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행정역할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마약떡볶이 조회 10회 작성일 2020-09-04 12:34:59 댓글 0

본문

현직자가 말하는 교육행정직

썰,이야기,유머,조언,고민,상담,일상,공포,호러,정보 등등

매일 1~2편씩 업데이트합니다.

사연 제보는 rhdvh1717@naver.com 으로 보내주세요. 감사합니다.
노준 : 연고지 교행직 vs 비연고지 농업직
뭐가 더 좋나요?? 답글좀 달아주세요 ~
Yerene Son : 궁금했던 부분들 많이 해소하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시아 : 사립도 해당이려나
푸른하늘 : 와..진짜 보기만해도 머리 아프네요
전 일행이라 아주 큰 상관은없겠지만
교행 안하길 잘했네요
look hey : 진짜 개 편할거 같네요. 일행해본 입장에서 ㅋㅋㅋㅋ 아무리 회계어쩌고해도 혼자열심히 하면되니깐. 치밀하게 업무협조해야하는 부분도 없고 아니 무슨 민원도 없고 9급때부터 하던 100억짜리 사업도 없고
T M : 감사합니다!
유영민 : 대부분 다 맞는 말씀인데 교행끼리의 결혼보다는 일행공무원하고 교행공무원하고의 결혼이 좀 더 많은편입니다.
솔직히 교행공무원끼리 결혼하면 돈이 잘 안모이기때문에 애 키우기가 힘듭니다.
남편이 일행공무원 아내가 교행공무원 이런 구조가 많구요
박 동규 : 전부 편하게만 일하려는거
씁쓸하네요
그정도도 일안하고
남의 월급받을 생각하는게ㅋ

중소기업 가보면
전쟁터나 다름없음
으라망 : 4시30 5시 퇴근해보고 싶다
봄날은온다 : 누군가는 여기 댓글을 보고 현실을 알고 싶어 할까봐 몇자 적습니다.

초등학교 행정실 좁은 공간에서 거의 대부분 여성들 3~4명 정도가 근무하는데 무조건 행정실장을 잘 만나야 합니다. 인성뿐 아니라 실무능력을 겸비한 실장 밑에서 근무하고 배워야 업무능력도 늘고 칼퇴근의 기쁨도 맛보는 거지 뭔 6급 7급 달고도 아무것도 모르는 멍충이 실장들 엄청 많습니다.

그런 것들은 하루종일 인근 학교 다른 실장에게 이 건은 어떻해 처리하는데? 이건 뭔데? 하면서 물어봅니다.
일하는 방법 자체도 틀려먹은 똥실장도 많아서 뭐가 우선인지도 모르고 무조건 행정실 직원 다 남기고 7시,8시 퇴근 시키는 바보실장들도 많습니다.

그러면 그런 돌대가리 실장을 만나지 않으려면 어찌 해야 하는가?
무조건 외곽 학교는 피하세요. 이건 일선 교사들도 마찬가진데 학군이 좋고 학교 건물이 관리가 잘 되어 있고 엄마들이 좋아하는 그런 학교를 지원해서 가야 합니다. 솔직히 말하면 소양평가 같은데 있는데
거기서 점수에 밀리고 업무 능력도 떨어지는 모지리들이 변두리 학교로 가는 겁니다.
왜? 다른 좋은 학교는 경쟁률이 심하고 능력이 안되니까! 그러니까 남들은 가기 싫어하는 그런 학교로 가게되고 뭐같은 행정실장을 만나게 되는 겁니다.

일반행정VS교육행정 두 기관 모두 근무해본 현직 공무원이 말씀드립니다. 일행VS교행

업로드가 늦어져서 정말 죄송합니다..
요즘 많이 힘드네요

––––––––––––––––––––––––––––––
Campfire by Scandinavianz https://soundcloud.com/scandinavianz
Creative Commons — Attribution 3.0 Unported — CC BY 3.0
Free Download / Stream: https://bit.ly/_campfire
Music promoted by Audio Library

––––––––––––––––––––––––––––––
JUGI : 1:38 본론시작
팥시루떡 : 감사합니다! 혹시 복지포인트 측면에서는 일반행정이 교육행정보다 많나요?
파송송 : 교행공무원 되기 많이 어렵나요?? 교행 공무원이 되고 싶은 학생인데 두려워요 ㅠㅠ
파송송 : 교육행정직은 구체적으로 무슨일을 하는 직업인가요? 다른 인터넷에 검색해 보아도 구체적인 뜻은 어디에도 나와있지 않았어요. 지금 교행직을 꿈꾸고 있습니다. 정말 궁금해서 댓글 답니다.
ᄉᄌᄃ : 교행 승
아이언맨 : 주기님 교행에서 지방공무원으로 바꾸신 사유를 알려 주실 수 있는지요?
도레미파라솔 : 교육청에서 시설관리직하셨다고하셨는데.. 행정실에 교육행정직들하고 부딪히는 경우없었나요? 교욱청에서 어떤 업무들 하셨는지 하루일과도 궁금하네여
문문 : 발령전에는 무엇을 준비하면 좋을까요?
김사성 : 혹시 지금은 어디 직렬이신가요?
영블리 : 안녕하세요 !교행공무원시험을 준비하려합니다 ㅎ 강원도쪽으로 볼려고하는데 만약 붙게되면 초.중.고 중에 어떤 기관을 맡게 될지, 직장은 어느지역으로 될지 랜덤으로 배정받는건가요??

코로나 시대, 우리 교육은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가? | 남기(Namgi) 박(Park) | TEDxSeoulSalon

How should our education respond in the COVID19 era? | Namgi Park

코로나19가 가져온 변화는 교육분야에 있어서도 예외가 아닙니다. 그동안 4차 산업혁명시대의 교육의 방향이나 학교/교사의 역할 재구조화, 필요한 인프라 구축 등의 주장은 계속 있어왔지만 학교나 교사, 정부는 크게 움직이지 않았다는 의견들이 많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해 갑작스러운 온라인 개학 상황을 맞이한 이러한 상황을 박남기 교수님은 '물이 차서 더이상 걷기 어려워 수영을 하게 되는 상황'으로 설명합니다. 부정적으로만 볼게 아니라, 온라인 학습 등 에듀테크의 도움을 받고 익힐 계기로 삼아야 한다는 것이지요.

코로나19 이후 교육의 방향에 대해 박남기 교수님은 온라인에 존재하는 기존의 다양한 콘텐츠를 재구성·제공하고, 온라인을 통해 상시 소통하는 스마로그형(Smalogue : Smart + Analogue)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대면 교육의 효과성을 높이는 방향을 제시합니다. 광주교대 교수(전 총장)이자 한국교육행정학회장인 박남기 교수님은 몇몇 주장이나 예언에 의존하지 말고, 그들의 주장에 치열하게 반문하며 우리의 지식과 지혜를 발전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The changes that COVID19 brought about are no exception in the field of education. There have been arguments for the direction of education, the role of schools/teachers, and the establishment of necessary infrastructure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ut there are many opinions that schools, teachers, and the government have not moved much.
Professor Park explains the situation in which COVID19 caused a sudden online start of school as "a situation in which water fills up and makes it difficult to walk anymore." It's not just a negative view, but an opportunity to learn from EduTech, including online learning.

Regarding the direction of education after COVID19, Professor Park suggests way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face-to-face education by reorganizing and providing various existing contents that exist online and conducting a "Smallogue: Smart + Analogue" education that communicates online at all times. Professor Park, a professor at Gwa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former president) and president of the Korean Educational Administration Association, says we should not rely on some arguments or prophecies, but should fiercely question their arguments and develop our knowledge and wisdom.

소셜미디어에서 박남기 교수님을 만나보세요! You can follow him on social media.
* Facebook : https://www.facebook.com/NamgiPark60
* Blog : https://blog.naver.com/ngpark60

++++++++++++++++++++++++

TEDxSeoul은 TED의 미션인 '퍼뜨릴 가치가 있는 아이디어'의 정신으로, 서울지역에서 독립적으로 TED 스타일의 행사를 개최하는 커뮤니티입니다. TEDxSeoul 행사는 TED로 부터 직접 라이센스 승인을 받아 개최되며, 다양한 배경을 가진 멤버들이 팀을 구성하여 자발적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2009년 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연사의 아이디어와 지식을 만날 수 있는 행사를 진행해 왔습니다. 홈페이지와 소셜미디어에서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해 보세요.

TEDxSeoul is a community that holds TED-style events independently in Seoul, in the spirit of TED's mission, "ideas worth spreading." The TEDxSeoul event is held directly from TED with license approval, and members from various backgrounds form a team to act voluntarily. From 2009 until now, we have held events where we can meet ideas and knowledge of various speakers.

* Website www.tedxseoul.com
* Social Media TEDxSeoul
* Email : contact@tedxseoul

이 강연은 TED 콘퍼런스 형식을 사용하면서도 지역 커뮤니티가 독자적으로 조직한 TEDx 행사에서 진행되었습니다. This talk was given at a TEDx event using the TED conference format but independently organized by a local community.
Learn more at https://www.ted.com/tedx 코로나19가 가져온 변화는 교육분야에 있어서도 예외가 아닙니다. 그동안 4차 산업혁명시대의 교육의 방향이나 학교/교사의 역할 재구조화, 필요한 인프라 구축 등의 주장은 계속 있어왔지만 학교나 교사, 정부는 크게 움직이지 않았다는 의견들이 많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해 갑작스러운 온라인 개학 상황을 맞이한 이러한 상황을 박남기 교수님은 '물이 차서 더이상 걷기 어려워 수영을 하게 되는 상황'으로 설명합니다. 부정적으로만 볼게 아니라, 온라인 학습 등 에듀테크의 도움을 받고 익힐 계기로 삼아야 한다는 것이지요.

코로나19 이후 교육의 방향에 대해 박남기 교수님은 온라인에 존재하는 기존의 다양한 콘텐츠를 재구성·제공하고, 온라인을 통해 상시 소통하는 스마로그형(Smalogue : Smart + Analogue)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대면 교육의 효과성을 높이는 방향을 제시합니다. 광주교대 교수(전 총장)이자 한국교육행정학회장인 박남기 교수님은 몇몇 주장이나 예언에 의존하지 말고, 그들의 주장에 치열하게 반문하며 우리의 지식과 지혜를 발전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This talk was given at a TEDx event using the TED conference format but independently organized by a local community. Learn more at https://www.ted.com/tedx
호로록 간단요리easy cooking : 코로나 이후 교육에 대해 걱정이 많았는데 마음이 많이 편안해졌습니다
현장군 : 감명 깊게 잘 들었습니다.
닮은살걀 : 유익한 영상 잘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koreaso : 우리교육은 어떻게 대응 해야 하는가 - 한글이 변하고 있어요. 궁금하면 와보세요.
아락 앤공룡TV : 코로나19이후 스말로그가 될 것이라고 했으나 그렇지 않을 겁니다. 정치권의 압력으로 수능정시전형의 힘이 커졌으므로 그런 공부할 필요가 없거든요. 계속 외우고 찍기문제 정답 맞추기만 반복할 겁니다.
a jane : 10:20 빌게이츠 인용- 교육
15:05 스마로그 교육 (블렌디드러닝)
Mtv Llama : Wait im first dang

... 

#교육행정역할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3,704건 1144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www.uljinpension.kr. All rights reserved.  연락처 : cs@ep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