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청알바
페이지 정보
본문
알바의 모든 것│제주도 알바 편
알바의 모든 것EP.4
제주도 알바 편 (ft. 장윤지)
00:00 제주도 알바
00:20 Q. 제주도에서 알바를 하게 된 계기가 있나요?
00:46 Q. 시급이나 지급 형태는 어떻게 되었나요?
01:46 Q. 제주도 알바는 어떻게 구했나요?
02:11 Q. 지원서나 이력서는 어떻게 작성하나요?
03:39 Q. 제주도 가기 전 예산은 어느정도 챙겨갔나요?
04:04 Q. 알바를 하는 목적 혹은 플랜이 있나요?
04:22 Q. 일하지 않는 5일 동안엔 무엇을 하셨나요?
04:43 Q. 제주도 내에서 이동은 어떻게 했나요?
04:55 Q. 한달 간의 여행을 마치고 돌아올 때 기분은 어땠어요?
05:08 Q. 다시 가도 알바를 할 것 같나요?
05:22 Q. 타지에서 지내는 것이 어렵지는 않았나요?
06:12 Q. 다들 잘 모르는 제주도 명소가 있나요?
06:23 Q. 같이 일하는 사람은 몇 명 정도였나요?
07:06 Q. 기억에 남는 에피소드가 있나요?
07:36 Q. '제주도 한 달 살기' 팁이 있을까요?
08:05 Q. 알바몬들에게 해주고 싶은 말이 있나요?
Instagram @albamon_official
Facebook / 알바몬
권태욱 : 좋아요누르고갑니다
Juhoyeon : 근태의, 근태에 의한, 근태를 위한 이 안근태 원탑 컨텐츠(aka안근태 거성쇼) 왜 하게됐는지 비하인드좀 아이디엇에서 풀어주세요
권태욱 : 내가1등이다
콜 수도 많이 나오는데 사고도 잘 안나는 배달업이 있다? 제주센터 센터장님의 인터뷰
배달대행.. 전부 이륜 바이크를 생각하셨죠? B-flex는 조금 다르다구요!
B-flex는 차량으로 운행하는 배달대행으로, 기존 배달대행과는 다르게 안정성, 콜 수, 심지어 출퇴근까지 보장되어 있답니다.
그 이유가 궁금하시면 끝까지 시청 부탁드릴게요!
B-FLEX에 대한 문의는 아래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http://bflex.co.kr/
#배달대행 #배달대행프로그램 #제주도배달 #제주도 #제주배달 #제주 #제주살이 #차량배달 #차로배달 #배달브이로그 #배달알바 #배달창업
yongsir : 상담 어느경로로 가능한가요?
elic : 처음 준비해야하는 금액이 있나요?
김칼슨 : 잘생겼다
1970년대 제주시는 급속도로 변신중ㅣJeju in the rapidly changing 1970s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섬이면서 행정구역으로는 가장 작은 도인 제주도
그 제주도의 중심도시인 제주시의 70년대 모습입니다.
지금은 제주특별자치도를 제주시와 서귀포시 두 행정시로 나눠놓아 ‘제주시’ 범위가 꽤 넓은데(이전의 북제주군까지 포함), 이 영상에서 말하는 제주시는 70년대 제주도에서 유일한 ‘시’지역이었던 제주시를 말합니다.
지금 ‘행정시 제주시’ 중 ‘제주시’를 말하는 건데(뭔 행정구역이 이래?),
‘동’지역이라고 생각하면 될 듯합니다.
#제주도 #1970년대
[ 이미지 출처 ]
* 산지천 복개공사 1978년 7월 / 동문로터리 복개된 산지천 위의 상가들 / 동문시장 1978년 11월 / 동문시장 풍경 / 관덕로 확장공사 / 칠성로 1978년 7월 / 중앙사거리-탑동 사이 중앙로 확장공사 1979년 / 남문사거리 도로청소 / 서문사거리에서 관덕정 방향 1974년 / 서문사거리 1976년 / 서문로 제주시청 주변 초가 / 용담동 제주오일장 / 삼무공원으로 이동중인 증기기관차 : 제주시사진DB
* 도민체전에서 남문로를 행진하는 제주시 선수단 / 1970년 도민체전에서 입장하는 남제주군 선수단 / 1970년대 제주국제공항 / 국제선 취항기념식 / 제주공항 확장과정에서 없어진 모래물마을(사수동) / 해안도로 옆의 몰래물 샘터 / 1970년대초 제주항과 주변 시가지 / 동양고속페리 제1호 취항(제주-부산) 경축 행사 1977년 / 제주-완도 쾌속선 취항 1979년 / 산지로 풍경 / 칠성로의 쓰레기 수거차 / 현위치로 옮기기 전 관덕정 서편에 있던 제주시청 / 연탄재가 쌓여있는 중앙로 1970년대초 / 탑동 바다에서 고둥 잡는 아이들 / 탑동 매립 전 중앙로-측후소에서 서쪽으로 본 모습 / 시청 부근 서문로 주변 1970년대초 / 남문로에서 조기청소하는 신성여고 학생들 / 제주시민회관 1972년 / 칼호텔에서 본 시민회관 주변 1970년대말 / 시청 부근 서문로 주변 1970년대초 / 서문로 확장 1970년대초 / 서문교에서 본 병문천 / 용담동의 제주오일장, 현 적십자회관 / 삼무공원에 전시된 증기기관차 1978년 어린이날 / 삼무공원에 전시중인 증기기관차 / 삼무공원 삼무정 준공 1978년 / 연동 전기점화식 1970년 8월 19일 / 신제주개발이 시작된 연동마을 : 제주특별자치도_공공누리(https://www.kogl.or.kr/)
* 동문로터리 동문시장 입구 / 원정로(관덕로)에서 동문로터리 방향 1971년 / 중앙로(중앙사거리 남쪽) 1971년 : 제주학연구센터
* 1971년 제주국제공항 / 관덕정 분수대 1971년 : 셀수스협동조합_공유마당(https://gongu.copyright.or.kr/)
* 탐라순력도 :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본부
* 제주대학교 병원-삼도동 : 위키백과(사진 thddbwnd - Took a picture)
* 1915년 관덕정 앞 오일장 : 국립중앙박물관(https://www.museum.go.kr)
* 현재의 연동 중심가 : 제주일보
* 제주시내 지도와 로드뷰는 카카오맵 편집
* 영상 소스
- 대한뉴스 제1131호 카페리 취항식()
- 대한뉴스 제1235호 완도-제주간 정기쾌속선 취항()
뢰베 : 제주도 놀러올 때마다 시내도 많이 돌아다녀서 그런지 현재 경관이 익숙하면서도 또한, 지금의 모습과는 다른 과거 모습을 보니 신기하네요. 유익한 영상, 잘 봤습니다^^
김낙경 : 76년초~78년말까지 군생활하던 그때의 기억이 새록새록합니다. 부산행 도라지호,아리랑호,제주호~ 그 이후 동양고속훼리가 취항하고
휴가때 제주공항에서 김해공항까지 군인할인하여 4천몇백원주고 탓던 기억이 (그 당시엔 김해공항 또한 수영공항에서 옮겨 새 공항이었던 기억~)
나난 : 어릴적 외할머니따라
제주 외삼촌댁
갔던있이 생각나네요.
서울역에서 할매손잡고
5시 서울역발
목포행 비둘기.
연착해서 목포역까지 13시간.
걸어서 목포항 까지가면
추자도행 7시간.
할매 아시는 아주머니댁에서
하룻밤자고 아주머니 친척아제
제주항 들어가는 고깃배
얻어타고 8시간.
제주항에 외삼촌 나와계시고.ㅎ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balfart1 : These looks into the past are PRICELESS - WONDERFUL!
Thank you very much for your hard work!
유창근 : 78년1월 제주시 칼호텔 나이트클럽
밴드로 근무하다
제주가 좋아서 85년까지 살다 지금은
성남에 거주중인데
사진속 풍경을 보니
어렴풋이 그때생각이
납니다.
통금도 없고 거리에
가로수도 아열대
식물이 많고 특히 사투리가 신기했습니다.
사진과 글을 올려주신분 감사합니다
알바의 모든 것EP.4
제주도 알바 편 (ft. 장윤지)
00:00 제주도 알바
00:20 Q. 제주도에서 알바를 하게 된 계기가 있나요?
00:46 Q. 시급이나 지급 형태는 어떻게 되었나요?
01:46 Q. 제주도 알바는 어떻게 구했나요?
02:11 Q. 지원서나 이력서는 어떻게 작성하나요?
03:39 Q. 제주도 가기 전 예산은 어느정도 챙겨갔나요?
04:04 Q. 알바를 하는 목적 혹은 플랜이 있나요?
04:22 Q. 일하지 않는 5일 동안엔 무엇을 하셨나요?
04:43 Q. 제주도 내에서 이동은 어떻게 했나요?
04:55 Q. 한달 간의 여행을 마치고 돌아올 때 기분은 어땠어요?
05:08 Q. 다시 가도 알바를 할 것 같나요?
05:22 Q. 타지에서 지내는 것이 어렵지는 않았나요?
06:12 Q. 다들 잘 모르는 제주도 명소가 있나요?
06:23 Q. 같이 일하는 사람은 몇 명 정도였나요?
07:06 Q. 기억에 남는 에피소드가 있나요?
07:36 Q. '제주도 한 달 살기' 팁이 있을까요?
08:05 Q. 알바몬들에게 해주고 싶은 말이 있나요?
Instagram @albamon_official
Facebook / 알바몬
권태욱 : 좋아요누르고갑니다
Juhoyeon : 근태의, 근태에 의한, 근태를 위한 이 안근태 원탑 컨텐츠(aka안근태 거성쇼) 왜 하게됐는지 비하인드좀 아이디엇에서 풀어주세요
권태욱 : 내가1등이다
콜 수도 많이 나오는데 사고도 잘 안나는 배달업이 있다? 제주센터 센터장님의 인터뷰
배달대행.. 전부 이륜 바이크를 생각하셨죠? B-flex는 조금 다르다구요!
B-flex는 차량으로 운행하는 배달대행으로, 기존 배달대행과는 다르게 안정성, 콜 수, 심지어 출퇴근까지 보장되어 있답니다.
그 이유가 궁금하시면 끝까지 시청 부탁드릴게요!
B-FLEX에 대한 문의는 아래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http://bflex.co.kr/
#배달대행 #배달대행프로그램 #제주도배달 #제주도 #제주배달 #제주 #제주살이 #차량배달 #차로배달 #배달브이로그 #배달알바 #배달창업
yongsir : 상담 어느경로로 가능한가요?
elic : 처음 준비해야하는 금액이 있나요?
김칼슨 : 잘생겼다
1970년대 제주시는 급속도로 변신중ㅣJeju in the rapidly changing 1970s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섬이면서 행정구역으로는 가장 작은 도인 제주도
그 제주도의 중심도시인 제주시의 70년대 모습입니다.
지금은 제주특별자치도를 제주시와 서귀포시 두 행정시로 나눠놓아 ‘제주시’ 범위가 꽤 넓은데(이전의 북제주군까지 포함), 이 영상에서 말하는 제주시는 70년대 제주도에서 유일한 ‘시’지역이었던 제주시를 말합니다.
지금 ‘행정시 제주시’ 중 ‘제주시’를 말하는 건데(뭔 행정구역이 이래?),
‘동’지역이라고 생각하면 될 듯합니다.
#제주도 #1970년대
[ 이미지 출처 ]
* 산지천 복개공사 1978년 7월 / 동문로터리 복개된 산지천 위의 상가들 / 동문시장 1978년 11월 / 동문시장 풍경 / 관덕로 확장공사 / 칠성로 1978년 7월 / 중앙사거리-탑동 사이 중앙로 확장공사 1979년 / 남문사거리 도로청소 / 서문사거리에서 관덕정 방향 1974년 / 서문사거리 1976년 / 서문로 제주시청 주변 초가 / 용담동 제주오일장 / 삼무공원으로 이동중인 증기기관차 : 제주시사진DB
* 도민체전에서 남문로를 행진하는 제주시 선수단 / 1970년 도민체전에서 입장하는 남제주군 선수단 / 1970년대 제주국제공항 / 국제선 취항기념식 / 제주공항 확장과정에서 없어진 모래물마을(사수동) / 해안도로 옆의 몰래물 샘터 / 1970년대초 제주항과 주변 시가지 / 동양고속페리 제1호 취항(제주-부산) 경축 행사 1977년 / 제주-완도 쾌속선 취항 1979년 / 산지로 풍경 / 칠성로의 쓰레기 수거차 / 현위치로 옮기기 전 관덕정 서편에 있던 제주시청 / 연탄재가 쌓여있는 중앙로 1970년대초 / 탑동 바다에서 고둥 잡는 아이들 / 탑동 매립 전 중앙로-측후소에서 서쪽으로 본 모습 / 시청 부근 서문로 주변 1970년대초 / 남문로에서 조기청소하는 신성여고 학생들 / 제주시민회관 1972년 / 칼호텔에서 본 시민회관 주변 1970년대말 / 시청 부근 서문로 주변 1970년대초 / 서문로 확장 1970년대초 / 서문교에서 본 병문천 / 용담동의 제주오일장, 현 적십자회관 / 삼무공원에 전시된 증기기관차 1978년 어린이날 / 삼무공원에 전시중인 증기기관차 / 삼무공원 삼무정 준공 1978년 / 연동 전기점화식 1970년 8월 19일 / 신제주개발이 시작된 연동마을 : 제주특별자치도_공공누리(https://www.kogl.or.kr/)
* 동문로터리 동문시장 입구 / 원정로(관덕로)에서 동문로터리 방향 1971년 / 중앙로(중앙사거리 남쪽) 1971년 : 제주학연구센터
* 1971년 제주국제공항 / 관덕정 분수대 1971년 : 셀수스협동조합_공유마당(https://gongu.copyright.or.kr/)
* 탐라순력도 :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본부
* 제주대학교 병원-삼도동 : 위키백과(사진 thddbwnd - Took a picture)
* 1915년 관덕정 앞 오일장 : 국립중앙박물관(https://www.museum.go.kr)
* 현재의 연동 중심가 : 제주일보
* 제주시내 지도와 로드뷰는 카카오맵 편집
* 영상 소스
- 대한뉴스 제1131호 카페리 취항식()
- 대한뉴스 제1235호 완도-제주간 정기쾌속선 취항()
뢰베 : 제주도 놀러올 때마다 시내도 많이 돌아다녀서 그런지 현재 경관이 익숙하면서도 또한, 지금의 모습과는 다른 과거 모습을 보니 신기하네요. 유익한 영상, 잘 봤습니다^^
김낙경 : 76년초~78년말까지 군생활하던 그때의 기억이 새록새록합니다. 부산행 도라지호,아리랑호,제주호~ 그 이후 동양고속훼리가 취항하고
휴가때 제주공항에서 김해공항까지 군인할인하여 4천몇백원주고 탓던 기억이 (그 당시엔 김해공항 또한 수영공항에서 옮겨 새 공항이었던 기억~)
나난 : 어릴적 외할머니따라
제주 외삼촌댁
갔던있이 생각나네요.
서울역에서 할매손잡고
5시 서울역발
목포행 비둘기.
연착해서 목포역까지 13시간.
걸어서 목포항 까지가면
추자도행 7시간.
할매 아시는 아주머니댁에서
하룻밤자고 아주머니 친척아제
제주항 들어가는 고깃배
얻어타고 8시간.
제주항에 외삼촌 나와계시고.ㅎ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balfart1 : These looks into the past are PRICELESS - WONDERFUL!
Thank you very much for your hard work!
유창근 : 78년1월 제주시 칼호텔 나이트클럽
밴드로 근무하다
제주가 좋아서 85년까지 살다 지금은
성남에 거주중인데
사진속 풍경을 보니
어렴풋이 그때생각이
납니다.
통금도 없고 거리에
가로수도 아열대
식물이 많고 특히 사투리가 신기했습니다.
사진과 글을 올려주신분 감사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