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호랑이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마약떡볶이 조회 6회 작성일 2023-11-26 13:03:54 댓글 0

본문

[다큐온] 민족의 상징 호랑이! 100년 사이 한국 호랑이에게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 | "호랑이는 살아있다" (KBS 20220729 방송)

다큐ON (토요일 밤 11시 40분 KBS 1TV)
“호랑이는 살아있다” (2022년 7월 29일 방송)

‘단군신화부터 호돌이와 수호랑까지-’ ‘호환(虎患)’ 때로는 공포의 대상이었고 ‘좌청룡 우백호’ 나쁜 기운을 막아주는 수호신이기도 했던 우리 민족의 상징 호랑이.
그런데... 한반도에서 발견된 야생호랑이의 공식 기록은 1924년이 마지막이다.
100년 사이 한국 호랑이에겐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

▶ 그 많던 호랑이는 어디로 간 걸까?
한때 한반도는 호랑이 천지였다. 삼국시대와 고려시대는 물론이고 [조선왕조실록] 에는 무려 600건 이상 호랑이에 관한 기록이 새겨져 있다. 한반도에서 야생 호랑이의 명맥이 끊어진 것은 하루아침 벌어진 일이 아니었다.
호랑이 피해가 많아지자, 조선시대에는 ‘착호갑사’라는 호랑이 잡는 군대를 편성했고 성종 때는 병사 수가 440명에 이르렀다. 점차 호랑이를 잡는 ‘포호 정책’이 체계화되면서, 호랑이는 신분 상승이나 일확천금의 기회로 여겨지기도 했다.
전라남도 목포시 한 초등학교의 복도를 113년째 지키고 있는 호랑이 ‘호순’. 그에겐 한국 호랑이의 수난사가 그대로 박제되어 있다. 일제강점기, 맹수로부터 사람을 보호한다는 명목으로 진행했던 ‘해수 구제 사업’. 헌병과 경찰을 동원해 호랑이를 잡고, 민간인의 사냥도 적극 장려했다. 무차별적으로 겨누어지는 총구 앞에서, 호랑이들은 속수무책 최후를 맞을 수밖에 없었다. 호순이가 유달초등학교에 오게 된 것도 바로 이 무렵이었다.

▶ 호랑이와의 공존을 꿈꾸는 사람들
호랑이가 살지 않는 호랑이의 나라. 하지만 언젠가 돌아올 호랑이를 기다리며, 나름의 터전을 준비하는 이들도 있다.
30여 년 호랑이의 뒤를 따라 다니며, 야생 속 호랑이의 모습을 만 시간 가량 촬영한 다큐멘터리스트 박수용 감독. 러시아와 연해주 접경지역에 살고 있는 한국호랑이를 직접 마주하기도 했던 그의 카메라 렌즈를 통해, 남한에서 볼 수 없었던 한국호랑이의 실제 모습을 전해주었다.
경상북도 봉화군에는 호랑이의 야생성을 최대한 보전할 수 있도록 조성된 호랑이 숲이 있다. 이곳에 사는 여섯 마리의 호랑이는 동물원에서 나고 자랐지만 한국호랑이의 유전자를 지니고 있는 아이들이다. 그중 한국야생호랑이의 습성과 외모를 유독 보여주는 ‘태범과 무궁’ 남매는 아이돌급 인기를 누린다. 서울에서 봉화까지 왕복 10시간이 넘는 천리길을 마다않고 주말마다 찾아오는 찐팬들이 있을 정도다.

▶ 세계최초! 호랑이 게놈지도를 완성한 한국 과학자들
2013년, 우리나라는 호랑이 ‘종주국’이라는 타이틀을 얻었다. 우리나라 게놈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호랑이 표준 ‘게놈 지도’를 밝혀낸 것이다. 그동안 경험과 구전으로 전해오던 호랑이의 습성이 DNA를 통해 그 기원이 밝혀진 것이다 . 이 연구는 전 세계 200여 개의 논문에 인용되었고, 결국 한국 호랑이가 세계 큰 고양잇과 동물 유전자의 표준이 된 셈이다.
우리나라만큼 호랑이에 관한 문화와 역사가 다양한 나라도 또 있을까. 호랑이 이야기가 풍부하다 하여, ‘호담국’이라 불리었을 정도니 말이다. 하지만 정작 우리는 호랑이를 진정으로 귀하게 여긴 적이 있었는지 돌이켜 본다.

▶ 한국 호랑이는 사라지지 않았다
야생에서 살아가는 한국 호랑이는 ‘멸종’이 아닌 ‘절멸’이라는 표현을 쓴다. 지구상에서 완전히 사라진 것이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만 종적을 감췄기 때문이다. 현재 한국 호랑이와 같은 종의 호랑이 500여 마리가 러시아와 중국, 북한의 접경 지역에서 살고 있다.
우리는 스스로 호랑이의 민족이라 자부하면서, 멸종해 가는 호랑이에 대해 관심을 가져본 적은 있었을까?
매년 7월 29일은 WWF(세계자연보호기금)에서 정한 국제호랑이의 날이다. 멸종 위기를 맞은 호랑이 보전과 서식지의 중요성을 알리는 날, 현실적인 호랑이와의 공존을 생각하고 준비할 방향에 대해 모색해 본다.

#호랑이 #수호신 #호랑이게놈지도

※ [다큐ON] 인기 영상 보기
코시국★에 세계 최대 크기 선박 12척 모두 만선 기록한 대한민국 클라스!

한진해운 파산이 가져온 한국 해운업의 몰락과 냉혹한 현실

조선업 위기를 풍력 에너지 발전의 기회로 삼은 대한민국의 ★POWER★

녹조류와 땅이 주는 선물, 신재생에너지 건물

K-수소에너지 산업이 이끄는 세계 에너지의 미래

@jennyohnj : 에버랜드에 있는 엄마 호랑이 건곤이는 정말 이쁘고 우와하고 똑똑한 엄마 호랑이입니다.아빠 호랑이 태호와의 사이에서 태범이와 무궁이 남매를 귀엽고 이쁘게 낳아서 자연포유를 해서 건강하게 길러 지금 백두대간에서 잘 지내고 있고 오둥이를 낳아서 자연포유를 해서 태범이, 무궁이처럼 이쁘고 귀엽게 잘 기르고 있습니다. 건곤이를 보면서 정말 호랑이가 이렇게 사랑스러운 동물이구나라는 생각을 합니다. 이제는 한국호랑이를 보전해야 합니다. 중국과 러시아에 3백마리쯤 남아있다고 합니다. 멸종위기에 놓여있습니다. 호랑이는 맹수 이전에 정말 휼륭한 동물이며 보전해야할 가치가 있는 동물입니다.
@user-el8nb9ig9g : 백두대간 촬영 소식을 듣고 오매불망 기다렸는데 드뎌❤❤❤ 호랑이들 특히 울 태범이와 무궁이 잘 찍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른 곳의 호랑이들도 편안한 호생으로 살아갈수 있기를 바랍니다. ❤❤❤
@chaobori9986 : 한청,우리,한,도,범궁남매 모두 건강하게 잘 자라주었음 하는 간절한 맘입니다.
게놈지도의 기준이 된 나라라니
아직 연구하시고 힘써 주시는 분들이 계셔서 얼마나 안심이고 감사한지요.
많은 사람들이 동물과 공존할 수 있는 관심을 가질수 있도록 이런 프로그램 만들어 주신것도 감사합니다!!!
@ftgpswomar4h5y : 본방 사수하며 산군들의 수난사에 가슴이 먹먹했었습니다..호랑이 유튜브에서 정보를 얻어 다시 보려고 kbs 다큐 구독,알람을 했었답니다. 산군들의 호생 그 삶에 담긴 애환의 스토리 다시 또 잘 보았습니다.
호랑이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 준 kbs1의
호랑이는 살아있다 다큐 정말정말 좋았습니다.
백두의 한청여사,우리,한,도 막내 버미와 꿍이
여섯 산군들을 위해 애 쓰시는 사육사님들께도 진심 감사를 전합니디.

다음에는 지방동물원 호랑이방사장의 환경,
그 실태에 대한 다큐를 한번 만들어 주셨음 부탁을 한번 드려봅니다....

호랑이에 대해 관심과 애정이 많은 일인으로서 이번 영상을 만들어 주셔서 깊은 감사를 드리며 많은 분들이 다시금 호랑이를 이해하는 계기가 되었음 소망하며 온 마음으로 시청하였습니다.

호랑이유튜브 영미님 반갑습니다.
꼬리의 저자 박수용님 책을 읽고 감동받고
그 여운을 가슴에 품고 산군들에 더 깊은 애정을 가지고 응원하고 있습니다.

연구진들의 노력으로 호랑이들의 정체성을 알아낼 수 있는 게놈지도를 완성하셔서 호랑이들의 유전자 해독, 다양한 정보를 알아 낼 수 있어 세계에서
호랑이 게놈 지도를 통해 종주국으로 우뚝 서게 되어 그 노고에 박수를 보냅니다.
앞으로도~호랑이 영상으로 산군들에 대해
더 많은 세상 분들이 관심을 가지도록 계속
애 써 주십시요.
태범이,무궁이 백두에서 날아오르다~!!!!!!!
한국호랑이 그들의 호생을 항상 응원하고 있겠습니다~!!!!
@FunLifeTogether : 2:17 박제란 느낌이 안나고 진짜 살아 숨쉬는 모습같아요! 호랑이는 언제나 봐도 경이로운 존재인데.. 한국 호랑이 복원에 노력하시는 모든 분들께 감사드려요!

유일하게 한국호랑이와 표범이 사는 곳으로 직접 촬영하러 가봤다. 한반도 생태계의 가장 중요한 조절자였던 호랑이|한국 호랑이 러시아 현지 촬영| #골라듄다큐

※ 이 영상은 2022년 9월 19일에 방송된 <다큐프라임 - 범의 땅>의 일부입니다.

우리 조상들과 범 사이에 얽힌 다양한 이야기를 통해 우리 민족에게 범이란 어떤 존재였는지를 살펴본다. 또한, 현재 지구상에서 ‘한국호랑이’와 ‘한국표범’이 유일하게 서식하는 러시아 극동지역의 현지촬영으로 범의 생생한 모습과 생태를 보여준다..

범이 사라진 현재 한반도 자연생태계의 모습을 알아본다. 한반도 야생동물상의 가장 큰 특징은 종 다양성은 심각하게 떨어지는 반면에 일부 종의 개체 수는 지나치게 많다는 점이다. 우리 자연생태계가 이렇게 심각하게 왜곡된 이유는 한반도생태계의 가장 중요한 조절자였던 범이 사라진 데서 찾을 수 있다. 한반도 나아가서 동아시아 자연생태계에서의 범의 중요성을 알아보고 한반도에서의 범의 복원 가능성까지를 살펴본다.

✔ 프로그램명 : 다큐프라임 - 범의 땅
✔ 방송 일자 : 2022.09.19

#골라듄다큐 #다큐프라임 #범 #호랑이 #호랑이멸종 #러시아 #표범 #생태계 #포식자
@umr6727 : 현재 한반도의 여러 지리적 특성들을 고려해 보면 설사 한반도 내에 호랑이와 표범 보호구역을 만든다 해도 기껏해야 머나먼 미래에 남한 주도의 한반도 통일이 이루어진 직후 개마고원과 백두산 일대 정도가 한계일 거에요.
@user-qv6rq5fr2h : 제 생각으로는 통일도면 현재 비무장 지역을 일부 펜스를 점검하여 호랑이 지역을 만들어 놓으면 되지요. 야생 멧돼지 정도만 그곳에 방사하면 어는 정도는 야생 상태로 살수 있습니다. 개체수가 많아지면 연해주로 방사하면 되고. 그곳은 사람이 없으니 개체수가 조금 늘어도 문제가 안되고. 먹이가 되는 야생 멧돼지가 충분하면 호랑이 영역도 넓어지지는 않을겁니다.
@user-hs3be2vd6d : gop 철책에서 눈에 지나간지 5분도 안된듯한 선명한 호랑이 발자국을 보았습니다
해발 900미터 이상인 곳이라 고양이과 발자국이 제 주먹보다 크다면 호랑이 밖에 없습니다
초소에서 키우던 개도 없는것은 물론이고 제 주먹이 쏙 들어갈 만큼 큰 고양이과 발자국...
표범은 아닌것 같고요 표범이면 제 주먹과 비슷했거나 작았을 겁니다
호랑이 멸종된거 아닌걸 저는 알고 있습니다~
@user-zh2vy5ee7b : 호랑이가 지배하는 세상에 인간이 나타나서 시멘트 세상이 되었군요.
@kyj3196 : 저게 백두산 호랑이입니다!!
잘모르시는 분들이 있는것 같아요
우리나라는 진작에 멸종이 됐구요
백두산 접경지역이나 러시아에 서식하는 호랑이가 과거 우리나라에 살았던 백두산 호랑이와 종이 같은 개체입니다

호랑이가 한반도로 돌아오고 있다?? 새로운 영역이 필요한 고독한 호랑이들 | 자연다큐멘터리 귀환 - 1부 호랑이의 귀환 #다큐멘터리

지구상의 야생동물 중 가장 만나기 어렵고, 강한 존재인 ‘호랑이’

호랑이는 영역을 공유하지 않는 고독한 습성 때문에, 개체 수가 늘게 되면 새로운 영역이 필요하는데요.
그렇다면 호랑이는 한반도로도 돌아올까요?

'귀환 1부'에서는
한반도를 떠났던 호랑이와 표범이 다시 한반도로 돌아오고 있는 내용을 담았습니다.

EBS 다큐프라임 – '자연다큐멘터리 귀환 1부. 호랑이의 귀환' 풀 버전 보기
https://ebsstory.info/3ZpsFBY

✔EBS 다큐프라임
https://docuprime.ebs.co.kr/docuprime/index

#자연다큐멘터리 #호랑이 #한반도 #표범 #야생동물 #동물 #동물다큐 #동물다큐멘터리 #맹수 #러시아 #다큐멘터리 #다큐프라임 #다큐 #ebs
@doyungu653 : 오면 등산은 끝이다
@user-vn5ms3vi8s : 고대부터 호랑이 가죽은 왕실에서 무조건 구입해줬고 호랑이 가죽 하나면 집한채값과 맞먹기 때문에 우리나라에는 전통적으로 호랑이 사냥꾼들이 많았죠. 그리고 호랑이 사냥꾼들은 원시적인 소총으로는 단 한발에 호랑이를 명중시켜야 했기에 명사수로 유명했고 그래서 우리나라의 호랑이 사냥꾼들이 나선정벌부터 신미양요까지 군대대신 활약한 것으로 유명합니다. 사냥꾼은 맹수를 단 한발에 명중시키지 못하면 자신의 목숨이 위험하기 때문에 명사수가 될 수 밖에 없었고 그래서 군대에도 소집되서 많이 싸우고 희생되어 왔죠.
@hoebakgoguma : 동물원이 아닌곳의 호랑이가 사실 당연한건데 오히려 신기함...
@THEHORSFIELDII : 한반도로 와도 비무장지대의 철책선과 방치되어 어딧는지 알 수 없는 수많은 지뢰를 생각하면 남한너머까지 오기에는 힘들거라 생각합니다. 바다를 헤엄쳐서도 올 수 있겠지만요. 건너와도 산에는 넘쳐나는 사람이 도로에는 자동차 넘치니 힘들겠네요
@keihoito1881 : 와 근데 진짜 개 멋있다
동물중에서 제일 멋진것 같아

... 

#한국호랑이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3,704건 396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www.uljinpension.kr. All rights reserved.  연락처 : cs@ep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