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학생을위한개별화행동지원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라이온스 조회 13회 작성일 2023-08-01 07:53:02 댓글 0

본문

03 [온맘+초·중·고 장애학생] 행동지원

행동이해
사회적 규칙
사춘기
학교폭력

[우성시 #3] 장애학생의 폭력행동을 지원하는 방법

최근 특수학교에서의 폭력행동이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장애학생의 공격행동, 자해행동 등 폭력행동을 지원하는 방법에 대하여 이야기 해 봤습니다.
@user-gv7yc9gf7y : 영상에 나오는 학생의 이름은 가명임을 알려드립니다. 궁금하신 사항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pave2986 : 이야기 내용은 좋지만... 이론과 실제는 너무나도 다른 거 같네요 :)
그래도 잘 들었습니다~
@user-wj2ug5qn2s : 안녕하세요. 궁금한게 있어서 글남겨요.
저는 공격성이 심한 자페아이를 돌보고
있는데요. 방법을 몰라 공격을 할 경우 강하게
제압한 뒤에 몇초있으면 잠잠해져서 다시 아무
렇지 않게 생활하곤 합니다. 대화가 불가능하지만
본인이 마음에 안드는경우 자해 또는 공격성을
지니고 있어 약을 먹어야만 공격성이 조금
잦아들기는 해요. 하지만 여전히 공격성이
있어서 고민입니다. 화장실이 급하면 바지를
내린다거나 하고 싶은것이 있으면 무언가를
가져가서 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이렇게 공격성이 있는 자페아이의 경우
어떤 대처가 올바른지 궁금합니다.
@Mint_chocolate900 : 안녕하세요 저희아이가 공격적인 성향이 조금 있는데 상대방이 즐겁게 해준다거나 신나면 때리는 경향이 있는데 가정에서 그럴땐 어떻게 대처해야하나요?
아이가 언어는 아직 되지 않고 말은 알아 들어요
@user-pu2dm8sk5s : 선생님 영상 잘봤습니다 책제목이 안보여서 책제목 알고싶어요
그리고 구입하고싶은데 어떻게 할수있나요

2021. 02. 18 체벌 대신 과학적 지도‥장애학생 돕는 '행동중재' 도입

http://home.ebs.co.kr/ebsnews/menu2/newsVodView/evening/20455063/H?eduNewsYn=

특수교육대상 학생을 학대하는 사건이 잇따라 사회적 공분을 사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특히 장애 학생들에게는 체벌 대신 과학적인 생활지도가 필요하다는 요구가 높은데, 서울시교육청이 관련 대책을 내놨습니다.

서진석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자폐성 장애를 가진 윤호 군.

의사소통이 안 될 때면 때때로 가정과 학교에서 자해를 하거나 교사를 공격하는, 이른바 '도전 행동'을 보입니다.

어머니 남연 씨는 전문 학원까지 다녀가며 양육 방법을 배우고 있지만, 혼자 힘으론 아들을 통제하기 역부족입니다.

인터뷰: 김남연 / 자폐성장애학생 학부모
"(훈육이) 아무 소용이 없는 거예요. 교육을 받는데 두 시간씩 받거든요. 그게 한 달에 비용이 50만 원 정도. (도전행동에 대한) 전문지식이 선생님들이 굉장히 부족하시다는 걸 알게 된 거예요."

장애학생이 적절한 의사소통이나 행동 통제에 어려움을 겪을 때, 도움을 주는 행동중재전문관제가 서울에서 처음으로 도입됩니다.

최대 6명의 전문가들이 학생의 행동과 감각을 분석하고, 상담과 정신과 진료를 제공하는 등, 과학적으로 문제 사례에 대처하는 겁니다.

여기에 주 1회 이상 전문가들이 가정을 직접 찾아 장애학생의 생활환경뿐만 아니라, 심리적 배경까지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행동을 중재합니다.

인터뷰: 홍주희 박사 / 서울시교육청 행동중재전문관
"(과거엔) 체벌을 한다거나 이런 식으로 비윤리적인 접근을 했었는데 예방을 하기 위해서는 그 행동이 왜 나타나는지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거든요. 그 행동을 안 하도록 주변 환경을 조정해줄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일상생활에 더 많이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서울시교육청은 우선 도움이 시급한 장애학생 10명을 선별해 오는 4월부터 1년간 지원할 계획입니다.

예산과 인력이 확보되면, 특수학급 학생 10명을 추가로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인터뷰: 정순경 대표 / 전국특수학교학부모협의회
"학생에 대한 이런 문제에 대해서 본인(교사)이 어떻게 한다는 걸, 옛날 방식을 전환하면 학교 현장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조금 더 보편적으로 파급될 거라고 봐요. 저는 전국적으로 확대돼야 된다고 보거든요."

부산과 울산 등 지역 교육청들도 문제행동중재지원팀을 꾸려 학생들을 돕고 있지만, 단기 지원에 그치는 상황.

학교 현장에선 무분별한 체벌 대신 장애학생의 특수성을 고려한 전문적 지원이 더 필요하다는 요구가 나옵니다.

EBS뉴스 서진석입니다.
@dan0944 : 장애인도 본인동의 필수로 받아야하고 본인이 하루하루 스타일까지 부족한점 찾는것은 무리가 있는듯 합니다.

... 

#장애학생을위한개별화행동지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3,704건 439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www.uljinpension.kr. All rights reserved.  연락처 : cs@ep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