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렁쇠의유래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인테크 조회 18회 작성일 2023-08-06 20:01:49 댓글 0

본문

1988 서울올림픽 개회식 속, 굴렁쇠 소년의 비밀

#대한민국_스포츠_역사! #국립체육박물관

1988 서울올림픽이 올해 34주년을 맞이하여
국립체육박물관에서는 이를 기념하기 위해
올림픽이 개최됐던 9월17일~10월2일까지
다양한 콘텐츠 이야기 하고 있는데요!

오늘은 화려한 개회식의 적막을 깨고 등장한
굴렁쇠소년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고자 합니다!

국립체육박물관 SNS채널에서는
더욱 다양한 이야기를 만나보실 수 있답니다!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national.sports.museum/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SportsMuseum


#국립체육박물관 #팔로우 #필수
@bluetopaz168 : 굴렁쇠 소년에게 많은 의미가 담겨있었네요. 근데 굴렁쇠소년 진짜 떨렸을듯해요~
@user-qt6xp6pv9f : 그때가 그립네요^^
@medicv0 : 별 대수롭지 않게 여겼는데 굴렁쇠소년에 내포된 의미가 많네요
@AliceCloset : 굴렁쇠 소년에게 그런 뜻이 있었군요
@user-gu7kn3np4y : 그 때 그 굴렁쇠를 굴렸던 소년은 성인이 되었겠죠?
그리고 현재 어디서 뭘 하시고 있을까요?

[HIT] 이어령의 100년 서재 - ‘아이들이 뛰노는’ 평화로운 땅으로 기억하기를 바라며 1분의 미학. 20151024

‘아이들이 뛰노는’ 평화로운 땅으로 기억하기를 바라며 1분의 미학
@utopro : 이어령 선생이야말로 한국의 가치를 세련되게 발굴해 고양시켜 오늘날 세계적으로 보편화하게 한 시작점을 만드신 분으로 그 자체로 위대한 문화인문학자시다.
@espark4647 : 이번 일본과 중국의 질 떨어지는 요란복잡한 자국홍보 개막식을 보다가
지금 이 영상을 보니 참 우리나라의 문화수준이 당시에도 얼마나 뛰어나고
국가의 격이 얼마나 높았는지 새삼 눈물나게 느껴지고 자긍심이 드네요

살아오며 수많은 개막식을 봐왔지만 선명하게 기억에 남는 건
그때의 그 경기장을 가로 지르는 아이의 굴렁쇠 뿐이네요
@user-cm6dy1ob2v : 이어령, 80년 생각~을 읽다 굴렁쇠소년이야기가 나와 다시 찾아보았네요.
다시 보아도 헉!하게 만드는 기막힌 연출과 기획입니다...
@user-ye7pn3gt9c : 선생님 안녕히 가세요 고인의 명복을빕니다-
@yj.designer : 이게 어떻게 30년 전에 가능한 퍼포먼스인가요. 볼때마다 이상하게 눈물이납니다.

(굴렁쇠) 88 서울 올림픽으로 유명해진 놀이 / Korean Games

본 영상은 저작권 보호를 받는 저작물로 저작권자의 허락없이 어떠한 형태로도 복제하거나 재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놀이의 유래를 찾기가 어려우나 옛날 사람들이 사용하던 술통이나 곡식 통의 테를 이용하여 놀면서 시작되었다고 보여진다.
처음에는 통에 감았던 테의 재질이 나무 테(대나무나 굵은 칡 등)였으나 후에 쇠를 이용한 쇠테가 쓰였으며 이 쇠테가 이용되면서 본격적으로 놀이화되었고 자전거나 리어커, 드럼통이 들어오고 그 바퀴나 드럼통의 테를 자르거나 굵은 철사를 이용하여 놀이도구를 만들면서 빠르게 퍼져 나갔는데 일반화된 것은 1970~1980년대에 조사된 민속종합보고서에 전혀 언급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보아 그리 오래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 

#굴렁쇠의유래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3,704건 435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www.uljinpension.kr. All rights reserved.  연락처 : cs@ep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