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케이블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본드제임스 조회 13회 작성일 2023-07-20 19:54:18 댓글 0

본문

[랜선시청회] 디지털 케이블 음질차이 없다구요 ? 그 진실을 직접 확인해보세요.

디지털케이블은 1.0의 데이터가 전송되기 때문에 절대로 음질차이가 날 수 없다는 주장들이 있습니다. 과연 그런지 직접 확인해봤습니다.

디지털케이블로 전송 데이터가 바뀌지 않습니다. 패킷방식의 USB나 Ethernet으로는 지터오류로도 설명이 잘 안됩니다. 음악과 음질이 바뀌는 부분과 디지털 오디오를 디지털로만 접근하면 그 음질차이를 설명할 수 없습니다. 어떤 음질 차이가 있고, 음악의 어떤 부분이 바뀌는지 상세하게 알아봅니다.

=========================================

하이파이클럽 유튜브 구독하기 : https://bit.ly/3sCuEEq

하이파이클럽 홈페이지 바로가기 : https://hificlub.co.kr/
오디오아울렛 홈페이지 바로가기 : https://www.audiooutlet.co.kr/

#케이블 #케이블음질차이 #디지털케이블 #오디오케이블
@hificlub_kr : 0:00 - 인트로
0:32 - 경험과 추론
1:10 - 이더넷은 절연이 되어있어서 노이즈가 못 넘어온다?
2:10 - DAC와 케이블은 다르다?
2:38 - 디지털이 문제가 아니라 아날로그가 문제다
2:57 - 랜케이블 음질비교. TelluriumQ Ethernet 케이블
6:01 - 일반케이블 음질
9:05 - 음질차이 평가
10:11 - 참석자 음질차이 평가
11:39 - 디지털에서 음질차이 나는 이유
14:59 - TelluriumQ Ethernet 재투입
17:01 - 디지털케이블이 음질차이가 나는 조건
17:28 - 음악별 음질차이 설명
@user-00766 : 신앙간증집회가 열렸네요.
@user-yn6wn8qb9b : 언제든지 오라고 하셨으니 무용론/유용론 모두 가서 직접 들어보고 비교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비교해보고 뭔가 차이가 있으면 있는대로 신기한것이고, 차이가 없으면 없는대로 확신을 가지면 될 것 같습니다.
@jaeshin91 : 랜케이블로 음질이 바뀌었다는걸 인정하고 그게 왜 그렇게 되는지 이유가 궁금해지네요. 사용하신 음향기기들과 연결도를 설명해주실 수 있으실까요?
@wellbeingkidoong : 영상에서 설명하신 내용 중에 가장 핵심이고 가장 공감하는 내용은 '시스템의 수준'에 따른 차이라고 생각합니다. 루키~미들급 시스템에서는 하다 못해 아날로그 스피커 케이블을 아무리 업그레이드 해도 차이 못 느끼시는 분들 많은게 어쩌면 당연할겁니다. 영상의 시청회에 직접 참석했다면 음질 차이를 느낄 수 있을 많은 분들도 본인들의 PC, DAC, 헤드폰앰프 등으로 열화된 유튜브 녹음을 아무리 좋은 리시버로 들어도 차이 못 느끼는게 이상할 게 없다고 생각합니다. 정성스럽게 준비하셨겠지만 어차피 이 영상의 녹음으로는, 설득은 기대하기 힘들다는 생각입니다. 제 개인적으로 디지털 커넥션 케이블 카테고리에서 가장 쉽게 차이를 느낄 수 있었던 건 USB, BNC, SPDIF 처럼 디지털 기기간 전송 케이블이었습니다. 저도 예전에 PC에 100만원 내외 DAC랑 앰프 연결해서 헤드파이 할때는 절대 차이 못느꼈었죠. 그런데 웃기는게 DAC 업그레이드 하면서 가장 먼저 느껴진게 PC 노이즈였습니다. 그래서 USB 케이블과 ifi idefender 등으로 노이즈를 잡았었는데, 근본적으로 PC에서 벗어나야겠다 싶어서 이후에 렌더러와 네트워크플레이어를 들이게 되고...디지털이 그렇더라구요^^ ;;; 아무튼 업그레이드의 영역이 분명히 있다는 걸 반복해서 체감하고 하나씩 업그레이드의 효과를 즐기는 것, 그게 취미 아닌가요? 맹신과 무작정 따라하기는 지양해야하겠지만, 그렇다고 한정된 틀 안에만 머무르는 걸 고집하는 태도 역시 지향할 바는 아닐 겁니다. 정성스러운 영상 잘 봤습니다~~~~^^

좋은 디지털 케이블로 연결하면 음질이 좋아진다? 소소한음향이야기... 정확하게 말씀드릴게요

#음향컨설팅 #디지털오디오 #디지털케이블
디지털 케이블에 대해서 여러 가지 이야기가 있죠.
어떤 선을 사용해야 한다...
하지만 저는 계속 규격에 맞는 케이블을 사용 용도에 맞도록 사용하면 문제없다고 말씀드립니다. 그런데 카페를 통해서 질문이 올라왔습니다.
그리고 블라인드 테스트를 해보자는 건의도 올라왔습니다.
그래서 제가 영상으로 답변드립니다.

영상에서 제 생각을 말씀드립니다.

여러분의 자유로운 토론도 댓글 창에서 해 주시기 바랍니다.
제가 특별히 심각한 내용만 아니면 자유롭게 댓글을 놔두도록 하겠습니다.


▷ 리뷰 및 음향컨설팅 문의
previsions.kr@gmail.com

▷ 프리비젼스 구독자 카페
https://cafe.naver.com/previsions

▷ 교회음향엔지니어 카페 '하나님이 주신 소리'
https://cafe.naver.com/hajuso/
@bluemajesty7616 : 가성비로 시스템 구축했다가 케이블늪에 빠지신분들 보면 안타깝습니다 .. 하이앤드 소비자라면 뭐 돈이 많으니까 그런가보다 하면 되는데 일반적인 소비자는 가성비가 무너지면 안타까운겁니다 ..ㅋㅋ 나중에 케이블로 업글하려 하지 마시고 애초부터 시스템에 쓰시는게 현명합니다 .
@sjlee526 : 덕분에 카페 가입하여 질문던지신분의 글 모두 읽어 보았습니다. 질의 하신분 참 재밌네요..ㅎㅎ
평생 IT에서 종사한 전문가로서 교수님의 의견에 10000% 동의 합니다.
@ndmoon5399 : 정말 오디오계의 솔로몬이시라고 생각합니다.
궁금했던 부분이 교수님 영상 보면 명쾌하게 해결되서 이렇게 시원할 수가 없네요.
일반인들은 스펀지처럼 기준이 없이 아 이게 좋다네 ? 그렇구나 하고 지식의 기준없이 빨아들이는데
그 기준을 잘 잡도록 도와주시는 것 같습니다.
@timlee7995 : 예전 PCfi 하는 동호인들 사이에 HDD에 연결하는 SATA 케이블을 20만원짜리로 바꾸었더니 음질이 좋아졌다는 설이 퍼진적 있었죠.
그게 관련이 없다고 아무리 설명해도 "내가 직접 들어봤는데 확실히 달라진다" 는 신념을 가진 분들께,
도저히 논리적으로 설명이 안돼서 그냥 포기한적 있습니다.
지금도 그때 사건이 위키백과에 남아 있네요.

몇년전 SONY에서 저장하면 음질이 좋아지는 Micro SD 카드를 판매했습니다.
가격은 같은 용량에 다른 제품에 비해 4배 비쌌습니다.
아나로그 오디오에 있던 미신들을 디지털 오디오에도 그대로 적용하려고 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user-qt8bf6mj3w : 교수님 동영상을 보면서 나름 체계적인 오디오 개념을 잡게되어 매우 유익합니다.

ADAT? SPDIF? AES/EBU? 마법같은 디지털 케이블에 대해 알아보자!(Eng & Fr sub)

본 영상에서는 ADAT, SPDIF, AES/EBU와 같은 디지털 케이블들에 대한 설명을 해드립니다.
In this video, I will tell you about digital cable like ADAT, SPDIF, AES/EBU.

#디지털케이블 #digitalcable #adat #spdif #aes3
@etshe7738 : 항상 디지털 입출력이 궁금 했었는데
설명 정말 쉽게 잘 해주시네요. 감사합니다 :)
다만 더 궁금한게 있어 실례가 안된다면
여쭤보고 싶습니다만

첫번째로는 ADAT, S/pdif는 시스템 명칭이고
Coaxial과 Toslink는 케이블 규격이라고
이해하면 정확한건지 궁금합니다.

두번째로는 ADAT이나 S/Pdif를
상호 교차로 인,아웃을 서로 연결 시켜주면
마스터 클락을 원하는 장비로 셋팅
가능 하다 하셨는데, 출력을 해주는 장비에는
워드 클락 단자가 있고, 입력을 받는 장비에
워드 클락 단자가 없을 경우에도
상호 교차 연결만 해주면 컨버젼도
워드 클락 단자가 없는 입력을 받는 장비의
컨버젼을 사용할 수 있는건지 궁금 합니다 :)

어디선가 보았는데 입력을 받는 장비에
워드 클락 단자가 없으면 출력을 해주는 장비의
컨버젼으로만 사용 가능 하다는 이야기를 봐서요!
@user-wz8ps8gs4f : 안녕하세요! 좋은 영상 설명 감사히 잘 봤습니다!
궁금한게 있어서 여쭤보려는데요!

옵티컬 단자에 대해 설명해주실때 서로 다른 오인페를 연결해서 사용하셨는데
옵티컬 인아웃풋만 있다면 오인페에 브랜드나 드라이버 상관 없이 단순 프리앰프 용도로 연결이 가능한건가요??
@dhoonygo : 디지털 기기를 딱 두 개만 쓰는 상황이라면 지터노이즈 걱정은 안해도 될까요? 어차피 슬레이브가 하나 밖에 없으니까 둘 사이에는 100% 동기화가 되겠죠? 그러면 두 기기의 클럭 성능 차이가 나더라도 누구꺼 클락을 쓰든지 간에(누굴 마스터로 정하든지 간에) 같은 타이밍으로 디지털 정보를 DAC에 쏴줄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user-te1gp3ph7t : 안녕하세요?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질문이 있어서 여쭤봅니다.
5:25 부분에 저런 상황에서 녹음을 할 경우 아폴로, 베페중에 어느 프리에 영향을 받게 될까요?
@CeeDKravitz : 영상 잘 봤습니다! 좀 이해가 되는 것 같네요. 혹시 한가지만 여쭤도 될까요? 현재 Perpetual p1a, p3a를 쓰고있는데 p1a에서 I2S, Coaxial, AES/EBU, USB Class B 4 가지를 받고 있습니다. 현재 Laptop OUT -> P1A IN으로 연결하려고 하는데 어떤 케이블(컨버터) 혹은 어떤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구해야되는지 모르겠네요. USB를 쓰면 제일 좋겠습니다만, 현재 제조사가 망해서 드라이버를 구할 수가 없네요. 생각중인 것은 3.5mm to XLR male 케이블 인데요, 지금 영상을 보니 AES3와 XLR은 다르다고 하는 것 같아서 사봐야 동작하지 않는 것 같은 불길한 예감이 드는데, 혹시 추천해주실만한 연결 방식이 있을까요?

... 

#디지털 케이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3,704건 447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www.uljinpension.kr. All rights reserved.  연락처 : cs@ep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