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저축상품 비교
페이지 정보
본문
구독자 요청 폭발 "연금저축 뭐 가입해요?" 전직은행원의 비교분석
안녕 식구들! 개념있는 희애입니다.
국민연금에 대한 적신호가 더 짙어지면서, 노후준비를 위해서 연금저축을 가입하는 사람들이 많아졌습니다. 특히! 가입연령 자체가 굉장히 많이 낮아졌어요. 2030 세대가 연금저축 가입의 상당비율을 차지하고 있다고 하니, 확실히 다들 노후에 대한 불안감을 조금씩은 안고 있는 것 같아요.
그래서인지 최근에 연금저축, 개인연금 펀드를 가입해야 될지 보험을 가입해야 될지에 대한 질문이 꽤 있었는데요. 드디어 갖고 왔습니다! 개인연금, 연금저축 펀드와 보험 비교 한방정리! 이 영상으로, 가입에 대한 고민 속 시원하게 해결됐으면 좋겠습니다
BUSINESS MAIL: heeaeson@gmail.com
(비즈니스 전용 메일이므로 일반 상담 답변드리지 않습니다)
대표 저서 : 하루 5분 머니로그
- 알라딘: https://bit.ly/34ynHYe
- 예스24: https://bit.ly/3nGuCq6
- 교보문고: https://bit.ly/2Wuzq5M
- 인터파크: https://bit.ly/2WzVBaE
라디오
(현)
- SBS 허지웅쇼 103.5MHz 평일(월-금) 코너
- EBS 이희경의오천만의생활경제 104.5MHz 화요일 코너
- YTN 생생경제 수요일 코너
- TBS 경제발전소 수요일 코너
(전)
- KBS 조우종의FM대행진 89.1MHz 화요일 코너
- 네이버나우 JOB소리 매주 수요일 저녁 6시
INSTA: heeaeson_way
✒ Brunch : brunch.co.kr/@heeaeson-way
광고 콘텐츠의 경우 반드시 유료광고 표시를 하고 있습니다. 유료광고 표시가 돼 있지 않은 영상은 제가 실제로 사용해보고 리뷰하는 영상이오니, 리뷰 영상이라고 해서 무조건적으로 광고영상이라고 오해하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앞으로도 개념있는 희애씨 채널에서는 광고 콘텐츠 진행과정에서 부끄러움 없이, 더 나은 일상에 도움이 되는 방향성으로 나아갈 것을 약속드립니다.
본 영상의 라이선스는 창작자 개념있는 희애씨에게 있습니다. 영상을 무단으로 이용할 시에는 법적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본 채널 이외에, 온오프라인에서 개념있는 희애씨의 영상을 목격하신 분들은 heeaeson@gmail.com로 제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황금물결 : 목소리도 좋고 말씀도 잘하시고 최고♡
가보자고 : 정말 은행관련 하나도 몰랐는데 감사해요 ㅜㅜ
전혜진 : 연금저축애 대해서 잘몰랐는데 자세히 알려주셔서 감사해요~~
풀잎향 : 안녕하세요, 톡톡 튀는 목소리와 차근차근한 설명에 감사드립니다.
한가지만 깊은 고민에 빠져 여쭤보고자합니다.제가 연금저축을 2012년에 가입했어여.월 50만원씩 신랑이름이로 세액공제 받구요. 현대해상 연금저축손해보험웰스보험이에요.고민되는 건 지금까지 10년동안 납부했는데 올해 만 55세가 되서 연금을 받을 수 있어요. 그런데 계약할 때는 12년 내는 걸로 했었더라구요. 그래서 이제 받을 수 있으니 더이상 사업비를 내고 싶진 않아서 이제 그냥 연금개시해서 다른 투자처를 알아보고 하는게 나을 지 그냥 2년 더 내고 65세 이후에 개시하는 게 나을 지 고민되네요. 긴 글이라 읽는데 힘드셨겠지만 도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유진 : 저 그런데 궁금한게 있어요! 연금저축펀드는 5년 이상 납입을 해야한다고 그러던데, 이게 매달 꾸준히 일정 금액을 넣지 않아도 그냥 계좌를 5년동안 가지고 있으면 되는 건가요,,? 아니면 60회차를 꾸준히는 아니더라도 입금을 해야한다는 걸까요,,?
연말정산에 집착하다 벌어진 일, 연금저축과 IRP에 절대 돈 넣어선 안되는 분, 치명적 독소 有
연금저축과 IRP, ISA에 관한 해설 영상입니다. (*고정댓글 필독! 방송에서 미진한 부분을, 한 구독자 분이 상세히 보충해 주셨습니다. )
#연말정산 #세액공제 #연금저축_IRP_ISA
민트초코환자 : 오늘도 좋은 내용 감사드립니다.
다만 제가 알고 있는 부분과 다른 부분, 그리고 첨언하고 싶은 내용이 있어, 몇 글자 적습니다.
1. 2:30 나은퇴씨의 소득이 오직 연금소득 1,500만원만 있는 경우에는 보수적으로 소득공제에서 본인인적공제(-150만원),표준세액공제(7만원)만 적용하여도 유효세율은 약 6.5%로 그리 높게 적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연금소득 1,200만원 아래인 경우에도, 무조건 분리과세가 아닌 선택적분리과세 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말씀하신 의도는 알겠지만, 소득자의 상황에 따라 연 1,500만원 받는 것이 꼭 나쁘지 않을수도 있습니다.
2. 8:40 세액공제액은 소득금액요건에 따라 12%,혹은15% 세율적용 되어 120만원 혹은 150만원입니다.
3. 8:53 연금수령한도에 대한 설명을 하신 것 같은데, 2013년 3월 1일 전에 가입한 연금계좌의 경우, 5년이상의 기간동안 분할수령가능합니다.
4. 9:20 최고세율은 49.5%입니다. (종합소득 과세표준 10억원 초과구간)
5. ISA 중에서도 설명하신 내용은 중개형 ISA에 대한 부분이라 정확히 언급하셨으면 더 좋았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3년이 되지 않아도 납입한 금액 한도로는 인출가능합니다.
준비하신 내용을 보면 어려운 내용을 많이 공부하시고, 쉽게 설명해주시기 위해 노력한 흔적이 많이 보이네요.
늘 좋은 프로그램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커피마시는스누피 : 연금저축 해지하면 난리 납니다. 일단 22.2% 세금을 물고요...그다음 해지한 금액 전체가 기타소득으로 해당되서 그해의 종합소득으로 잡혀서 소득세 폭탄이 나옵니다. 여기서 이해가 안되는것은 세제혜택 본거 이미 세금 22.2% 냈는데..해지한 금액이 왜 내 소득인지 이해가 안됩니다.내돈내고 저축한돈이 모두 소득으로 잡히면 누가 저축을 하겠어요...저는 연 1200만원 소득자 인데 10년동안 넣은 연금저축을3400만원을 해지했는데 그해 소득이 4600만원으로 잡혀서 소득세 어마하게 물었네요..정말 이해가 안되는 이상한 세금입니다. 이게 왜 소득인건지..정말 칼만 안들었지 강도나 마찬가지 이네요...
HAYA BICH : 저는 은퇴 2년차인데 연금저축,퇴직연금 등을 IRP와 ISA로 운용하고 있습니다.
자금의 여유가 있어서 매년 IRP한도안에 인출해서 ISA로 입금하고, 모두 ETF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정말 일목요연하게 정리가 잘되어 있네요.
감사드립니다.
김동률 : 정말 알차고 좋은 정보네요.
핵심과 예시 모두 알기쉽게 설명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IRP도 열심히 불입하고 쉽게 깨뜨리시는 분들 많은데...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러블리 : 깔끔한 설명 너무 감사드려요!ㅎㅎ
내가 연금저축, IRP안하는 이유/가입이 고민되시면, 이 영상보고나서 해도 늦지 않아요.
제가 아는 것, 공부한 것을 모두 나눕니다✨
✔️[인스타그램] http://www.instagram.com/upplan0413
✔️ [블로그] https://m.blog.naver.com/seonmin078/222613278787
✔️ [메일] seonmin078@naver.com
개인연금에 대한 기본개념과 주의사항,
해야할 사람과 아닌사람에 대한 저의 기준을 말씀드려보았습니다.
도움되셨기를 바라요^^
연금저축펀드 수익률표는 ‘플레인바닐라’블로그에서 가져왔습니다.
#연금저축펀드 #IRP #연말정산
김성빈 : 영상과 댓글 보며 많은 걸 배우고 깨닫고 갑니다! 댓글에 유익한 정보들이 많네요 ㅎㅎ
몰농 : 저도 영상보면서 저에게 필요한건가.. 생각했는데 현재 연금저축말고 다른곳에서 공격적 투자중이라 분산투자, 리스크 분산, 욕심통제를 위해서라도 연금저축 해야될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투자를 할 실력이 있는 사람이라면 400만원 수익은 충분히 커버가능한거라 생각하고 공부또공부해야될 것 같습니다.. 이 영상 본거 자체가 한번더 돌아보게 만드는 계기였어요 감사합니다.
여행과 프란.. : 재산형성에 대한 근본적인 자세를 돌아보게 하는 말씀입니다.. 공허하다고 느껴지는 지금까지의 삶에 다시금 잘하는 것에 집중해야 하는 동기를 주시네요..
감사드려요..T.T 저도 재(테크)스(터디)님 처럼 최고세율에 대해 공감합니다. 단순히 돈에 대한 문제만이 아닌 삶에 대한 자세를 생각합니다..영상 만드시느라 고생하셨습니다...
나율부부 : 맞는말이네요.
저도 3년전 연저펀 가입해서 운영중이지만
최소한의 안전노후자금 차원에서 고민끝에 가입한거
능력되셔서 부동산 레버리지나 다른 더 높은 수익이 날수있는 투자능력이 있다면
그런분들한텐 돈이 장기간 묶이니 완전 손해
그런 취지로 만든영상같네요
잘봤습니다
서보람 : 레버리지로 리스크를 지면서 투자를 하실 정도라면 연금저축펀드가 큰 이익을 가져다주지 않는 거라고 생각하실 수 있을것 같아요. 아직도 은행에 적금 넣으시는 분들이 많아서 ‘은행이자 받는 것보다 나으니 안전하게 연금저축펀드 시작해보아요’ 라는 취지라고 생각합니다. 노후준비+복리의 힘+자본이 일하게 하는 것. 행복한 희망을 안고 미래를 바라보는 자세인거죠.
안녕 식구들! 개념있는 희애입니다.
국민연금에 대한 적신호가 더 짙어지면서, 노후준비를 위해서 연금저축을 가입하는 사람들이 많아졌습니다. 특히! 가입연령 자체가 굉장히 많이 낮아졌어요. 2030 세대가 연금저축 가입의 상당비율을 차지하고 있다고 하니, 확실히 다들 노후에 대한 불안감을 조금씩은 안고 있는 것 같아요.
그래서인지 최근에 연금저축, 개인연금 펀드를 가입해야 될지 보험을 가입해야 될지에 대한 질문이 꽤 있었는데요. 드디어 갖고 왔습니다! 개인연금, 연금저축 펀드와 보험 비교 한방정리! 이 영상으로, 가입에 대한 고민 속 시원하게 해결됐으면 좋겠습니다
BUSINESS MAIL: heeaeson@gmail.com
(비즈니스 전용 메일이므로 일반 상담 답변드리지 않습니다)
대표 저서 : 하루 5분 머니로그
- 알라딘: https://bit.ly/34ynHYe
- 예스24: https://bit.ly/3nGuCq6
- 교보문고: https://bit.ly/2Wuzq5M
- 인터파크: https://bit.ly/2WzVBaE
라디오
(현)
- SBS 허지웅쇼 103.5MHz 평일(월-금) 코너
- EBS 이희경의오천만의생활경제 104.5MHz 화요일 코너
- YTN 생생경제 수요일 코너
- TBS 경제발전소 수요일 코너
(전)
- KBS 조우종의FM대행진 89.1MHz 화요일 코너
- 네이버나우 JOB소리 매주 수요일 저녁 6시
INSTA: heeaeson_way
✒ Brunch : brunch.co.kr/@heeaeson-way
광고 콘텐츠의 경우 반드시 유료광고 표시를 하고 있습니다. 유료광고 표시가 돼 있지 않은 영상은 제가 실제로 사용해보고 리뷰하는 영상이오니, 리뷰 영상이라고 해서 무조건적으로 광고영상이라고 오해하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앞으로도 개념있는 희애씨 채널에서는 광고 콘텐츠 진행과정에서 부끄러움 없이, 더 나은 일상에 도움이 되는 방향성으로 나아갈 것을 약속드립니다.
본 영상의 라이선스는 창작자 개념있는 희애씨에게 있습니다. 영상을 무단으로 이용할 시에는 법적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본 채널 이외에, 온오프라인에서 개념있는 희애씨의 영상을 목격하신 분들은 heeaeson@gmail.com로 제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황금물결 : 목소리도 좋고 말씀도 잘하시고 최고♡
가보자고 : 정말 은행관련 하나도 몰랐는데 감사해요 ㅜㅜ
전혜진 : 연금저축애 대해서 잘몰랐는데 자세히 알려주셔서 감사해요~~
풀잎향 : 안녕하세요, 톡톡 튀는 목소리와 차근차근한 설명에 감사드립니다.
한가지만 깊은 고민에 빠져 여쭤보고자합니다.제가 연금저축을 2012년에 가입했어여.월 50만원씩 신랑이름이로 세액공제 받구요. 현대해상 연금저축손해보험웰스보험이에요.고민되는 건 지금까지 10년동안 납부했는데 올해 만 55세가 되서 연금을 받을 수 있어요. 그런데 계약할 때는 12년 내는 걸로 했었더라구요. 그래서 이제 받을 수 있으니 더이상 사업비를 내고 싶진 않아서 이제 그냥 연금개시해서 다른 투자처를 알아보고 하는게 나을 지 그냥 2년 더 내고 65세 이후에 개시하는 게 나을 지 고민되네요. 긴 글이라 읽는데 힘드셨겠지만 도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유진 : 저 그런데 궁금한게 있어요! 연금저축펀드는 5년 이상 납입을 해야한다고 그러던데, 이게 매달 꾸준히 일정 금액을 넣지 않아도 그냥 계좌를 5년동안 가지고 있으면 되는 건가요,,? 아니면 60회차를 꾸준히는 아니더라도 입금을 해야한다는 걸까요,,?
연말정산에 집착하다 벌어진 일, 연금저축과 IRP에 절대 돈 넣어선 안되는 분, 치명적 독소 有
연금저축과 IRP, ISA에 관한 해설 영상입니다. (*고정댓글 필독! 방송에서 미진한 부분을, 한 구독자 분이 상세히 보충해 주셨습니다. )
#연말정산 #세액공제 #연금저축_IRP_ISA
민트초코환자 : 오늘도 좋은 내용 감사드립니다.
다만 제가 알고 있는 부분과 다른 부분, 그리고 첨언하고 싶은 내용이 있어, 몇 글자 적습니다.
1. 2:30 나은퇴씨의 소득이 오직 연금소득 1,500만원만 있는 경우에는 보수적으로 소득공제에서 본인인적공제(-150만원),표준세액공제(7만원)만 적용하여도 유효세율은 약 6.5%로 그리 높게 적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연금소득 1,200만원 아래인 경우에도, 무조건 분리과세가 아닌 선택적분리과세 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말씀하신 의도는 알겠지만, 소득자의 상황에 따라 연 1,500만원 받는 것이 꼭 나쁘지 않을수도 있습니다.
2. 8:40 세액공제액은 소득금액요건에 따라 12%,혹은15% 세율적용 되어 120만원 혹은 150만원입니다.
3. 8:53 연금수령한도에 대한 설명을 하신 것 같은데, 2013년 3월 1일 전에 가입한 연금계좌의 경우, 5년이상의 기간동안 분할수령가능합니다.
4. 9:20 최고세율은 49.5%입니다. (종합소득 과세표준 10억원 초과구간)
5. ISA 중에서도 설명하신 내용은 중개형 ISA에 대한 부분이라 정확히 언급하셨으면 더 좋았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3년이 되지 않아도 납입한 금액 한도로는 인출가능합니다.
준비하신 내용을 보면 어려운 내용을 많이 공부하시고, 쉽게 설명해주시기 위해 노력한 흔적이 많이 보이네요.
늘 좋은 프로그램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커피마시는스누피 : 연금저축 해지하면 난리 납니다. 일단 22.2% 세금을 물고요...그다음 해지한 금액 전체가 기타소득으로 해당되서 그해의 종합소득으로 잡혀서 소득세 폭탄이 나옵니다. 여기서 이해가 안되는것은 세제혜택 본거 이미 세금 22.2% 냈는데..해지한 금액이 왜 내 소득인지 이해가 안됩니다.내돈내고 저축한돈이 모두 소득으로 잡히면 누가 저축을 하겠어요...저는 연 1200만원 소득자 인데 10년동안 넣은 연금저축을3400만원을 해지했는데 그해 소득이 4600만원으로 잡혀서 소득세 어마하게 물었네요..정말 이해가 안되는 이상한 세금입니다. 이게 왜 소득인건지..정말 칼만 안들었지 강도나 마찬가지 이네요...
HAYA BICH : 저는 은퇴 2년차인데 연금저축,퇴직연금 등을 IRP와 ISA로 운용하고 있습니다.
자금의 여유가 있어서 매년 IRP한도안에 인출해서 ISA로 입금하고, 모두 ETF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정말 일목요연하게 정리가 잘되어 있네요.
감사드립니다.
김동률 : 정말 알차고 좋은 정보네요.
핵심과 예시 모두 알기쉽게 설명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IRP도 열심히 불입하고 쉽게 깨뜨리시는 분들 많은데...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러블리 : 깔끔한 설명 너무 감사드려요!ㅎㅎ
내가 연금저축, IRP안하는 이유/가입이 고민되시면, 이 영상보고나서 해도 늦지 않아요.
제가 아는 것, 공부한 것을 모두 나눕니다✨
✔️[인스타그램] http://www.instagram.com/upplan0413
✔️ [블로그] https://m.blog.naver.com/seonmin078/222613278787
✔️ [메일] seonmin078@naver.com
개인연금에 대한 기본개념과 주의사항,
해야할 사람과 아닌사람에 대한 저의 기준을 말씀드려보았습니다.
도움되셨기를 바라요^^
연금저축펀드 수익률표는 ‘플레인바닐라’블로그에서 가져왔습니다.
#연금저축펀드 #IRP #연말정산
김성빈 : 영상과 댓글 보며 많은 걸 배우고 깨닫고 갑니다! 댓글에 유익한 정보들이 많네요 ㅎㅎ
몰농 : 저도 영상보면서 저에게 필요한건가.. 생각했는데 현재 연금저축말고 다른곳에서 공격적 투자중이라 분산투자, 리스크 분산, 욕심통제를 위해서라도 연금저축 해야될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투자를 할 실력이 있는 사람이라면 400만원 수익은 충분히 커버가능한거라 생각하고 공부또공부해야될 것 같습니다.. 이 영상 본거 자체가 한번더 돌아보게 만드는 계기였어요 감사합니다.
여행과 프란.. : 재산형성에 대한 근본적인 자세를 돌아보게 하는 말씀입니다.. 공허하다고 느껴지는 지금까지의 삶에 다시금 잘하는 것에 집중해야 하는 동기를 주시네요..
감사드려요..T.T 저도 재(테크)스(터디)님 처럼 최고세율에 대해 공감합니다. 단순히 돈에 대한 문제만이 아닌 삶에 대한 자세를 생각합니다..영상 만드시느라 고생하셨습니다...
나율부부 : 맞는말이네요.
저도 3년전 연저펀 가입해서 운영중이지만
최소한의 안전노후자금 차원에서 고민끝에 가입한거
능력되셔서 부동산 레버리지나 다른 더 높은 수익이 날수있는 투자능력이 있다면
그런분들한텐 돈이 장기간 묶이니 완전 손해
그런 취지로 만든영상같네요
잘봤습니다
서보람 : 레버리지로 리스크를 지면서 투자를 하실 정도라면 연금저축펀드가 큰 이익을 가져다주지 않는 거라고 생각하실 수 있을것 같아요. 아직도 은행에 적금 넣으시는 분들이 많아서 ‘은행이자 받는 것보다 나으니 안전하게 연금저축펀드 시작해보아요’ 라는 취지라고 생각합니다. 노후준비+복리의 힘+자본이 일하게 하는 것. 행복한 희망을 안고 미래를 바라보는 자세인거죠.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