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시래기말리기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심청이 조회 10회 작성일 2024-06-04 18:27:37 댓글 0

본문

생무청 시래기 말리는 (만드는)법/무청 시래기 생으로 말리기, 데쳐 말리기 장단점 제대로 알고 말리기

#무청시래기만드는법 #무청시래기만들기 #무청부드럽게말리는법
◆ 무청 생으로 말리기/데쳐 말리기/부드럽게 말리는 법
무(radish)의 제철은 10월~12월입니다.
무청은 무 위쪽의 잎과 줄기입니다.
무청 시래기를 만들기 좋은 시기는
11월~12월입니다.

♦ 재료소개 ♦
[주재료] : 생 무청 2Kg
소금 1T ~ 2T
물 2L
[재료 계량] :
계량컵 1컵(1000cc)
1큰술(15cc)
1작은술(5cc)

시래기 전용으로 나오는 무청은
일반 무청보다 영양분도 더 많고 좀 더 부드러워요.
시래기 전용 중에서도 김치용과 시래기용이 있어요.
김치용은 줄기가 더 짧고, 시래기용은 좀 더 길어요.
영상의 무청은 시래기 전용 무청 중에서도 김치용을 주문했어요.
어느 것을 해도 괜찮아요.

시래기 전용 무청이 맛과 영양분이 조금 더 풍부하지만,
일반무청으로 해도 괜찮아요.
가을 무와 무청은 어느 것을 해도 맛과 영양이 뛰어납니다.

영상에서
무청을 데쳐 말린 기간은 6일이고, 생무청은 7일입니다.
늘 바쁘다 보니 촬영을 제때 하지 못했어요.

저는 2 kg만 데쳐 보관했지만,
6 kg 이상 넉넉히 주문해서보관해 두면
겨우내 두고두고 영양 가득 다양한 요리를
맛있게 만들어 드실 수가 있어요.

저는 뒤쪽의 베란다가 좁아서 보일러를 틀지 않고,
거실에서 말렸어요.

시골에 사신다면
비를 맞지 않고,
그늘지고 통풍이 잘되는 곳이 있다면
겨우내 그대로 널어 두고 드시면 됩니다.

아파트에서는 뒤쪽의
그늘진 베란다에 두고
밤에도 창을 살짝 열어두세요.
밖에 두고 드신다면 통풍이 잘 되야 합니다.

시래기의 효능
시래기는 비타민C, 칼슘, 철분 등이 풍부하며
뼈 건강, 혈관 건강, 빈혈 예방에 좋습니다.

지난영상
생무청 힘들게 껍질을 벗기지 않고 부드럽게 데쳐서
보관하는 법


추천영상
무생채 만드는 법
한 번에 넉넉히 만들어 김치처럼 오래 두고도 맛있게


토란껍질 쉽게 까는법/생토란대 말리는법
생토란줄기 줄기 쉽게 벗기는 방법


감사합니다.
날마다 좋은날 되세요.
========================================
배경음악 : 봄소풍 by 신대경, 공유마당, cc by
Tong tong by 이 혜진, 공유마당, cc by
========================================

[무청시래기] 소다 넣지마세요. 이렇게 말리면 절대 질기지않아요. 삶는법과 건나물 말리는 법 공개, 시래기 말리는 법, 시래기 삶는 법, 시레기 데치기

영상에선 2가지 방법이 나옵니다.
첫째는, 싱싱한 무청을 데쳐서 바로 요리해서 먹는 법
---일반적나물 데치듯하고, 하루정도 물에 우려줌
둘째는, 장기보관용으로 데쳐서 건나물 만드는 법.
--- 삶고, 건져서 햇빛에 말림.

냉동실 자리가 넉넉하신 분은 건나물로 만들 필요 없이,
첫번째 방식으로 무청을 데친후, 냉동보관하세요.


■양념

계량 : 성인밥수저 (9ml)
Measurement : Adult Korean Dinner Spoon (1 T = 9ml ) .

무청시래기이렇게 삶아 말리면 절대 질기지 않아요. 무청 삶는법 말리는 법, 시래기 말리는 법, 시래기 삶는 법

맛나요리 만능 주방기구 최저가 구매링크: https://smartstore.naver.com/sallema/category/bd3b3b5dd63f4e3682447e04a6da075f?cp=1
전화주문 010-4268-850

함께해요 맛나요리 네이버 밴드 가입
https://band.us/@mannarecipe

맛나 스케치 delicious sketch
https://www.youtube.com/channel/UCr8m6FvqeL8y80-Hx-vjw9w

... 

#무시래기말리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3,704건 264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www.uljinpension.kr. All rights reserved.  연락처 : cs@ep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