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통건축기술
페이지 정보
본문
[ENG] 한국 전통 건축에 숨겨진 의미가 있다? 동서양 건축의 차이 정리! | 한옥, 한국 문화, 유현준
#한국전통 #한옥 #한국문화 #유현준
한국 전통 건축에 숨겨진 의미가 있다?
건축의 동양 서양 차이 정리! | 한옥, 한국 문화
Timestamp
00:00 인트로
00:32 강수량이 건축을 결정한다
04:34 동서양, 창문의 크기가 다르다
07:48 한국 전통 건축에 숨겨진 매력
10:42 Q. 한국의 탑은 높지 않나요?
11:10 Q. 일본의 성은 왜 높나요?
부사장 : 단청의 색은 지금으로 치면 디스플레이의 베젤을 줄이려고 노력하는 것과 같네요! 자연과 더 비슷하게 보려고 하는 그 욕심! 좀 더 시원하고 탁트인 뷰. 대단합니다 정말.
디디 Didi : 단청을 보면 우리민족이 화려한걸 좋아하고 미적 감각이 뛰어나다고만 생각했는데 숨은 지혜에 무릎 탁 치고 갑니다!! 너무 유익한 온라인 교양수업을 듣는 기분이에요 늘 좋은 내용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김팀장 크래프트Dekay's Crafts : 학교 다닐때는 그렇게 듣기 싫던 내용들을 이젠 취미삼아 듣고 있다니 신기합니다. 재미있게 잘 봤어요 =)
아부라덜카다부럴 : 영상 보면서 느끼는 점.
교수님의 설명 + 엄청난 편집자의 콜라보
noname : 교수님은 흔히 말하는 국까, 국뽕, 일뽕, 일까, 서양사대주의 등등이 없어서 정말 좋아요.
어디가 더 우월하고 어디가 더 미개하고 그런 쓸데없는 논쟁을 키우시지 않는 모습 정말 좋습니다!
사실기반의 객관적인 지식을 얻을 수 있는 몇 안되는 유니크하신 교수님이십니다!
천 년이 가는 집을 짓는 법! 아슬아슬한 극한 건축 현장 '전통 한옥 제작'
자연을 거스르지 않고 전통 가옥의 멋스러움을 간직한 한옥. 전통 한옥은 장인의 고집으로 완성되는 된다. 조상의 지혜가 그리고 숨결이 살아있는 전통 한옥이기에 도편수와 와공 등 수많은 장인의 손길이 필요하며, 아슬아슬한 과정 끝에 천 년의 고풍스러움이 탄생한다.
전통 한옥 건축은 ‘초석’으로 시작된다. 초석 위에 300kg이 넘는 기둥을 정확하게 세운 이후, 목조 뼈대를 만드는 일이 시작되는 것이다. 대들보를 세울 때는 옛날과 달리 기중기의 도움을 받지만 여전히 아찔한 상황이 연출된다. 장인들은 대들보와 기둥이 빈틈없이 결구되도록 쉴 틈 없는 메질로 구슬땀을 흘린다. 아울러 4m가 넘는 지붕에 올라 기와를 쌓는 작업 또한 장인정신이 느껴진다. 한옥에 대한 애정 없이는 할 수 없는 작업으로 보인다.
전통 한옥 건축 업체 대표 안영배(52) 씨는 “강원도에서 자란 소나무다. 우리나라 육송이다. 아무리 수령이 못 돼도 30년 이상 된 나무를 쓰고 있다”고 밝혔다. 또 “제일 중요한 부재다. 나무를 한 달 넘게 고생해서 깨끗이 다듬어 가공해서 가져왔는데 상처 날까 봐 안 부딪히게 하려고 그게 가장 염려가 된다. 어디 부딪히거나 쓰러뜨리면 고생한 게 다 헛것이 될 수 있으니까”라며 나무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한 번 지으면 천 년을 간다는 한옥은 어떤 과정을 통해 만들어질까? 조상의 숨결이 살아있는 전통 한옥을 이어가기 위해 땀을 흘리며 총력을 기울이는 전통 한옥 장인들을 지금 만나본다.
#극한직업#전통한옥건축#도편수#한옥장인#한옥짓기#한옥건축
#집짓기#라이프스타일#한옥의조건
용원 : 우와 지금은 기계를 그래도 써서 저정도인데 건축물은 진짜 인간권력의 상징이구나
곰다람쥐 : 한옥이 진짜 멋있긴하네요 와.. 작업자분들 정말 고생 많으십니다
한옥TV : 한 여름 구슬땀을 흘리면서 한옥을 짓는 분들이 계셔서 우리 한옥의 전통이 유지되는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아메리카노 : '일은 경력이 중요하지 않다.
어떻게 배웠느냐 어떻게 일을 하는지가 중요하다.'라고
하는 어르신의 말씀이 참 와닿네요.
대표님도 차분하고 겸손하신 것 같고 좋네요.
허나 비쌀 것 같아 짓고 싶어도 의뢰는 못할듯 ;;
Arq. Danny Hans Melendez Flores : Hermosa construcción, es maravilloso como logran la belleza en un techo.
[전통건축의 이해 3] 도성과 궁궐건축 편
전통건축의 이해 세 번째❗
「도성과 궁궐건축」
옛 수도와 궁궐건축까지⭐
한국 궁궐건축에 대하여 함께 알아보아요~
본 게시물은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문화교육원에서 새롭게 제작한 콘텐츠입니다.
기존 업로드 된 콘텐츠는 새로 제작한 콘텐츠 게재를 위해 삭제한 상태이며
순차적으로 추가 게재할 예정이오니 많은 관심 바랍니다!
#한국전통 #한옥 #한국문화 #유현준
한국 전통 건축에 숨겨진 의미가 있다?
건축의 동양 서양 차이 정리! | 한옥, 한국 문화
Timestamp
00:00 인트로
00:32 강수량이 건축을 결정한다
04:34 동서양, 창문의 크기가 다르다
07:48 한국 전통 건축에 숨겨진 매력
10:42 Q. 한국의 탑은 높지 않나요?
11:10 Q. 일본의 성은 왜 높나요?
부사장 : 단청의 색은 지금으로 치면 디스플레이의 베젤을 줄이려고 노력하는 것과 같네요! 자연과 더 비슷하게 보려고 하는 그 욕심! 좀 더 시원하고 탁트인 뷰. 대단합니다 정말.
디디 Didi : 단청을 보면 우리민족이 화려한걸 좋아하고 미적 감각이 뛰어나다고만 생각했는데 숨은 지혜에 무릎 탁 치고 갑니다!! 너무 유익한 온라인 교양수업을 듣는 기분이에요 늘 좋은 내용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김팀장 크래프트Dekay's Crafts : 학교 다닐때는 그렇게 듣기 싫던 내용들을 이젠 취미삼아 듣고 있다니 신기합니다. 재미있게 잘 봤어요 =)
아부라덜카다부럴 : 영상 보면서 느끼는 점.
교수님의 설명 + 엄청난 편집자의 콜라보
noname : 교수님은 흔히 말하는 국까, 국뽕, 일뽕, 일까, 서양사대주의 등등이 없어서 정말 좋아요.
어디가 더 우월하고 어디가 더 미개하고 그런 쓸데없는 논쟁을 키우시지 않는 모습 정말 좋습니다!
사실기반의 객관적인 지식을 얻을 수 있는 몇 안되는 유니크하신 교수님이십니다!
천 년이 가는 집을 짓는 법! 아슬아슬한 극한 건축 현장 '전통 한옥 제작'
자연을 거스르지 않고 전통 가옥의 멋스러움을 간직한 한옥. 전통 한옥은 장인의 고집으로 완성되는 된다. 조상의 지혜가 그리고 숨결이 살아있는 전통 한옥이기에 도편수와 와공 등 수많은 장인의 손길이 필요하며, 아슬아슬한 과정 끝에 천 년의 고풍스러움이 탄생한다.
전통 한옥 건축은 ‘초석’으로 시작된다. 초석 위에 300kg이 넘는 기둥을 정확하게 세운 이후, 목조 뼈대를 만드는 일이 시작되는 것이다. 대들보를 세울 때는 옛날과 달리 기중기의 도움을 받지만 여전히 아찔한 상황이 연출된다. 장인들은 대들보와 기둥이 빈틈없이 결구되도록 쉴 틈 없는 메질로 구슬땀을 흘린다. 아울러 4m가 넘는 지붕에 올라 기와를 쌓는 작업 또한 장인정신이 느껴진다. 한옥에 대한 애정 없이는 할 수 없는 작업으로 보인다.
전통 한옥 건축 업체 대표 안영배(52) 씨는 “강원도에서 자란 소나무다. 우리나라 육송이다. 아무리 수령이 못 돼도 30년 이상 된 나무를 쓰고 있다”고 밝혔다. 또 “제일 중요한 부재다. 나무를 한 달 넘게 고생해서 깨끗이 다듬어 가공해서 가져왔는데 상처 날까 봐 안 부딪히게 하려고 그게 가장 염려가 된다. 어디 부딪히거나 쓰러뜨리면 고생한 게 다 헛것이 될 수 있으니까”라며 나무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한 번 지으면 천 년을 간다는 한옥은 어떤 과정을 통해 만들어질까? 조상의 숨결이 살아있는 전통 한옥을 이어가기 위해 땀을 흘리며 총력을 기울이는 전통 한옥 장인들을 지금 만나본다.
#극한직업#전통한옥건축#도편수#한옥장인#한옥짓기#한옥건축
#집짓기#라이프스타일#한옥의조건
용원 : 우와 지금은 기계를 그래도 써서 저정도인데 건축물은 진짜 인간권력의 상징이구나
곰다람쥐 : 한옥이 진짜 멋있긴하네요 와.. 작업자분들 정말 고생 많으십니다
한옥TV : 한 여름 구슬땀을 흘리면서 한옥을 짓는 분들이 계셔서 우리 한옥의 전통이 유지되는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아메리카노 : '일은 경력이 중요하지 않다.
어떻게 배웠느냐 어떻게 일을 하는지가 중요하다.'라고
하는 어르신의 말씀이 참 와닿네요.
대표님도 차분하고 겸손하신 것 같고 좋네요.
허나 비쌀 것 같아 짓고 싶어도 의뢰는 못할듯 ;;
Arq. Danny Hans Melendez Flores : Hermosa construcción, es maravilloso como logran la belleza en un techo.
[전통건축의 이해 3] 도성과 궁궐건축 편
전통건축의 이해 세 번째❗
「도성과 궁궐건축」
옛 수도와 궁궐건축까지⭐
한국 궁궐건축에 대하여 함께 알아보아요~
본 게시물은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문화교육원에서 새롭게 제작한 콘텐츠입니다.
기존 업로드 된 콘텐츠는 새로 제작한 콘텐츠 게재를 위해 삭제한 상태이며
순차적으로 추가 게재할 예정이오니 많은 관심 바랍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