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릿대의약효
페이지 정보
본문
제주조릿대 '차'로 다시 태어나다
제주조릿대 '차'로 다시 태어나다\r
[연합뉴스20]\r
\r
[앵커] \r
\r
제주 한라산에 자생하는 조릿대가 골칫거리로 떠올랐습니다. \r
\r
한라산을 뒤덮다시피 했기 때문인데요. \r
\r
이 조릿대도 없애고 실생활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이 다양하게 추진되고 있습니다. \r
\r
김효섭 PD입니다.\r
\r
[리포터]\r
\r
하얀 눈 위에 푸른 조릿대 군락이 펼쳐집니다.\r
\r
쌀을 일거나 물을 뺄 때 사용되는 조리를 만드는 대나무라는 말에서 유래한 조릿대.\r
\r
최근 제주도가 한라산에서 자생하는 조릿대를 활용한 '창조 경제'에 나섰습니다.\r
\r
[김세재 / 제주조릿대 RIS 사업단장] "이 사업은 지역 경제 활성화가 목적인데요. 제주 조릿대가 지역내 가장 큰 자원이고…"\r
\r
조릿대는 옛 문헌에 이미 효능이 잘 기록돼 있습니다.\r
\r
동의보감에도 당뇨병이나 열을 낮추고 화병을 완화시키는 데 좋다고 돼 있습니다.\r
\r
이런 점 등에 착안해 연구가 진행됐고,\r
\r
[고희철 / 제주대학교 산학협력 교수] "지금은 옛날 효능에 대해 과학적으로 확실하게 효능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각종 실험을 진행하고 있습니다."\r
\r
이제 화장품을 비롯해 차 등 건강식품으로 거듭나고 있습니다.\r
\r
특히 차에 대한 수요 증가와 맞물려 제주조릿대차로 소비자 입맛 공략에 나섰습니다. \r
\r
제주조릿대 RIS사업단은 조릿대 줄기와 잎을 기반으로 개발한 글꼴을 나눠주며 제주조릿대를 알립니다. \r
\r
사업단은 설날부터 제주조릿대 공동브랜드 홈페이지를 통해 무료로 내려받을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r
\r
연합뉴스TV 김효섭입니다.\r
\r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yjebo@yna.co.kr\r
\r
(끝)
생태계 교란 '제주조릿대'…내년부터 베어낸다
한라산 해발 1,750미터 장구목 일대.
제주조릿대가 일대를 온통 뒤덮고 있습니다.
다년생 벼과 대나무인 제주조릿대가
급속히 확산되기 시작한 것은
한라산에서 소와 말의 방목이 금지된
1980년대부터.
번식력이 강해 주변 식물들의 생육을 막아
한라산 생태계를 교란시킨다는 지적을
받아왔습니다.
김민철 / 제주시 아라동
"(윗세오름) 대피소 구간부터 조릿대가 많이
보이는데 좀 더 다양한 식물이 있으면 색깔도
예쁘고 아름다울 것 같습니다."
제주조릿대가 잠식한 면적은
전체 한라산국립공원 153제곱킬로미터 가운데
95%인 146제곱킬로미터.
해발 1,400미터 이상 고지대도
88%를 점령했습니다.
이렇게 확산된 조릿대를 제거하기 위해
제주도 세계유산본부가 진행한 실험은
말 방목과 벌채 두 가지.
2016년부터 올해까지 5년 동안
실시한 실험에서
벌채 효과가 높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조릿대 감소 비율만 보면
말 방목 효과가 우수했지만,
조릿대가 제거된 지역에 새로 분포한 식물은
벌채 구역이 65종으로 더 다양했습니다.
말 방목은
특히 관리 등 비용면에서 경제성이 떨어졌고,
벌채는 주기적으로 실시해야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S/U) "조릿대를 벌채하지 않고
1년 동안 방치한 곳입니다.
어른 손가락 높이의 조릿대가
새로 자라나 있습니다."
김종갑
/ 제주도 세계유산본부 한라산연구부 연구사
"말 같은 경우는 다른 식물을 먹는
습식 행동이 있습니다. 그렇다 보니
제주조릿대가 있는 순 군락에서만 말 방목을
실시해야 하는 그런 문제점 때문에 우선적으로
벌채라는 작업으로 저희가 제주조릿대를
제거할..."
세계유산본부는
선작지왓과 남벽분기점 주변을
1차 제거구역으로 정하고,
문화재청과 환경부 등과 협의해
내년 8월부터 본격적인 조릿대 베어내기를
시작할 계획입니다.
약성이 가장 강한 대나무인 산죽(조릿대)차를 초보자도 쉽게 만드는 방법
산죽(조릿대)은 벼과에 속하는 상록성 활엽관목으로 숲속에서 자라는데 음지에서도 잘 자라고 추위에 강합니다.
지피식물로 성장이 빠르고 무리를 지어 자란다.
너무 흔해서 그 가치를 인정 못받는 산죽은 약성이 가장 강한 대나무로 알려져 있습니다.
산죽의 좋은 효능들을 소개하면서 채취 후 사전작업을 자세히 설명하고 그 유의사항 등을 영상으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덖음 과정에 대한 설명과 산죽차 만들기의 특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현재 섬진강꽃차교육원을 운영하면서 덖음 꽃차 교육에 헌신하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좋아요 구독은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산죽차만들기 #조릿대차만들기 #산죽차효능 #조릿대효능
제주조릿대 '차'로 다시 태어나다\r
[연합뉴스20]\r
\r
[앵커] \r
\r
제주 한라산에 자생하는 조릿대가 골칫거리로 떠올랐습니다. \r
\r
한라산을 뒤덮다시피 했기 때문인데요. \r
\r
이 조릿대도 없애고 실생활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이 다양하게 추진되고 있습니다. \r
\r
김효섭 PD입니다.\r
\r
[리포터]\r
\r
하얀 눈 위에 푸른 조릿대 군락이 펼쳐집니다.\r
\r
쌀을 일거나 물을 뺄 때 사용되는 조리를 만드는 대나무라는 말에서 유래한 조릿대.\r
\r
최근 제주도가 한라산에서 자생하는 조릿대를 활용한 '창조 경제'에 나섰습니다.\r
\r
[김세재 / 제주조릿대 RIS 사업단장] "이 사업은 지역 경제 활성화가 목적인데요. 제주 조릿대가 지역내 가장 큰 자원이고…"\r
\r
조릿대는 옛 문헌에 이미 효능이 잘 기록돼 있습니다.\r
\r
동의보감에도 당뇨병이나 열을 낮추고 화병을 완화시키는 데 좋다고 돼 있습니다.\r
\r
이런 점 등에 착안해 연구가 진행됐고,\r
\r
[고희철 / 제주대학교 산학협력 교수] "지금은 옛날 효능에 대해 과학적으로 확실하게 효능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각종 실험을 진행하고 있습니다."\r
\r
이제 화장품을 비롯해 차 등 건강식품으로 거듭나고 있습니다.\r
\r
특히 차에 대한 수요 증가와 맞물려 제주조릿대차로 소비자 입맛 공략에 나섰습니다. \r
\r
제주조릿대 RIS사업단은 조릿대 줄기와 잎을 기반으로 개발한 글꼴을 나눠주며 제주조릿대를 알립니다. \r
\r
사업단은 설날부터 제주조릿대 공동브랜드 홈페이지를 통해 무료로 내려받을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r
\r
연합뉴스TV 김효섭입니다.\r
\r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yjebo@yna.co.kr\r
\r
(끝)
생태계 교란 '제주조릿대'…내년부터 베어낸다
한라산 해발 1,750미터 장구목 일대.
제주조릿대가 일대를 온통 뒤덮고 있습니다.
다년생 벼과 대나무인 제주조릿대가
급속히 확산되기 시작한 것은
한라산에서 소와 말의 방목이 금지된
1980년대부터.
번식력이 강해 주변 식물들의 생육을 막아
한라산 생태계를 교란시킨다는 지적을
받아왔습니다.
김민철 / 제주시 아라동
"(윗세오름) 대피소 구간부터 조릿대가 많이
보이는데 좀 더 다양한 식물이 있으면 색깔도
예쁘고 아름다울 것 같습니다."
제주조릿대가 잠식한 면적은
전체 한라산국립공원 153제곱킬로미터 가운데
95%인 146제곱킬로미터.
해발 1,400미터 이상 고지대도
88%를 점령했습니다.
이렇게 확산된 조릿대를 제거하기 위해
제주도 세계유산본부가 진행한 실험은
말 방목과 벌채 두 가지.
2016년부터 올해까지 5년 동안
실시한 실험에서
벌채 효과가 높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조릿대 감소 비율만 보면
말 방목 효과가 우수했지만,
조릿대가 제거된 지역에 새로 분포한 식물은
벌채 구역이 65종으로 더 다양했습니다.
말 방목은
특히 관리 등 비용면에서 경제성이 떨어졌고,
벌채는 주기적으로 실시해야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S/U) "조릿대를 벌채하지 않고
1년 동안 방치한 곳입니다.
어른 손가락 높이의 조릿대가
새로 자라나 있습니다."
김종갑
/ 제주도 세계유산본부 한라산연구부 연구사
"말 같은 경우는 다른 식물을 먹는
습식 행동이 있습니다. 그렇다 보니
제주조릿대가 있는 순 군락에서만 말 방목을
실시해야 하는 그런 문제점 때문에 우선적으로
벌채라는 작업으로 저희가 제주조릿대를
제거할..."
세계유산본부는
선작지왓과 남벽분기점 주변을
1차 제거구역으로 정하고,
문화재청과 환경부 등과 협의해
내년 8월부터 본격적인 조릿대 베어내기를
시작할 계획입니다.
약성이 가장 강한 대나무인 산죽(조릿대)차를 초보자도 쉽게 만드는 방법
산죽(조릿대)은 벼과에 속하는 상록성 활엽관목으로 숲속에서 자라는데 음지에서도 잘 자라고 추위에 강합니다.
지피식물로 성장이 빠르고 무리를 지어 자란다.
너무 흔해서 그 가치를 인정 못받는 산죽은 약성이 가장 강한 대나무로 알려져 있습니다.
산죽의 좋은 효능들을 소개하면서 채취 후 사전작업을 자세히 설명하고 그 유의사항 등을 영상으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덖음 과정에 대한 설명과 산죽차 만들기의 특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현재 섬진강꽃차교육원을 운영하면서 덖음 꽃차 교육에 헌신하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좋아요 구독은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산죽차만들기 #조릿대차만들기 #산죽차효능 #조릿대효능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