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약품판매도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삐돌이 조회 38회 작성일 2025-05-09 14:31:18 댓글 0

본문

도매동물약국 탐방기 약저렴하게 구매하기,알약쉽게먹이기

#도매동물약국 #동물약싸게사기

https://www.instagram.com/aebongeee/

동물용 의약품 불법 유통... 단속은 겉돌고

#동물용의약품 #불법유통 #단속 #무주군
#고양이사육시설 #동물보호법위반

주민들을 위해 세금으로 지은 시설이
반려묘 시설로 운영되고 있다는 사실,
전주방송 보도로 밝혀졌는데요.

이곳에서는 동물용 의약품도 발견됐습니다.

인터넷 공간에서는 동물용 의약품이
불법 거래되고 있는데
자치단체의 단속은 헛다리만 짚고 있습니다.

변한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무주의 한 농촌마을에 있는 주민복지시설.

정부 예산으로 만든 시설이지만
1년 넘게 고양이 사육시설로 운영됐습니다.

전 이장이 무단으로 임대해 준 건데,
무자격 진료가 이뤄졌고,
상당 양의 동물용 의약품도 발견됐습니다.

[시설 관계자 :
(선생님이 직접 주사도 놓고 하신 거예요?) 뭐 예방접종으로... (관련 자격증 그런 건 있으세요?) 반려동물 행동 지도사... (이게 의료 관련된...) 의료 관련된 건 아니죠.]

무주군은 시설 관계자를
동물보호법 위반 등의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습니다.

경찰은 진료 행위뿐만 아니라
동물용 의약품을 확보한
경로 등을 조사할 계획입니다.

수의사의 처방이 없으면 호르몬제 등의
동물용 의약품은 판매할 수 없습니다.

인터뷰: 이한경/전북수의사회 부회장 :
적정한 용법, 용량을 지키지 않고 투여를 했을 때는 동물이 폐사까지 할 수 있고,
심각한 부작용이 올 수 있습니다.]

(트랜스 수퍼)
지난 4년 동안 들어온 불법 판매
신고 건수는 4백 건이 넘습니다.

3년 동안 신고 건수의 90% 이상이
온라인상에서 이뤄진 거래였습니다.///

하지만 자치단체의 단속은 겉돌고 있습니다.
온라인은 놔둔 채 동물 약국만 단속하다
보니 지난해 도내 지자체들의 적발 건수는
한 건도 없습니다.

[무주군 관계자 :
저희들이 이게 수의사법으로 약물, 약품 관리에서 저희들이 관리하는 데는 대부분 동물 병원밖에 없거든요.]

반려동물 인구가 급속하게 늘어나면서
동물용 의약품 불법 유통에 대한 단속도
현실에 맞게 개선돼야 합니다.

JTV NEWS 변한영입니다.
(JTV 전주방송)

동물용의약품 불법 판매·관리 업체 덜미

[앵커멘트]
경기도 특사경이 동물용의약품의 안전관리에 나섰습니다. 도내 동물병원, 동물약국, 동물용의약품 도매상 등을 중점적으로 수사했는데요, 유효기간이 지난 약품을 판매하거나 처방전 없이 판매한 업체들이 무더기로 적발됐습니다.

[리포트]
경기도 내 한 동물의약품 도매상.
처방을 받아야 사고 팔 수 있는 동물용의약품을 판매한 기록이 있어 물어보니
처방전을 가져오지 않아 그냥 팔았다고 대답하는 업자.
처방 대상 동물용의약품은 처방전 없이 판매할 수 없습니다.

[현장음]
올해 2월에도 겐타마이신 판매한 게 있는데 / 아 글쎄 처방전을 안 가져온다니까요 / 안 가져오면 판매하시면 안 되죠

이 뿐 만이 아닙니다.
약사가 직접 의약품을 관리하지 않고 면허만 대여 받아 운영 중인 것을 꼬집자,
동물 약국은 다 그렇다는 답변이 돌아옵니다.

[현장음]
약사면허를 대여 받으신 거죠? / 동물약국은 다 그래요 지금

유효기간이 지난 의약품을 그대로 진열장에 저장·진열해 둔 곳도 덜미를 잡혔습니다.

[현장음]
유효기간 지난 거 확인 못 한 거죠? / 네 못 했어요

경기도 민생특별사법경찰단은 지난 10월 27일부터 11월 2일까지
동물병원, 동물약국, 동물용의약품 도매상 등 총 90곳을 대상으로 수사를 벌인 결과,
총 25곳에서 32건의 위법행위를 적발했습니다.

주요 적발 사례는
약사면허 대여, 유효기간이 지난 약품을 판매하거나 진열, 처방전과 거래 내역을 작성하지 않거나 보관하지 않는 경우 등으로, 이는 모두 약사법 위반입니다.

[인터뷰] 선우천희 / 경기도 민생특별사법경찰단 수사2팀장
저희는 향후 의약품이 안전하게 유통되고 철저하게 관리될 수 있도록 의약품 관련 수사를 지속적으로 강화해 의약품의 유통과 관리와 관련한 불법행위가 근절되도록 노력할 계획입니다.

도 민생특사경은 이번에 적발된 업체 관계자를 형사입건 후 검찰에 송치할 예정입니다.

경기GTV 이슬비입니다.




[자막]

1. 도내 동물용의약품 도매상

2. [현장음]

3. 약사면허 대여..관리 약사 출근 없어

3. [현장음]

4. 유효기간 지난 약품 진열·판매

5. [현장음]

6. 도, 동물용의약품 유통관리 불법행위 25곳 적발

7. 약사면허 대여, 처방전 없이 판매 등

8. [인터뷰] 선우천희 / 경기도 민생특별사법경찰단 수사2팀장

9. 영상취재 : 경기도청 촬영팀
영상편집 : 윤지성
화면제공: 경기도 특별사법경찰단

... 

#동물약품판매도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3,704건 24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www.uljinpension.kr. All rights reserved.  연락처 : cs@ep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