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계동고시원
페이지 정보
본문
[경제기자M] 고시원이 달라졌다 [MBN 뉴스7]
【 앵커멘트 】
경제뉴스를 쉽고, 재밌게, 그리고 알차게 전해 드립니다. 경제기자M, 배준우입니다.
오늘 키워드는 '고시원이 달라졌다' 입니다.
고시원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는 이런 걸 겁니다.
시설은 낡았고 책상 하나 놓고 겨우 한 사람 정도 누울 수 있는 두 평 남짓한 공간.
하지만 요즘 고시원은 느낌이 좀 달라지고 있다고 합니다.
직접 찾아가봤습니다.
--vcr
서울 노량진동.
공무원과 경찰, 각종 전문직 학원으로 건물이 꽉 차 있습니다.
고시텔, 원룸텔 등 이름은 다양해졌지만 고시원은 시험을 준비하는 고시생들에게는 여전히 생활비도 아끼고 시험에 집중할 수 있는 공간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 인터뷰 : 경찰준비생
- "고시원에서 살고 있거든요. (방세는) 48만 원 한 달에. 일단 보증금을 안 내니까 부담이 덜 한 거 같고. 수도료, 전기료 이런 게 안 나가니까 신경 쓸 게 많이 없어서 편한 느낌."
그중에서도 유독 눈에 띄는 프리미엄이란 문구.
시설을 새로 리모델링해 고급화한 고시원들인데, 한 곳에 들어가 봤습니다.
화장실이 있는 방은 58만 원, 화장실이 없는 방은 45만 원으로 저렴한 고시원보다 많게는 30만 원 가까이 비싸지만 찾는 사람이 많습니다.
▶ 인터뷰 : 고시원장
- "오픈한 지 3주가 좀 지났거든요 한 달 정도. 계약은 3분의 2 정도 됐고."
최근엔 잇따른 전세사기가 언론에 보도되고 세입자들의 불안감이 커지다 보니, 고시원 수요가 더 늘었습니다.
고시 공부가 아닌 주거 공간으로서, 목돈이 필요 없는 역세권 고시원을 찾는 사회초년생들이 많아졌습니다.
▶ 인터뷰 : 고시원장
- "직장인분들이 4분의 3 정도 되는 거 같고 노량진 옆이니까 공시생들이 나머지 차지하는 거 같아요. 직장초년생들이 부모님 손 안 벌리고 독립하면서 목돈이 없으니까."
------
고시원들의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공무원 선발 숫자가 줄고 선호도 예전 같지 않다 보니 고시생이 줄고 있고, 그만큼 고시원들도 입실자 모시기 경쟁에 나서는 겁니다.
고급스럽고 시설이 깨끗하지 않으면 입실자를 구하기 어려워졌습니다.
▶ 인터뷰(☎) : 고시원장
- "리모델링하는데 손만 댔다 하면은 전부 인건비, 자재값. 그렇게 했는데도 잘되면 좋은데 안돼. 전부 너도나도 다 프리미엄이라 가지고."
▶ 인터뷰 : 부동산 관계자
- "구축은 인기가 없어. 프리미엄 고시원으로 거의 다 리뉴얼 하더라고요. 25만 원 받았던 거를 지금은 크게 받고 크게 만들고."
-----
서울시 조사 결과, 고시원에 사는 사람들의 월평균 소득은 137만 원, 평균 월세는 33.5만 원이었습니다.
2020년 조사라, 프리미엄 고시원들이 많아진 지금은 월세가 더 비쌀 것으로 보이는데요.
월세 부담이 커지자 정부는 반전세 대출 요건을 완화하고, 월 20만 원의 청년 월세 지원을 연장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고시원에서 생활하는 젊은 청년들과 사회 초년생들에게는 그나마 도움이 되겠죠.
시대가 달라지고, 고시원도 아파트처럼 차별화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지만, 월세 부담이 갈수록 커진다는 점에서 고시원 주거에 대한 고민도 필요해보입니다.
지금까지 경제기자M이었습니다.
[ 배준우 기자 / wook21@mbn.co.kr ]
영상취재 : 김현우 기자
영상편집 : 송지영
그래픽 : 이지연
☞ MBN 유튜브 구독하기 ☞ https://goo.gl/6ZsJGT
MBN 유튜브 커뮤니티 https://www.youtube.com/user/mbn/community?disable_polymer=1
MBN 페이스북 http://www.facebook.com/mbntv
MBN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mbn_news/
@tweety0878 : 편리성 넓은 공간 다 필요하고 좋지만
어떤 집이든 지을 때
방음시설 1순위로 좀 생각해서
만들었으면
@ljs6739 : 그만큼 가격이 올랐어요 원래 창있는 살만한 곳이 40만원대였는데 70만원 이상 받더라고요. 오히려 빌라촌 원룸이 더 저렴해졌습니다.
@musictopia6409 : 정부에서 일인 주택을 많이 지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방 하나 욕실 주방을 최소한의 크기로 만들어서 제공 하면 국민들에게 도움이 되리라 본다
@55tani : 이번에 고시텔 알아 보니 확실히 추세가 변했음
급하게 직장을 옮기게 됐는데, 살던 집이 안 나가고 있어서 보증금이 묶이는 바람에 급한대로 서울 고시텔을 알아 봤음
예전에 고시원부터 시작해서, 고시텔(원룸텔)류 9곳 정도 살았었는데, 다시는 안 살겠다는 다짐이었는데 또 다시;;
각설하고 이번에 느낀 게 저렴한 고시원은 오히려 방이 남고, 돈도 안 되는데 고객 수준도 떨어져서 관리가 힘듦.
근데, 예를 들어 S급 고시텔은 70~90이고 무려(?) 개인 건조기까지 있음
근데 방이 없음. 비싸도 깔끔하고 좋은 걸 선호하는 추세임.
중고가 50~70 사이 고시텔 들어가기 겁나 힘듦
40 미만 고시텔은 대부분 방이 있음
예전엔 싼 곳 살다가 돈 모아서 원룸/투룸 가는 게 루트였는데, 요즘은 무조건 비싸도 시설 좋은 걸 선호하는 추세임
그래서 구닥다리 고시원들이 리모델링 하고 있음
@user-rx3zq9ro6c : 가장 좋은 메리트는 보증금 없고 계약기간 없는 큰 장점이죠
단점이라하면 다는 안 그래도
고시원 옆방 소음이 가장 불편함이죠
회기역 고시원, 월 33만원에 회기역까지 10초만에?!? | 고시원 브이로그 생존기 | 오투원룸텔 | 독립생활
1인 주거공간이 필요할 때 가장 먼저찾는 서비스, 독립생활
https://dokliplife.co.kr
독립생활은:
독립생활로 결제시 입실료 10.5% 적립! 10달 결제하시고 한달은 공짜로 자취하세요!
비대면 룸투어와 계약 / 결제 / 민원해결을 도와드립니다
좋은 방인지 안좋은 방인지 7가지 체크리스트로 선별합니다.
✅ 네이버에 "독립생활" 검색시 바로 입주가능한 무보증/단기 주거공간이 나와요!
✅ 초보자취러 + 프로독립러들과 실시간 소통하기 : https://open.kakao.com/o/gAfPke4e
️ 독립생활 방 문의 : https://05125.channel.io
구독하기
https://www.youtube.com/@dokliplife
SNS 팔로우하기
https://www.instagram.com/dokliplife
https://www.tiktok.com/@dokliplife
https://www.facebook.com/dokliplife
https://www.twitter.com/dokliplife_kor
#고시원 #원룸텔 #사회초년생 #한달살기
@kang7004 : 와... 역세권 30만원방에 개별화장실에 창문!!!! 좋네요. 20년 전에 30만원짜리 고시원에서 살았는데, 고시원비는 많이 안 오른 듯
@user-ye6vk1je3t : 와~대박2007년 서울생활 청담동고시원 가격임~~굿♡♡
@user-so5op4zv7r : 합리적인 가격에 좋네요
@Young-wb6dh : 뷰가 아주 시원하네요
@hjkg544 : 외국어도 가능하군요!
외국어 자막도 지원되면 좋겠네요
자동번역은 어색하더라고요.
[민생연구소] 서울 상경기! ‘고시원’에 자리 잡은 청년들, 실제 생활은?
주거빈곤에 시달리는 2030 청년들의 현실을 담은 신조어 ‘지옥고’. 우리나라 최저주거기준에 못 미치는 가구는 111만, 청년의 비율은 33.1%에 이른다.
관악구, 서대문구, 영등포구 등 서울 도심 곳곳의 고시원에서 살고 있는 청년들은 어떻게 생활하고 있을까? 신림 고시원에서 7㎡ (2.2평), 외창형, 공용 화장실을 사용하며 월 26만 원을 내고 있는 고근형 씨. 청소, 밥, 민원 관리를 하면서 월 50만 원을 받는 고시원 총무 이은주 씨 등! 실제 고시원에서 생활한 청년들의 삶을 공개한다.
#지옥고 #최저주거기준 #고시원 #서울상경기
----------------------------------------------
▶TBS 유튜브 구독 http://j.mp/MyLoveTBS
▶TBS 페이스북 https://facebook.com/mylovetbs
▶TBS 카카오스토리 https://story.kakao.com/ch/seoultbs
▶TBS 인스타그램 https://instagram.com/seoultbstv
▶TBS 트위터 https://twitter.com/seoultbstv
▶TBS 홈페이지 http://tbs.seoul.kr/
▶TBS 유튜브 커뮤니티 http://bit.ly/2EaWnQp
@Song_Word : 저렇게 열악하게 살면서, 어떻게든 취직을 해서, 쎄빠지게 돈을 모아도, 평생 자기 집 한 채 가질 수 없다는 게 얼마나 절망인지...
@Haru_Angku : 아... 대한민국 청년들 힘내세요ㅠ 저런곳이서 열심히 준비 하시네요ㅠ 참... 서른중반에 취업한지는 좀 오래됐지만 지방에서 적당한직장에 연봉5000정도인데 나는 참 불행하다고 생각했는데 그래도 집세 안나가고 살고있는거 감사하게 생각해야겠네요ㅠ
@user-jt6uv6eh3s : 우리 근형이 ㅠㅠㅠㅠ 중학교때 진 짜 최고의 엘리트였고 진짜 학생 인권을 위해 노력하던 찬구였는데 ㅠㅠ 대기만성이라고 누가봐도 잘될 친구입니다!! 화이팅!!!
@brotherbig1030 : 나도 20대때 저렇게 살았지만, 10년후의 세대도 저렇게 살게 되는걸보니, 내 자식세대도 저렇게 살게될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user-br6vm1kx8q : 서울중심의발전이 너무 문제이다 ㅠ. 지방지역경제가 골고루 성장했으면좋겠다.
【 앵커멘트 】
경제뉴스를 쉽고, 재밌게, 그리고 알차게 전해 드립니다. 경제기자M, 배준우입니다.
오늘 키워드는 '고시원이 달라졌다' 입니다.
고시원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는 이런 걸 겁니다.
시설은 낡았고 책상 하나 놓고 겨우 한 사람 정도 누울 수 있는 두 평 남짓한 공간.
하지만 요즘 고시원은 느낌이 좀 달라지고 있다고 합니다.
직접 찾아가봤습니다.
--vcr
서울 노량진동.
공무원과 경찰, 각종 전문직 학원으로 건물이 꽉 차 있습니다.
고시텔, 원룸텔 등 이름은 다양해졌지만 고시원은 시험을 준비하는 고시생들에게는 여전히 생활비도 아끼고 시험에 집중할 수 있는 공간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 인터뷰 : 경찰준비생
- "고시원에서 살고 있거든요. (방세는) 48만 원 한 달에. 일단 보증금을 안 내니까 부담이 덜 한 거 같고. 수도료, 전기료 이런 게 안 나가니까 신경 쓸 게 많이 없어서 편한 느낌."
그중에서도 유독 눈에 띄는 프리미엄이란 문구.
시설을 새로 리모델링해 고급화한 고시원들인데, 한 곳에 들어가 봤습니다.
화장실이 있는 방은 58만 원, 화장실이 없는 방은 45만 원으로 저렴한 고시원보다 많게는 30만 원 가까이 비싸지만 찾는 사람이 많습니다.
▶ 인터뷰 : 고시원장
- "오픈한 지 3주가 좀 지났거든요 한 달 정도. 계약은 3분의 2 정도 됐고."
최근엔 잇따른 전세사기가 언론에 보도되고 세입자들의 불안감이 커지다 보니, 고시원 수요가 더 늘었습니다.
고시 공부가 아닌 주거 공간으로서, 목돈이 필요 없는 역세권 고시원을 찾는 사회초년생들이 많아졌습니다.
▶ 인터뷰 : 고시원장
- "직장인분들이 4분의 3 정도 되는 거 같고 노량진 옆이니까 공시생들이 나머지 차지하는 거 같아요. 직장초년생들이 부모님 손 안 벌리고 독립하면서 목돈이 없으니까."
------
고시원들의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공무원 선발 숫자가 줄고 선호도 예전 같지 않다 보니 고시생이 줄고 있고, 그만큼 고시원들도 입실자 모시기 경쟁에 나서는 겁니다.
고급스럽고 시설이 깨끗하지 않으면 입실자를 구하기 어려워졌습니다.
▶ 인터뷰(☎) : 고시원장
- "리모델링하는데 손만 댔다 하면은 전부 인건비, 자재값. 그렇게 했는데도 잘되면 좋은데 안돼. 전부 너도나도 다 프리미엄이라 가지고."
▶ 인터뷰 : 부동산 관계자
- "구축은 인기가 없어. 프리미엄 고시원으로 거의 다 리뉴얼 하더라고요. 25만 원 받았던 거를 지금은 크게 받고 크게 만들고."
-----
서울시 조사 결과, 고시원에 사는 사람들의 월평균 소득은 137만 원, 평균 월세는 33.5만 원이었습니다.
2020년 조사라, 프리미엄 고시원들이 많아진 지금은 월세가 더 비쌀 것으로 보이는데요.
월세 부담이 커지자 정부는 반전세 대출 요건을 완화하고, 월 20만 원의 청년 월세 지원을 연장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고시원에서 생활하는 젊은 청년들과 사회 초년생들에게는 그나마 도움이 되겠죠.
시대가 달라지고, 고시원도 아파트처럼 차별화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지만, 월세 부담이 갈수록 커진다는 점에서 고시원 주거에 대한 고민도 필요해보입니다.
지금까지 경제기자M이었습니다.
[ 배준우 기자 / wook21@mbn.co.kr ]
영상취재 : 김현우 기자
영상편집 : 송지영
그래픽 : 이지연
☞ MBN 유튜브 구독하기 ☞ https://goo.gl/6ZsJGT
MBN 유튜브 커뮤니티 https://www.youtube.com/user/mbn/community?disable_polymer=1
MBN 페이스북 http://www.facebook.com/mbntv
MBN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mbn_news/
@tweety0878 : 편리성 넓은 공간 다 필요하고 좋지만
어떤 집이든 지을 때
방음시설 1순위로 좀 생각해서
만들었으면
@ljs6739 : 그만큼 가격이 올랐어요 원래 창있는 살만한 곳이 40만원대였는데 70만원 이상 받더라고요. 오히려 빌라촌 원룸이 더 저렴해졌습니다.
@musictopia6409 : 정부에서 일인 주택을 많이 지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방 하나 욕실 주방을 최소한의 크기로 만들어서 제공 하면 국민들에게 도움이 되리라 본다
@55tani : 이번에 고시텔 알아 보니 확실히 추세가 변했음
급하게 직장을 옮기게 됐는데, 살던 집이 안 나가고 있어서 보증금이 묶이는 바람에 급한대로 서울 고시텔을 알아 봤음
예전에 고시원부터 시작해서, 고시텔(원룸텔)류 9곳 정도 살았었는데, 다시는 안 살겠다는 다짐이었는데 또 다시;;
각설하고 이번에 느낀 게 저렴한 고시원은 오히려 방이 남고, 돈도 안 되는데 고객 수준도 떨어져서 관리가 힘듦.
근데, 예를 들어 S급 고시텔은 70~90이고 무려(?) 개인 건조기까지 있음
근데 방이 없음. 비싸도 깔끔하고 좋은 걸 선호하는 추세임.
중고가 50~70 사이 고시텔 들어가기 겁나 힘듦
40 미만 고시텔은 대부분 방이 있음
예전엔 싼 곳 살다가 돈 모아서 원룸/투룸 가는 게 루트였는데, 요즘은 무조건 비싸도 시설 좋은 걸 선호하는 추세임
그래서 구닥다리 고시원들이 리모델링 하고 있음
@user-rx3zq9ro6c : 가장 좋은 메리트는 보증금 없고 계약기간 없는 큰 장점이죠
단점이라하면 다는 안 그래도
고시원 옆방 소음이 가장 불편함이죠
회기역 고시원, 월 33만원에 회기역까지 10초만에?!? | 고시원 브이로그 생존기 | 오투원룸텔 | 독립생활
1인 주거공간이 필요할 때 가장 먼저찾는 서비스, 독립생활
https://dokliplife.co.kr
독립생활은:
독립생활로 결제시 입실료 10.5% 적립! 10달 결제하시고 한달은 공짜로 자취하세요!
비대면 룸투어와 계약 / 결제 / 민원해결을 도와드립니다
좋은 방인지 안좋은 방인지 7가지 체크리스트로 선별합니다.
✅ 네이버에 "독립생활" 검색시 바로 입주가능한 무보증/단기 주거공간이 나와요!
✅ 초보자취러 + 프로독립러들과 실시간 소통하기 : https://open.kakao.com/o/gAfPke4e
️ 독립생활 방 문의 : https://05125.channel.io
구독하기
https://www.youtube.com/@dokliplife
SNS 팔로우하기
https://www.instagram.com/dokliplife
https://www.tiktok.com/@dokliplife
https://www.facebook.com/dokliplife
https://www.twitter.com/dokliplife_kor
#고시원 #원룸텔 #사회초년생 #한달살기
@kang7004 : 와... 역세권 30만원방에 개별화장실에 창문!!!! 좋네요. 20년 전에 30만원짜리 고시원에서 살았는데, 고시원비는 많이 안 오른 듯
@user-ye6vk1je3t : 와~대박2007년 서울생활 청담동고시원 가격임~~굿♡♡
@user-so5op4zv7r : 합리적인 가격에 좋네요
@Young-wb6dh : 뷰가 아주 시원하네요
@hjkg544 : 외국어도 가능하군요!
외국어 자막도 지원되면 좋겠네요
자동번역은 어색하더라고요.
[민생연구소] 서울 상경기! ‘고시원’에 자리 잡은 청년들, 실제 생활은?
주거빈곤에 시달리는 2030 청년들의 현실을 담은 신조어 ‘지옥고’. 우리나라 최저주거기준에 못 미치는 가구는 111만, 청년의 비율은 33.1%에 이른다.
관악구, 서대문구, 영등포구 등 서울 도심 곳곳의 고시원에서 살고 있는 청년들은 어떻게 생활하고 있을까? 신림 고시원에서 7㎡ (2.2평), 외창형, 공용 화장실을 사용하며 월 26만 원을 내고 있는 고근형 씨. 청소, 밥, 민원 관리를 하면서 월 50만 원을 받는 고시원 총무 이은주 씨 등! 실제 고시원에서 생활한 청년들의 삶을 공개한다.
#지옥고 #최저주거기준 #고시원 #서울상경기
----------------------------------------------
▶TBS 유튜브 구독 http://j.mp/MyLoveTBS
▶TBS 페이스북 https://facebook.com/mylovetbs
▶TBS 카카오스토리 https://story.kakao.com/ch/seoultbs
▶TBS 인스타그램 https://instagram.com/seoultbstv
▶TBS 트위터 https://twitter.com/seoultbstv
▶TBS 홈페이지 http://tbs.seoul.kr/
▶TBS 유튜브 커뮤니티 http://bit.ly/2EaWnQp
@Song_Word : 저렇게 열악하게 살면서, 어떻게든 취직을 해서, 쎄빠지게 돈을 모아도, 평생 자기 집 한 채 가질 수 없다는 게 얼마나 절망인지...
@Haru_Angku : 아... 대한민국 청년들 힘내세요ㅠ 저런곳이서 열심히 준비 하시네요ㅠ 참... 서른중반에 취업한지는 좀 오래됐지만 지방에서 적당한직장에 연봉5000정도인데 나는 참 불행하다고 생각했는데 그래도 집세 안나가고 살고있는거 감사하게 생각해야겠네요ㅠ
@user-jt6uv6eh3s : 우리 근형이 ㅠㅠㅠㅠ 중학교때 진 짜 최고의 엘리트였고 진짜 학생 인권을 위해 노력하던 찬구였는데 ㅠㅠ 대기만성이라고 누가봐도 잘될 친구입니다!! 화이팅!!!
@brotherbig1030 : 나도 20대때 저렇게 살았지만, 10년후의 세대도 저렇게 살게 되는걸보니, 내 자식세대도 저렇게 살게될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user-br6vm1kx8q : 서울중심의발전이 너무 문제이다 ㅠ. 지방지역경제가 골고루 성장했으면좋겠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