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임대비용
페이지 정보
본문
서버를 구매하는 3가지 방법 | IT 짧상식
서버 구매 방법에는 임대, 구매, 클라우드 3가지의 방법이 있습니다.
임대형은 말 그대로 서버를 빌리는 것을 뜻합니다. 2년 이상 장비를 지속적으로 사용하고 제품에 대한 유지보수가 필요하다면 24개월 임대 약정을 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구매형은 서버 장비 비용을 일시로 납부하고 12개월 동안 회선, 상면, 부가서비스 비용만 지불하는 방식입니다.
물리적인 서버를 임대하거나 구매하는 방법이 부담된다면 클라우드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자신이 운영하는 서비스가 주기적으로 서버를 증설하거나 축소하는 것이 필요하다면 클라우드를 활용해볼 수 있습니다.
▪ 가비아 홈페이지: https://www.gabia.com/
▪ 하이웍스 홈페이지: https://www.hiworks.com/
▪ 가비아 클라우드 홈페이지: https://cloud.gabia.com
▪ 가비아 회사 소개 홈페이지: https://company.gabia.com/company
▪ 가비아 콘텐츠 라이브러리: https://library.gabia.com
▪ 가비아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gabianow/
▪ 가비아 폰트: https://company.gabia.com/font
#가비아 #클라우드 #IT #상식 #서버 #서버종류 #서버임대 #서버구매
사용한 만큼만 서버비용을 내면 된다고?!?!? 레알!?
#테크스페이스 #CLOPi #서버비용감축
테크스페이스의 백엔드 서버 구축 서비스 CLOPi 입니다.
사업을 시작하려고 앱이나 웹을 구축 할때 백엔드에 대한 고민을 많이 하실꺼예요. 사용한 만큼 비용을 내고 부족할 땐 더 채우고 백엔드 비용에 대해 고민하시는 대표님들이라면 더이상 고민하지 마시고 상담을 받아보세요!
Iot나 어플리케이션 기업이라면 최고의 선택!!!
테크스페이스 바로가기
http://www.techspace.co.kr/
서버란 무엇인가요?
#서버 #코딩 #클라이언트
어렴풋이 갖고 있던 개념을 명료하게!
서버 그리고 클라이언트, 둘의 차이를 알아봅시다.
= = =
얄코사이트: https://www.yalco.kr
개발자스티커 구매: https://smartstore.naver.com/honeykers
가장 쉬운 Git 튜토리얼:
포인터 쉽게 알아보기:
객체지향에 대해 알아보기:
객체지향 디자인 패턴:
함수형 프로그래밍이란?:
쿠키 vs 세션 vs 캐시:
프로세스와 스레드:
비동기 프로그래밍:
REST API 알아보기:
GraphQL 알아보기:
= = =
영상 주요 포인트
서버 vs 클라이언트 개념
사실 '서버'란 말은 역할의 개념이에요.
...
한 컴퓨터가,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른 하나 이상의 컴퓨터들에게 뭔가를 해주면
이를테면
저장된 글과 사진, 영상들을 보여주거나
반대로 그것들을 업로드받아서 보관해주거나
한 컴퓨터가 톡을 보내면
다른 컴퓨터에게 알림을 보내거나
위치정보와 목적지를 받고
가는길과 소요시간을 계산해주거나
여럿이 온라인으로 참여할 수 있는
게임을 열어주거나
하면, 그 해주는, serve하는 컴퓨터가 서버,
그 service 받는 컴퓨터가 서버의 상대 개념인
손님, 클라이언트가 되는거에요.
...
한 맛집 앱을 담당하는 컴퓨터가 있어요.
이 컴퓨터는 앱이 깔린 폰들에
맛집들의 정보를 전송해줘요.
폰들에 서비스를 제공하니까 서버인거죠.
-
그런데 이 앱이
특정 지역의 지리 정보가 필요할 땐
이 컴퓨터가 네이버 지도 서버에
요청해서 정보를 받아와요.
이때는 이게 클라이언트가 되는거죠.
= = =
엔딩송 : 권민호, 김한영 - Let's Dance
자료출처 : https://gongu.copyright.or.kr
Music promoted by DayDreamSound :
@yalco-coding : 아래 링크에서 더 많은 정보들을 확인하세요!!
https://www.yalco.kr/02_server/
@user-mu3ti5gx4u : 얄코님..정말 감사합니다ㅠㅠ 어려운 IT용어들 속에서 정말 멘붕멘붕이었는데..얄코님 덕분에 그 용어들이 이제 더이상 두렵지가 않아요!
정말 감사합니다! 아직 취준생이지만 꼭 끝까지 노력하여서 좋은 개발자가 되보도록 하겠습니다!
@user-ew4xr4wf4u : 그래! 이거야. 이게 설명이지. 서버 설명 해준다면서 서버가 정작 뭐하는 건지는 가르쳐주지도 않는 사람들 많더만. 이렇게 풀어서 설명하는 사람이 진짜로 이해가 바탕이 된 사람이지. 감사함미다
@dynamics : This is so great! Thank you so much for uploading! So refreshing to have informative + well made presentation! Please never stop educating those of all ages. The beauty of your videos is that it appeals to all different ages and all different levels. Thank you !!!!
@user-fs5vv2vb3f : 서버라는 말은 어렴풋이 알고 있었지만 그게 굳이 왜 필요한 건지, 그리고 왜 항상 서버 컴퓨터를 켜놓고 있어야 하는건지 잘 몰랐었는데 덕분에 확실하게 이해했네요. 컴공한테 엄청 기초적인 내용인데도 막상 누구한테 물어보긴 좀 그런 내용들인데 영상으로 쉽게 설명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서버 구매 방법에는 임대, 구매, 클라우드 3가지의 방법이 있습니다.
임대형은 말 그대로 서버를 빌리는 것을 뜻합니다. 2년 이상 장비를 지속적으로 사용하고 제품에 대한 유지보수가 필요하다면 24개월 임대 약정을 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구매형은 서버 장비 비용을 일시로 납부하고 12개월 동안 회선, 상면, 부가서비스 비용만 지불하는 방식입니다.
물리적인 서버를 임대하거나 구매하는 방법이 부담된다면 클라우드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자신이 운영하는 서비스가 주기적으로 서버를 증설하거나 축소하는 것이 필요하다면 클라우드를 활용해볼 수 있습니다.
▪ 가비아 홈페이지: https://www.gabia.com/
▪ 하이웍스 홈페이지: https://www.hiworks.com/
▪ 가비아 클라우드 홈페이지: https://cloud.gabia.com
▪ 가비아 회사 소개 홈페이지: https://company.gabia.com/company
▪ 가비아 콘텐츠 라이브러리: https://library.gabia.com
▪ 가비아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gabianow/
▪ 가비아 폰트: https://company.gabia.com/font
#가비아 #클라우드 #IT #상식 #서버 #서버종류 #서버임대 #서버구매
사용한 만큼만 서버비용을 내면 된다고?!?!? 레알!?
#테크스페이스 #CLOPi #서버비용감축
테크스페이스의 백엔드 서버 구축 서비스 CLOPi 입니다.
사업을 시작하려고 앱이나 웹을 구축 할때 백엔드에 대한 고민을 많이 하실꺼예요. 사용한 만큼 비용을 내고 부족할 땐 더 채우고 백엔드 비용에 대해 고민하시는 대표님들이라면 더이상 고민하지 마시고 상담을 받아보세요!
Iot나 어플리케이션 기업이라면 최고의 선택!!!
테크스페이스 바로가기
http://www.techspace.co.kr/
서버란 무엇인가요?
#서버 #코딩 #클라이언트
어렴풋이 갖고 있던 개념을 명료하게!
서버 그리고 클라이언트, 둘의 차이를 알아봅시다.
= = =
얄코사이트: https://www.yalco.kr
개발자스티커 구매: https://smartstore.naver.com/honeykers
가장 쉬운 Git 튜토리얼:
포인터 쉽게 알아보기:
객체지향에 대해 알아보기:
객체지향 디자인 패턴:
함수형 프로그래밍이란?:
쿠키 vs 세션 vs 캐시:
프로세스와 스레드:
비동기 프로그래밍:
REST API 알아보기:
GraphQL 알아보기:
= = =
영상 주요 포인트
서버 vs 클라이언트 개념
사실 '서버'란 말은 역할의 개념이에요.
...
한 컴퓨터가,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른 하나 이상의 컴퓨터들에게 뭔가를 해주면
이를테면
저장된 글과 사진, 영상들을 보여주거나
반대로 그것들을 업로드받아서 보관해주거나
한 컴퓨터가 톡을 보내면
다른 컴퓨터에게 알림을 보내거나
위치정보와 목적지를 받고
가는길과 소요시간을 계산해주거나
여럿이 온라인으로 참여할 수 있는
게임을 열어주거나
하면, 그 해주는, serve하는 컴퓨터가 서버,
그 service 받는 컴퓨터가 서버의 상대 개념인
손님, 클라이언트가 되는거에요.
...
한 맛집 앱을 담당하는 컴퓨터가 있어요.
이 컴퓨터는 앱이 깔린 폰들에
맛집들의 정보를 전송해줘요.
폰들에 서비스를 제공하니까 서버인거죠.
-
그런데 이 앱이
특정 지역의 지리 정보가 필요할 땐
이 컴퓨터가 네이버 지도 서버에
요청해서 정보를 받아와요.
이때는 이게 클라이언트가 되는거죠.
= = =
엔딩송 : 권민호, 김한영 - Let's Dance
자료출처 : https://gongu.copyright.or.kr
Music promoted by DayDreamSound :
@yalco-coding : 아래 링크에서 더 많은 정보들을 확인하세요!!
https://www.yalco.kr/02_server/
@user-mu3ti5gx4u : 얄코님..정말 감사합니다ㅠㅠ 어려운 IT용어들 속에서 정말 멘붕멘붕이었는데..얄코님 덕분에 그 용어들이 이제 더이상 두렵지가 않아요!
정말 감사합니다! 아직 취준생이지만 꼭 끝까지 노력하여서 좋은 개발자가 되보도록 하겠습니다!
@user-ew4xr4wf4u : 그래! 이거야. 이게 설명이지. 서버 설명 해준다면서 서버가 정작 뭐하는 건지는 가르쳐주지도 않는 사람들 많더만. 이렇게 풀어서 설명하는 사람이 진짜로 이해가 바탕이 된 사람이지. 감사함미다
@dynamics : This is so great! Thank you so much for uploading! So refreshing to have informative + well made presentation! Please never stop educating those of all ages. The beauty of your videos is that it appeals to all different ages and all different levels. Thank you !!!!
@user-fs5vv2vb3f : 서버라는 말은 어렴풋이 알고 있었지만 그게 굳이 왜 필요한 건지, 그리고 왜 항상 서버 컴퓨터를 켜놓고 있어야 하는건지 잘 몰랐었는데 덕분에 확실하게 이해했네요. 컴공한테 엄청 기초적인 내용인데도 막상 누구한테 물어보긴 좀 그런 내용들인데 영상으로 쉽게 설명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