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외선소독장단점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맨클럽 조회 6회 작성일 2022-09-07 22:59:36 댓글 0

본문

자외선은 어떻게 살균을 할까? / YTN 사이언스

[앵커]
과학에 대한 모든 궁금증을 풀어주는 '궁금한 S' 시간입니다. 자외선은 피부 손상이나 노화의 원인이기 때문에 일부러 피하거나 차단제 바르는 분들 많죠.

하지만 자외선은 살균 효과가 있어 세균을 없애주는 등 우리 생활에 도움을 주기도 합니다. 이처럼 두 얼굴을 가진 자외선의 정체는 무엇일지 지금 바로 화면으로 만나보시죠.

[이효종 / 과학 유튜버]
안녕하세요! 과학의 모든 궁금증을 해결하는 궁금한 S의 이효종입니다. 궁금한 S와 함께할 오늘의 이야기 만나볼게요.

아이를 키우는 엄마라면 가장 신경을 쓰는 요인 중 하나! 바로 위생입니다. 젖병이나 칫솔, 장난감 같은 것들은 아이의 입으로 바로 들어가기 때문에 꼼꼼한 살균이 필요하죠.

보통 이런 살균기들은 자외선이라는 도구를 이용해 살균 소독을 한다고 하는데, 대체 어떻게 눈에 보이지 않는 자외선이 세균 등을 파괴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 걸까요?

그래서 오늘은 바로 이 자외선에 대한 궁금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영어로 Ultra VIOLET이라 불리는 이 자외선은 단어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VIOLET을 뛰어넘는 영역의 전자기파를 의미합니다. 여기서 VIOLET은 청자색의 400nm 근방의 가시광선을 말하는데요. 이 400nm에서 대략 10nm까지인 이 영역을 우리는 자외선이라고 부릅니다.

때는 1800년. 천문학자 윌리엄 허셜은 우연히 태양의 흑점을 관찰하는 과정에서 눈에 보이지 않는 전자기파, 적외선을 발견하게 됩니다. 이러한 발견에 모티프를 얻어 1년 뒤, 독일의 물리학자 요한 빌헬름 리터가 적외선의 반대편인 청자색보다 짧은 스펙트럼을 찾기 시작했습니다. 결국, 빛에 반응하는 염화은을 바른 종이를 사용해 청자색 바깥쪽에 눈에 보이지 않는 자외선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죠.

자외선도 적외선과 마찬가지로 눈으로 보이지 않는 전자기파입니다.

일상 속에서 가끔 볼 수 있는 '블랙 라이트' 는 자외선 외에 다른 빛을 차단하는 물질이 램프에 발라져 있어서 가시광선은 걸러지고 자외선만 방출됩니다.

블랙 라이트가 내뿜는 자외선은 형광물질을 만났을 때 그 빛을 더 강하게 발산하는데요. 그로 인해 예술 공연이나 전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또, 자외선에만 발광하는 형광물질을 지폐에 인쇄해 위조지폐를 구별하는 데도 사용하고, 혈흔을 조사할 때 사용하는 것도 이 블랙 라이트인데요. 하지만 적외선과 마찬가지로 이것 또한 자외선 부근의 가시광선이지 자외선을 보는 것은 아니라고 합니다.

태양은 자외선을 가시광선만큼이나 많이 만들지는 않지만, 자외선은 더 많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는 전자기파입니다. 자외선은 에너지에 따라 크게 3가지 종류로 나뉘게 되는데요. 가장 약한 400nm~315nm까지인 UV-A와 중간 세기인 315nm~280nm까지인 UV-B 그리고 가장 강한 자외선인 280nm~10nm까지인 UV-C가 바로 그것들이죠.

UV-A는 우리가 태양의 햇살을 통해 가장 많이 접하게 되는 생활 자외선으로 멜라닌 색소를 만들어내는 세포를 자극해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를 검게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태닝을 할 때도 이 계열의 자외선을 이용하게 되죠.

이 영역의 자외선은 몇몇 동식물들의 짝짓기 또는 먹이활동 등에 이용되곤 하는데요. 새도 자외선을 감지하는 능력이 있어서, 짝짓기 철 수컷 공작은 푸른색과 초록색이 조화롭게 섞이는 각도에 맞춰 무지갯빛 날개를 펴고 현란하게 흔들어대기도 합니다.

또, 화분을 옮기는 곤충들은 이 자외선을 감지할 수 있는데요. 화려한 꽃의 상당수는 꽃잎 위에 꿀이 들어 있는 중심부를 향해 자...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program_view.php?s_mcd=0082\u0026s_hcd=0022\u0026key=201904051617068551
쉴드 : 그러니까 uv c가 어떤 원리로 바이러스를 파괴하냐고요 진짜 시간 날렸네
배성민 : 요약: 자외선은 에너지가 강한 파장이기 때문에dna를 파괴합니다!(혹은 손상)
왜냐하면 (쉽게 말하자면,)자외선이 세균, 바이러스 등을 통과할때 dna를 흔들어놓기 때문이지요!
이렇게 되면 바이러스나 세균은 제기능을 못하고 죽고 번식능력또한 상실하게 됩니다.
코리안 랩Korean Lab : UV는 넘보라선이라고도 불리며, 파장이 짧으면 동시간에 더 많은 진동이 있고, 그만큼 에너지가 많다는 겁니다. UC-A, UV-B, UV-C 순서대로 파장이 짧고 UV-C는 280~100nm정도로 X-ray 직전의 빛입니다. X-ray를 사람이 계속 맞게 되면 어떻게 될까요? 안 좋겠죠. 안 좋다는 건 세포에 변형이 있을 수 있다는 거 겠죠.
통관절 : 200년이 무슨 매우 짧아요.. 어마어마한 기간이지..
junpyo lee : 오머머 이분이 그 유명한 과학쿠키님 아니여?!?!?

자외선은 어떻게 살균을 할까?

과학쿠키는 여러분의 후원을 통해 성장합니다.
과학쿠키를 후원해주시는 가장 좋은 방법, 멤버쉽 구독! ▼
https://www.youtube.com/channel/UCmgRYMK5d65PbjN8qkjAUBA/join
구글, 카카오로 후원하기!▶https://toon.at/donate/sciencecookies_

=============================================

안녕하세요, 과학쿠키입니다!

전자기파 2번째 시리즈, 자외선에 관한 영상을 들고 왔습니다.
눈에 보이지 않지만 빛처럼 언제나 우리 곁에 존재하는 전자기파들,

얼른 모든 전자기파를 소개해드리고 싶네요!


오늘 소개드릴 자외선은 빛보다는 높은 에너지군에 속하는 전자기파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약간의 위험성이 있지요..


자 그럼, 함께 알아보시죠!

=============================================

Shooting Info

- Sony A6500 Body, 16-50 Bundle Lens
- Samsung GALAXY S8+ with UHD Setting

Edit Software Info

- Adobe Premiere Pro CC
- Adobe Aftereffect CC

BGM List (All Youtube Presents)

Wave in the Atmosphere
Under Cover
Destination Unknown
Cast of Pods
겨울집돌이 : 그림 그리면서 알려주시니 이해가 좀 더 쉽게 됩니다. 잘 보고 갑니다 :)
Eric CHOI : 쉽고 이해하기 편하게 보구 있네요...다시금 과학에 관심을 가지게 해줘서 좋네요~
ph 10 : 적외선에 이어 자외선에 관련한 설명..! Ultraviolet이 그런 뜻이었다니 신기하네요... 단어 자체에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경우였군요. 자외선이 어떤 빛이고 종류는 어떻고 실생활에서 쓰임 등 다시 한 번 자외선에 대해 알고 가요!
+) uv-c가 보통 살균할 때 쓰이고 피부암의 주요 원인이 되는 자외선이라 하셨는데 실생활에서 많이 볼 수 있는걸 보면, 자외선 살균기 근처에 가도 오래있지만 않으면 피부에는 무해한 건가요?
봉자 : 항상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Vsauce처럼 좋은 과학채널되길 바래봅니다
강다니엘 : 와, 요한 빌헬름 리터라는 분 되게 대단하신 것 같아요. 어떻게 적외선의 발견을 보고, '적색 빛보다 약한 전자기파가 있다면, 그와는 반대되는 청자색 빛보다 강한 전자기파가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했을까요. 마치 빛의 파동성과 물질의 입자성이 알려진 이후, 아인슈타인에 의해 알려진 빛의 입자성을 보고, '파동성을 가진 빛이 입자성을 갖는다면, 입자성을 갖는 물질도 파동성을 갖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하게 된 드브로이가 떠오르네요. 참, 그 생각의 전환이 대단한 것 같아요. 물론 그러한 생각의 전환을 하기까지 많은 노력들이 있지 않았을까 싶어요. UV-B가 왜 비타민 D를 합성하는데 꼭 필요한 자외선인지 궁금하네요. 자외선 살균기에서 나오는 푸른 빛은 사실은 자외선이 아니라 자외선 부근의 가시광선이군요. 태양을 통해 지구로 들어오는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자외선을 어떻게 인위적으로 그것과 같이 발생시키는 걸까요. 지구의 대기와 오존층은 참 고마운 존재네요. 모든 도구는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서 활용도가 달라진다는 말이 참 인상적이네요. 와, 주민등록등이나 운전면허증, 수표, 여권 등의 진위를 판단하는 특수 코팅을 확인하는 데에 자외선이 쓰인다니 놀랍네요. 어, 그리고 저 자외선에 관해서 궁금한게 하나 있어요. 건강 검진하러 갔을 때, 손등에 어떤 도장을 찍어주시더라고요. 그런데 제 손등을 보니 아무 것도 찍힌게 없더라고요. 그래서 도장을 찍어 주신 분께 도장이 찍히지 않았다고 말씀을 드렸더니 원래 색이 없다고 하시더라고요. 그리고 어떤 검사를 하러 갈 때, 자외선 부근의 가시광선의 색의 빛이 나오는 곳에 손등을 대라고 하시더라고요. 그 빛에 손등을 대니 아까 보이지 않던 도장이 보이더라고요. 그 때, 매우 신기해했던 기억이 있는데 혹시 이 것도 자외선과 관련이 있나요? 그 도장은 어떠한 성분으로 만들어진 것이며 어떻게 그러한 자외선 부근의 가시광선의 색의 빛이 나오는 곳에 대니 볼 수 있는 건가요? 또 하나 생각난 게 있는데, 어렸을 때 손 닦는 것의 중요성을 배울 때였는지 정확히 기억은 나지 않지만 무슨 로션 같은 것을 바른 후에 자외선 부근의 가시광선의 색의 빛이 나오는 곳에 손을 대니 무슨 작은 점들이 보였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그 것이 균이라고 하셨던 것으로 기억하고 있습니다. 그 로션 같은 것은 무엇이며, 제가 보았던 작은 점 같은 것들이 균이 맞나요? 그 때 작은 점들로 보인 것들이 균이라고 가정한다면, 그 때 그 빛을 비추었을 때는 보이지 않았지만 존재하는 균들도 많이 있겠죠? 엇, 그런데 빛도 색이 있다고 할 수 있나요? 조금 헷갈리는게 빛의 삼원색을 합하면 흰색이 되고, 색의 삼원색을 합하면 검은 색이 된다고 알고 있는데 빛과 색의 차이점이 무엇인지 궁금하네요. 전자기파와 빛의 차이점이 무엇일까요. 아직 알아야할 게 많은 것 같아요. 같은 영상을 다시 보게 되더라도 매 번 볼 때마다 배워가는 것이나 궁금한 점들이 있는 것 같아요. 유익하고 재미있는 영상 감사합니다! ^0^

칫솔, 자외선으로 살균이 될까요? | 자외선칫솔살균기의 진실을 알려드립니다|

#칫솔살균기 #자외선살균 #자외선칫솔살균기

코로나 시대를 맞아 판매량이 급증한다는 자외선칫솔살균기!!!!
그런데, 광고처럼 정말로~ 칫솔 속의 세균을
99.9% 살균이 될까요?!!

또 진짜로 자외선이 나오기는 하는 걸까요?

이 궁금증을 해결하고자!
한 국립대학 교수님과 실험실의 도움을 받아서
자외선칫솔살균기의 살균력을 제대로! 실험해봤습니다

그 결과는~~!!!
영상에서 확인해 주세요!

가성비 좋은 효과적인 칫솔 세척 방법도
(치) 과하게 알려드리니 영상 끝까지 시청해주세요~!

좋아요 꾹! 알림 꾹! 구독 꾹!


문의 : chidaenam@naver.com
debra kim : 잘못된부분을 깔끔하게 인정하시고 해당업체측에게 사과도하고 바로잡으려는 시도와 결과까지 .. 진짜 멋있습니다 !!! 영상항상잘보고있습니다!
맹달을찾아라 : 비판이 자유롭고, 토론과 검증이 자유로우니 생산적인 결과를 얻을수 있었네요.
차분하게 반론을 하시고, 검증의 기회까지 부탁해주신 업체 대표님과 합리적으로 오류를 지적하고, 지적받은 오류를 수용하신 의사 쌤께도 감사드립니다.
짚어주신점들 감안하여 구입하면 유의미한 효과를 보인 해당 업체 제품이 자연스럽게 부각되겠네요.
sub_c2 : 제품 제조사들이 압박을 하더라도 꿋꿋하게 알권리를 충족시켜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조꽁 : 안그래도 칫솔살균기의 성능이 궁금하였는데 이렇게 직접 실험하여 믿을수 있는 정보를 제공해주셔서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늘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다음에 기회가 되신다면 일반 치실과 다이소 등에서 판매하는 일회용 치실의 성능과 차이점에 대해서 영상을 제작하실 의향이 있으실지요? 치실 사용에 대해 최근 관심이 많아졌는데 너무 궁금합니다!
Nickee Sonicjinn : 치대남님 영상은 항상 유익했지만 이번 영상은 많은 분들이 칭찬하시는 것처럼 엄청난 스케일의 실험까지 동반된
멋진 영상이네요. 그리고 자신의 제품에 자부심을 갖고 실험을 제안한 그 대표님의 업체도 치대남님의 컨설팅을 바탕으로
더 훌륭한 살균기를 만들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저도 필통스타일 살균기를 쓰면서 이게 제대로 되는건가 약간 의심을 했었는데
확실하게 기능적인 측면에서 풀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른 분이 제안한 것처럼 가글용액으로 살균하는 것도 괜찮을 것 같네요! ㅎㅎ

... 

#자외선소독장단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3,704건 668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www.uljinpension.kr. All rights reserved.  연락처 : cs@ep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