뮤냐뮤냐
페이지 정보
본문
[무나홈트]데일리전신스트레칭(설명추가)/[moona-workout]Daily Total body stretch/매일하는스트레칭
[무나홈트]데일리전신스트레칭(설명추가)/[moona-workout]Daily Total body stretch/매일하는스트레칭
설명추가본입니다^^
INSTAGRAM ID : xxdmsdudxx
팔로우하시고 쉽게 소통해요!
나은솔 : 스트레칭도 시원하지만 설명해주시는 편안한 어조와 속도, 세심한 설명 넘 좋아요 끝나고 심신이 이완되는 느낌이에요! 항상 감사합니다
Eunsil Lee : 무나님 스트레칭 영상 항상 잘 보고 있어요! 자세 하나하나 친절하게 설명해주시고 호흡도 함께 해주시니까 스트레칭이 더 잘 되는 느낌이에요:) 어깨 목 다리 항상 꽉꽉 막혀 있는데 요거 하나 하면 시원하게 풀려서 기분이 좋네요! 얼른 저도 무나님처럼 유연해지길★
YJ B : 무나쌤 덕에 매일 시원하게 스트레칭하고 있어요! 차근차근 잘 설명해주시고 호흡법도 정확하게 알려주셔서 더 효과적으로 운동할수 있는 것 같아요 감사합니당ㅎㅎ 근력운동이랑 유산소 운동을 잘 구분 못하겠는데 근력운동 영상 추천해주세요~
hector Lee : 운동 전/후 , 아침에 일어나서 스트레칭 하고있는데 굉장히 큰 도움 받고 있습니다.
몸이 많이 굳어서 아직 안되는 동작도 많지만 꾸준~히 하고 있습니다 :)
영상 감사합니다!ㅎ
Veronica Jo : 우와~ 이 스트레칭 정말 좋아요!! 뻐근한 몸이 다 풀렸어요. 그냥 잤으면 내일도 여전히 피곤모드였을 텐데, 하고나니까 기운이 다시 채워진 느낌이에요. 무나님 영상 고맙습니다
Brave Girls - Rollin’(롤린) cover
안녕하세요 뮤나입니다!
이번 영상은 요즘 엄청난 인기인 브레이브걸스 님들의 롤린!!!!
노래 너무 좋아여,,, 그래서 노래가 너무 좋은만큼 파인님과 함께 해 보았어요 :)
뮤나 음악활동 후원하기!
https://toon.at/donate/637552016675802956
inst 출처 -
레슨이나 모든문의는 DM, 메일 주세요:)
Instagram-
https://www.instagram.com/yoon_aa__/
메일-
munaguitar@naver.com
Xagor Vangard : Well done ladies. Great cover.
SEN Tinals : Muna’s guitar sounds so smooth
Володимир Стеців : I really enjoyed listening to such an incredibly beautiful cover of this magical music and song. Thank you MUNA and FiNE .
Blues Rock'n'Roll : Sounds great , vocal is awesome and the guitar solo mind blowing . I really love the guitar solo
Glenn Goetz : WOW, a superfine cover by two lovely young ladies!!
마키아벨리의 [군주론], 왜 쓰였을까? 군주론을 둘러싼 메디치 가문과 마키아벨리 이야기!
#군주론 #마키아벨리 #메디치가문
마키아벨리의 [군주론], 왜 쓰였을까?
군주론을 둘러싼 메디치 가문과 마키아벨리 이야기!
즐거움과 유익함이 가득가득
김지윤 박사가 들려주는 재미있는 이야기
구독 , 좋아요! 김지윤의 지식Play
kimjyTV@gmail.com
Yong Seung Kim : 50만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구독할때 10명 안에 들어서 박사님이 쓰신 책도 받았는데ᆢ뿌듯합니다.^^
Arslan Kim : 책을 통해 소통하는 컨텐츠도 너무 좋습니다! 마침 얼마전에 마키아벨리의 로마사 논고와 군주론을 읽고 정리한 적이 있었는데, 저도 박사님과 비슷하게 마키아벨리가 이력서이자 연구서로서 이 책을 메디치 가문에 보이고자 했던게 아닐까 생각합니다. 로마사 논고는 군주론과는 또 다른 입장에서 쓴 책이어서 그런지 접근하는 방법이 다르다고 생각하는데, 나중에 두 책을 같이 비교하는 영상도 올려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정치와 도덕을 분리하는것은 불가능하다고 봅니다. 역사적으로도, 변화를 주도하고 개혁을 이끄는 입장에 있는 사람들에게 도덕은 또 다른 무기로서 작용하고, 때로는 변혁을 두려워하는 사람들에게 정치적인 구실을 만들어주기도 하는 것을 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정치라는 것이 여러가지 다양한 의견을 가진 주체들에게서 합의를 이끌어내는 과정을 의미한다고 생각하면, 그러한 합의를 최소의 피해와 최대의 행복으로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도덕성을 기반으로 움직여야 한다고 봅니다.
마키아벨리의 이상적 군주에 해당하는 인물은 로마의 카이사르와 조위의 조조를 뽑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카이사르는 후대의 또다른 카이사르인 체사레 보르지아와 함께 군주론의 적절한 모델로서 항상 언급되는 인물이기도 하고, 카이사르가 전장과 정치에서 보여주었던 역량 즉, 비르투는 당대와 후대에서도 많이 다뤄진 점, 늘 자신을 행운의 총아 혹은 아들로서 묘사할 만큼 시기를 잘 읽고, 자칫 불운으로 느껴질 상황을 자신의 행운으로 만드는 것과 같은 모습을 통해 포르투나가 항상 자신에게 있음을 잘 보여주는 인물이라고 생각됩니다. 조조 역시도 환관의 후손이라는 점을 역으로 이용하거나, 위압과 관용을 적절하게 사용하여 권력을 강화하고, 개인의 능력 뿐 아니라 행운의 면에서도 준비된 인물임을 보여주는 일화들이 많기에 적합한 인물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군주론이라는 책이 매번 읽을 때 마다 항상 새로운 관점을 제시해준다는 생각을 하지만, 그럼에도 가장 와닿았던 구절은, 운명에 대한 구절입니다. ‘운명은 자신에게 대항하기 위해서 아무런 역량이 갖추어져 있지 않은 곳에서 그 위력을 떨치며, 자신을 제지하기 위한 아무런 제방이나 둑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곳을 덮칩니다.’ 박사님이 영상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운명이라는 것도 결국 준비된 자에게는 영향을 줄 수 없다는 의미로서 이 구절을 가장 오래 기억하게 되었습니다. 이 구절을 통해 마키아벨리가 전달하려한 바는 아마도 역량 혹은 능력을 강화하고 항상 준비하고 대비한 자에게 운명의 역경은 시련이 아닌 발전의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라는 의미가 아닐까 합니다.
김도현 : 다음번엔 헤르만 헤세의 데미안을 다뤄 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처음 읽어봤을 때 이해가 안됬는데 두번 세번 보니깐 이해가 가고, 또한 관점에 따라 해석이 달라지는 책인 것 같습니다. 관련 배경지식 및 다양한 해석을 담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최민준 : 좋은 영상 너무 감사합니다 이해하기 쉽게 책을 설명해주셔서 너무 좋았습니다.
Q1. 우리가 투표를 하기 전 각 후보들의 공약과 더불어 그 후보들의 도덕적 성품이 어떠한가를 보는 것이 일반적인 만큼 정치와 도덕은 분리되기 어렵습니다. 현재와 같이 미디어가 급속도록 발달하고 정보 교환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사회일 수록 개별 정치인들의 사건 사고와 같이 도덕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는 것들이 군주론이 쓰여진 시대와는 상상하지 못할 정도로 빠르게 국민들 사이에 전파되어 정치인에 대한 인식이나 지지도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는 곧 도덕이 현대 정치에서 가장 중요한 신뢰도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Q2. 독일제국의 초대 황제인 빌헬름 1세가 마키아벨리의 군주상에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합니다. 빌헬름 1세는 당시 재상이었던 비스마르크의 철혈정책을 바탕으로 강력한 독일 군대를 조직하였고, 나폴레옹의 치하에서 피히테가 강연한 `독일 국민에게 고함’으로 인해 발생한 독일의 민족주의를 기초로한 조국에 대한 충성심으로 프랑스와의 전쟁에서 승리하여 마키아벨리가 강조한 신임받는 지도자가 되기도 하였습니다. 그리고 그는 독일을 통일하는데 큰 기여를 한 비스마르크를 가진 점에 있어서 fortuna가 크게 작용한 군주라고도 생각합니다.
Q3. `현명한 군주는 부하들이 충성을 다하지 않으면 안될 상황을 만들어놓고 그들 스스로 충성하게 만들지만, 우둔한 군주는 위급한 상황이 되고 나서야 충성을 요구하다 배신을 당한다.’ 라는 구절을 가장 좋아합니다. 이 구절은 우리의 현대 정치에서도 필요로 하지만, 우리들의 인간 관계에서도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Marco : 이 영상과 더불어서 김상근 교수님의 ‘마키아벨리’ 책을 읽으면 군주론의 배경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더라고요. 책이 아니더라도 유튜브에 김상근 교수님 인문학 강의가 무료로 올라와 있으니 종종 들으면 인문학도 삶의 일부가 될 수 있는 것 같습니다. 박사님 늘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무나홈트]데일리전신스트레칭(설명추가)/[moona-workout]Daily Total body stretch/매일하는스트레칭
설명추가본입니다^^
INSTAGRAM ID : xxdmsdudxx
팔로우하시고 쉽게 소통해요!
나은솔 : 스트레칭도 시원하지만 설명해주시는 편안한 어조와 속도, 세심한 설명 넘 좋아요 끝나고 심신이 이완되는 느낌이에요! 항상 감사합니다
Eunsil Lee : 무나님 스트레칭 영상 항상 잘 보고 있어요! 자세 하나하나 친절하게 설명해주시고 호흡도 함께 해주시니까 스트레칭이 더 잘 되는 느낌이에요:) 어깨 목 다리 항상 꽉꽉 막혀 있는데 요거 하나 하면 시원하게 풀려서 기분이 좋네요! 얼른 저도 무나님처럼 유연해지길★
YJ B : 무나쌤 덕에 매일 시원하게 스트레칭하고 있어요! 차근차근 잘 설명해주시고 호흡법도 정확하게 알려주셔서 더 효과적으로 운동할수 있는 것 같아요 감사합니당ㅎㅎ 근력운동이랑 유산소 운동을 잘 구분 못하겠는데 근력운동 영상 추천해주세요~
hector Lee : 운동 전/후 , 아침에 일어나서 스트레칭 하고있는데 굉장히 큰 도움 받고 있습니다.
몸이 많이 굳어서 아직 안되는 동작도 많지만 꾸준~히 하고 있습니다 :)
영상 감사합니다!ㅎ
Veronica Jo : 우와~ 이 스트레칭 정말 좋아요!! 뻐근한 몸이 다 풀렸어요. 그냥 잤으면 내일도 여전히 피곤모드였을 텐데, 하고나니까 기운이 다시 채워진 느낌이에요. 무나님 영상 고맙습니다
Brave Girls - Rollin’(롤린) cover
안녕하세요 뮤나입니다!
이번 영상은 요즘 엄청난 인기인 브레이브걸스 님들의 롤린!!!!
노래 너무 좋아여,,, 그래서 노래가 너무 좋은만큼 파인님과 함께 해 보았어요 :)
뮤나 음악활동 후원하기!
https://toon.at/donate/637552016675802956
inst 출처 -
레슨이나 모든문의는 DM, 메일 주세요:)
Instagram-
https://www.instagram.com/yoon_aa__/
메일-
munaguitar@naver.com
Xagor Vangard : Well done ladies. Great cover.
SEN Tinals : Muna’s guitar sounds so smooth
Володимир Стеців : I really enjoyed listening to such an incredibly beautiful cover of this magical music and song. Thank you MUNA and FiNE .
Blues Rock'n'Roll : Sounds great , vocal is awesome and the guitar solo mind blowing . I really love the guitar solo
Glenn Goetz : WOW, a superfine cover by two lovely young ladies!!
마키아벨리의 [군주론], 왜 쓰였을까? 군주론을 둘러싼 메디치 가문과 마키아벨리 이야기!
#군주론 #마키아벨리 #메디치가문
마키아벨리의 [군주론], 왜 쓰였을까?
군주론을 둘러싼 메디치 가문과 마키아벨리 이야기!
즐거움과 유익함이 가득가득
김지윤 박사가 들려주는 재미있는 이야기
구독 , 좋아요! 김지윤의 지식Play
kimjyTV@gmail.com
Yong Seung Kim : 50만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구독할때 10명 안에 들어서 박사님이 쓰신 책도 받았는데ᆢ뿌듯합니다.^^
Arslan Kim : 책을 통해 소통하는 컨텐츠도 너무 좋습니다! 마침 얼마전에 마키아벨리의 로마사 논고와 군주론을 읽고 정리한 적이 있었는데, 저도 박사님과 비슷하게 마키아벨리가 이력서이자 연구서로서 이 책을 메디치 가문에 보이고자 했던게 아닐까 생각합니다. 로마사 논고는 군주론과는 또 다른 입장에서 쓴 책이어서 그런지 접근하는 방법이 다르다고 생각하는데, 나중에 두 책을 같이 비교하는 영상도 올려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정치와 도덕을 분리하는것은 불가능하다고 봅니다. 역사적으로도, 변화를 주도하고 개혁을 이끄는 입장에 있는 사람들에게 도덕은 또 다른 무기로서 작용하고, 때로는 변혁을 두려워하는 사람들에게 정치적인 구실을 만들어주기도 하는 것을 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정치라는 것이 여러가지 다양한 의견을 가진 주체들에게서 합의를 이끌어내는 과정을 의미한다고 생각하면, 그러한 합의를 최소의 피해와 최대의 행복으로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도덕성을 기반으로 움직여야 한다고 봅니다.
마키아벨리의 이상적 군주에 해당하는 인물은 로마의 카이사르와 조위의 조조를 뽑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카이사르는 후대의 또다른 카이사르인 체사레 보르지아와 함께 군주론의 적절한 모델로서 항상 언급되는 인물이기도 하고, 카이사르가 전장과 정치에서 보여주었던 역량 즉, 비르투는 당대와 후대에서도 많이 다뤄진 점, 늘 자신을 행운의 총아 혹은 아들로서 묘사할 만큼 시기를 잘 읽고, 자칫 불운으로 느껴질 상황을 자신의 행운으로 만드는 것과 같은 모습을 통해 포르투나가 항상 자신에게 있음을 잘 보여주는 인물이라고 생각됩니다. 조조 역시도 환관의 후손이라는 점을 역으로 이용하거나, 위압과 관용을 적절하게 사용하여 권력을 강화하고, 개인의 능력 뿐 아니라 행운의 면에서도 준비된 인물임을 보여주는 일화들이 많기에 적합한 인물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군주론이라는 책이 매번 읽을 때 마다 항상 새로운 관점을 제시해준다는 생각을 하지만, 그럼에도 가장 와닿았던 구절은, 운명에 대한 구절입니다. ‘운명은 자신에게 대항하기 위해서 아무런 역량이 갖추어져 있지 않은 곳에서 그 위력을 떨치며, 자신을 제지하기 위한 아무런 제방이나 둑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곳을 덮칩니다.’ 박사님이 영상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운명이라는 것도 결국 준비된 자에게는 영향을 줄 수 없다는 의미로서 이 구절을 가장 오래 기억하게 되었습니다. 이 구절을 통해 마키아벨리가 전달하려한 바는 아마도 역량 혹은 능력을 강화하고 항상 준비하고 대비한 자에게 운명의 역경은 시련이 아닌 발전의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라는 의미가 아닐까 합니다.
김도현 : 다음번엔 헤르만 헤세의 데미안을 다뤄 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처음 읽어봤을 때 이해가 안됬는데 두번 세번 보니깐 이해가 가고, 또한 관점에 따라 해석이 달라지는 책인 것 같습니다. 관련 배경지식 및 다양한 해석을 담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최민준 : 좋은 영상 너무 감사합니다 이해하기 쉽게 책을 설명해주셔서 너무 좋았습니다.
Q1. 우리가 투표를 하기 전 각 후보들의 공약과 더불어 그 후보들의 도덕적 성품이 어떠한가를 보는 것이 일반적인 만큼 정치와 도덕은 분리되기 어렵습니다. 현재와 같이 미디어가 급속도록 발달하고 정보 교환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사회일 수록 개별 정치인들의 사건 사고와 같이 도덕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는 것들이 군주론이 쓰여진 시대와는 상상하지 못할 정도로 빠르게 국민들 사이에 전파되어 정치인에 대한 인식이나 지지도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는 곧 도덕이 현대 정치에서 가장 중요한 신뢰도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Q2. 독일제국의 초대 황제인 빌헬름 1세가 마키아벨리의 군주상에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합니다. 빌헬름 1세는 당시 재상이었던 비스마르크의 철혈정책을 바탕으로 강력한 독일 군대를 조직하였고, 나폴레옹의 치하에서 피히테가 강연한 `독일 국민에게 고함’으로 인해 발생한 독일의 민족주의를 기초로한 조국에 대한 충성심으로 프랑스와의 전쟁에서 승리하여 마키아벨리가 강조한 신임받는 지도자가 되기도 하였습니다. 그리고 그는 독일을 통일하는데 큰 기여를 한 비스마르크를 가진 점에 있어서 fortuna가 크게 작용한 군주라고도 생각합니다.
Q3. `현명한 군주는 부하들이 충성을 다하지 않으면 안될 상황을 만들어놓고 그들 스스로 충성하게 만들지만, 우둔한 군주는 위급한 상황이 되고 나서야 충성을 요구하다 배신을 당한다.’ 라는 구절을 가장 좋아합니다. 이 구절은 우리의 현대 정치에서도 필요로 하지만, 우리들의 인간 관계에서도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Marco : 이 영상과 더불어서 김상근 교수님의 ‘마키아벨리’ 책을 읽으면 군주론의 배경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더라고요. 책이 아니더라도 유튜브에 김상근 교수님 인문학 강의가 무료로 올라와 있으니 종종 들으면 인문학도 삶의 일부가 될 수 있는 것 같습니다. 박사님 늘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