은 저희 수원시를 남북으로 잇는
철도사업이 되겠습니다. 인덕원~수원~동탄 간 전철이 완료되면
수원시를 동서남북으로 잇는 격자형 철도망 구축이 완료되겠습니다.
상습적인 경수대로의 교통 체증 해소에 이득을 담당하겠습니다.
수원시 '노면전차', 2022년 운행 예정
한편, 지난 2월 노면전차 운행 근거를 담은
'도로교통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해
노면전차 도입을 위한 3가지 법안이 모두 마련됐습니다.
이에 따라, 시가 도입을 추진하고 있는 '노면전차' 사업이
추진동력을 확보해,
2022년이면 수원 시내를 달리는 노면전차의 모습을
만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수원iTV 이다혜입니다.
어리둥저얼? : 수원은 진짜 대중교통의 도시인듯. ㄹㅇ 수원살다보면 다른지역 교통불편해서 못다님.
SN Lee : 2021년 12월…. 착공 했다는 얘기는 듣지도 못했다…. 얼마나 지연될까?
multimillionaire kjh : 북수원은 아파트도 없고 아무것도 없는데
2바이오 : 드
47_kr : 있는데요
동그라미로 보는 수원 창원 울산 구군별 인구변화 (1966-2020)
동그라미로 크기로 보는 1966년 부터 2020년 9월까지의 울산광역시와 경기도 수원시, 경상남도 창원시의 구군별 인구변화 입니다.
자료출처: KOSIS(통계청, 인구총조사), 2020.10.06.,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 2020.10.06.
음악: Around Again by Ian Post
연혁
수원
1988.7.1. 장안구, 권선구 설치
1993. 2.1. 팔달구 설치
2003.11.24. 영통구, 팔달구로부터 분구
2003.11.24. 장안구, 권선구 일부 →팔달구에 편입
창원
1973.7.1. 창원군 일부→마산시, 진해시로 편입
1980.4.1. 창원시 신설
1980.4.1. 창원군→의창군으로 개칭
1983.2.15. 의창군 일부→진해시로 편입
1989.1.1. 의창군 천가면→부산직할시로 편입
1990.7.1. 마산시 합포구, 회원구 신설
1991.1.1. 의창군 →창원군으로 명칭 환원
1995.1.1. 창원군 일부→창원시, 마산시에 편입 후 창원군 폐지
1990.7.1. 마산시 구제 폐지
2010.7.1. 통합 창원시 출범
2010.7.1. 의창구, 성산구, 마산합포구, 마산회원구, 진해구 신설
울산
1985.7.15. 구제 실시로 중구, 남구 설치, 방어진출장소→중구에 편입
1988.1.1. 방어진출장소→동구로 신설
1991.1.1. 울주군→울산군으로 명칭 환원
1995.1.1. 울산시와 울산군의 통합과 함께 울주구 설치
1997.7.15. 광역시로 승격
1997.7.15. 중구, 울주구로부터 북구 분구
1997.7.15. 울주구→ 울주군으로 개편
1998.3.1. 동구 염포동이 북구로 편입
사유하다 : 비슷한 인구수끼리의 비교 데이터 재밌게 봤습니다.
그나저나 70년대까지의 마산은 최고였네요.
수원에서 몇 년 살았었는데, 지금도 가 보면 망포나 이런 쪽은 아직도 아파트 짓고 있습니다.
지금도 대단한 인구수인데 아직도 증가 여지가 남아 있는거죠. 수도권의 힘이란...
아이고난 : 수원시민으로써 자랑스럽습니다.
김지수 : 창원 지역은 구한말까지 창원부로 한 소속이었다가 일제시대때 마산이 떨어져 나오면서부터 우여곡절을 많이 겪었습니다
҉ : 수원에 사는 사람으로써 기분이 좋습니다
다만 인구는 많는데 땅과 도로는 좁고
교통체증이 심각합니다
김도연 : 울산 북구는 정자쪽도 그렇고 개발이 한창이던데 처음으로 중구 인구를 넘어섰네요 신기해ㅎㅎ 좋은 영상 고마워요!
#도시소개 #지역소개 #수원
전국 지자체 인구 1위인 도시이며 대한민국 기업 1위인 삼성전자의 본진, 세계문화유산 화성의 도시 수원은 어떤곳일까요?
수원의 랜드마크 화성이 어떻게 생겨났는지, 수원이 어떻게 광역시를 제치고 지자체 인구 1위를 찍었는지 알아보고 수원의 지명유래와 현황, 특징과 역사를 영상으로 통해 함께 알아보도록 하죠~~
수원시 타입랩스 영상과 항공촬영 영상을 사용하게 해주신 수원시청 홍보과에게 감사의 인사를 전합니다. 감사합니다~~
사용한 음악
Music : Vlad Gluschenko — Forest
License : CC BY 3.0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3.0/deed.en
Listen to this track on SoundCloud : https://soundcloud.com/vgl9/forest-free-download
병튜브 : 시간이 없으시거나 특정부분만 시청하시길 원하는 분들을 위해 파트별로 나눴습니다.
수원의 기본현황(인구,면적)과 지명유래
0:38 ~ 2:08
수원의 주요한 특징(지형, 교통, 산업)
2:09 ~ 5:07
수원에 대해 자세히 파해쳐보기
(각 행정구의 특징, 상권, 교육, 문화)
5:08 ~ 9:00
수원의 역사와 행정구역 변화
9:01 ~ 11:24
영상이 마음에 들면 좋아요를 마음에 들지 않았다면 댓글로 피드백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더 많은 도시와 지역에 대해서 알고 싶으면 제 채널에 놀러와주세요~~
Minyoung Kim : 서울에서 수원으로 이사와서 수원 전체적인 정보가 궁금했는데 정말 깔끔하게 흥미롭게 만든 영상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조우성 : 와~~ 영상 퀄리티가 엄청 좋습니다! 구독 했어요! 앞으로 자주 챙겨보겠습니다!
그리고 수원 살면서 진짜 병튜브님이 언급하신 내용 다 공감되네요!
체리맛쿠키 : 삼성전자 공장이 수원에 있던 시절 주말만되면 삼성전자 주변 상권은 대환장파티 지금은 공장이 대부분 지방이나 해외로 이전을 했지만 그래도 수원사람은 삼성전자를 자랑으로 여기고 자부심을 느낍니다.
조의성 : 영상 진짜 잘 만드셨네요~
내용도 너무 충실하고~
행궁동 카페거리 활성화 될수 있게 시간되실때 행궁과 화성의 아름다움을 영상에 담아주세요 ~~ 서울 연남동 가보면 행궁이 훨씬 스토리가 많은 싸이트인데~~사람들이 잘 모르는것 같아요~~ㅎㅎ~~영상 너무 잘 봤습니다.
‘인덕원~동탄 복선전철’ 수원시 내 6개역 신설 확정
지난 3월, 국토교통부가
'인덕원~동탄 복선전철 건설사업 기본계획'을 고시하면서, 수원 구간에 6개 역 신설이 확정됐습니다.
인덕원~동탄 복선전철 건설사업 기본계획에 따르면
인덕원선은 인덕원, 의왕, 수원, 용인, 동탄으로 이어지는
37.1km 구간에 건설됩니다.
2021년 착공해 2026년까지 개통할 예정입니다.
인덕원~동탄 복선전철 2026년 개통…. 수원시 관내 6개 역 신설
인덕원선이 개통되면 수원시 관내에 건설되는 역은
북수원, 장안구청, 수원월드컵경기장 등 6개입니다.
북수원역은 2012년 국토교통부의 기본계획에는 제외됐었지만
시는 국토교통부에 '북수원역 추가 설치'를
적극적으로 요구했습니다.
INT 김 용 학 / 수원시 도시교통과장
2014년 시민들과 수원시가 북수원역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총 사업 건설비 686억 중 343억을 수원시가 부담하는 것으로 하고, 결정하여 추진하게 되었습니다.
2026년 인덕원선 개통되면 '수원 통과 전철역 20개'
내년 수인선이 연결되면 수원시 관내 전철역은 14개가 되며,
2026년 인덕원선이 개통되면
수원을 통과하는 전철역은 총 20개가 됩니다.
INT 김 용 학 / 수원시 도시교통과장
인덕원~수원~동탄 복선전철은 저희 수원시를 남북으로 잇는
철도사업이 되겠습니다. 인덕원~수원~동탄 간 전철이 완료되면
수원시를 동서남북으로 잇는 격자형 철도망 구축이 완료되겠습니다.
상습적인 경수대로의 교통 체증 해소에 이득을 담당하겠습니다.
수원시 '노면전차', 2022년 운행 예정
한편, 지난 2월 노면전차 운행 근거를 담은
'도로교통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해
노면전차 도입을 위한 3가지 법안이 모두 마련됐습니다.
이에 따라, 시가 도입을 추진하고 있는 '노면전차' 사업이
추진동력을 확보해,
2022년이면 수원 시내를 달리는 노면전차의 모습을
만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수원iTV 이다혜입니다.
어리둥저얼? : 수원은 진짜 대중교통의 도시인듯. ㄹㅇ 수원살다보면 다른지역 교통불편해서 못다님.
SN Lee : 2021년 12월…. 착공 했다는 얘기는 듣지도 못했다…. 얼마나 지연될까?
multimillionaire kjh : 북수원은 아파트도 없고 아무것도 없는데
2바이오 : 드
47_kr : 있는데요
동그라미로 보는 수원 창원 울산 구군별 인구변화 (1966-2020)
동그라미로 크기로 보는 1966년 부터 2020년 9월까지의 울산광역시와 경기도 수원시, 경상남도 창원시의 구군별 인구변화 입니다.
자료출처: KOSIS(통계청, 인구총조사), 2020.10.06.,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 2020.10.06.
음악: Around Again by Ian Post
연혁
수원
1988.7.1. 장안구, 권선구 설치
1993. 2.1. 팔달구 설치
2003.11.24. 영통구, 팔달구로부터 분구
2003.11.24. 장안구, 권선구 일부 →팔달구에 편입
창원
1973.7.1. 창원군 일부→마산시, 진해시로 편입
1980.4.1. 창원시 신설
1980.4.1. 창원군→의창군으로 개칭
1983.2.15. 의창군 일부→진해시로 편입
1989.1.1. 의창군 천가면→부산직할시로 편입
1990.7.1. 마산시 합포구, 회원구 신설
1991.1.1. 의창군 →창원군으로 명칭 환원
1995.1.1. 창원군 일부→창원시, 마산시에 편입 후 창원군 폐지
1990.7.1. 마산시 구제 폐지
2010.7.1. 통합 창원시 출범
2010.7.1. 의창구, 성산구, 마산합포구, 마산회원구, 진해구 신설
울산
1985.7.15. 구제 실시로 중구, 남구 설치, 방어진출장소→중구에 편입
1988.1.1. 방어진출장소→동구로 신설
1991.1.1. 울주군→울산군으로 명칭 환원
1995.1.1. 울산시와 울산군의 통합과 함께 울주구 설치
1997.7.15. 광역시로 승격
1997.7.15. 중구, 울주구로부터 북구 분구
1997.7.15. 울주구→ 울주군으로 개편
1998.3.1. 동구 염포동이 북구로 편입
사유하다 : 비슷한 인구수끼리의 비교 데이터 재밌게 봤습니다.
그나저나 70년대까지의 마산은 최고였네요.
수원에서 몇 년 살았었는데, 지금도 가 보면 망포나 이런 쪽은 아직도 아파트 짓고 있습니다.
지금도 대단한 인구수인데 아직도 증가 여지가 남아 있는거죠. 수도권의 힘이란...
아이고난 : 수원시민으로써 자랑스럽습니다.
김지수 : 창원 지역은 구한말까지 창원부로 한 소속이었다가 일제시대때 마산이 떨어져 나오면서부터 우여곡절을 많이 겪었습니다
҉ : 수원에 사는 사람으로써 기분이 좋습니다
다만 인구는 많는데 땅과 도로는 좁고
교통체증이 심각합니다
김도연 : 울산 북구는 정자쪽도 그렇고 개발이 한창이던데 처음으로 중구 인구를 넘어섰네요 신기해ㅎㅎ 좋은 영상 고마워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