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추천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소설을써라 조회 17회 작성일 2020-09-17 12:32:38 댓글 0

본문

쌀 품종의 중요성

안녕하세요. 쌀잘알 채널입니다.
오늘은 쌀 품종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보통 쌀 구매 시, 도정 일자만 보는 경우가 많은데
다른 것은 보지 않더라도 이것 하나만큼은,
다른 것보다 우선적으로 봐야 하는 것이 있습니다.

단일품종, 혼합 아주 간단하지만
그것에 따라 가격이 달라지기 때문에
엉뚱한 쌀을 비싼 가격으로 구매하지 않으려면
영상을 꼭 봐주시고 구매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좋은 영상들 많이 준비돼 있으니 기대해 주세요.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김형원 : Asdf 농협서 쌀 최근도정날짜로구매하여 소분하는와중에 하얀 뭉침(흰가루와 쌀이 덕지덕지 뭉침)이 있어요 이게 무엇인지 알수있을까요?
아시면 댓글부탁드려요~
Seok-Ju Oh :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그런데 갑자기 국내 쌀 유통구조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1. 벼가 9~10월에 수확되면 보통 농협에서 100% 수매를 하나요?
아니면 농민도 겨를 까지 않은 상태로 가지고 있다가 쇼핑몰이나 이런곳에서 주문이 들어오면 개인적으로 판매하기도 하나요?

2. 농협쌀의 경우 벼 상태로 보관하고 있다가
소비자가 쌀 주문이 들어오면 그날이나 지정일에 도정을 해서 판매자에게 배송하는건가요?
이게 농협쌀 개념이 맞지요? 농협에서 수매해서 가지고 있다가 소비자에게 보내주는 쌀

3. 전국에서 미리 도정해 두지 않고 주문일자에 맞춰 도정해서 보내주는 곳들 알아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4. 도정일자는 쌀 부대에 들어가는 필수표시항목인가요?

질문이 많은것 같은데 꼭 알고 싶습니다. ^^
호무무Homumu : 오른쪽 분 빈지노 아닙니까?
호무무Homumu : 쌀 마케팅을 좀 지역 강조하는거좀 그만하고 아밀로스 함량/ 단백질 함량/ 완전미 비율 뭐 이런걸로 해서 이게 찰기가잇는지 단단한건지 퀄리티 중심 마케팅으로 좀 갔으면 좋겠어요
맨날 우리 고장은 예로부터 맑은물시원한공기 어쩌고저쩌고 마케팅
김구레 : 그니까 외국산은 죄다 혼합쌀이라는걸로 섞어 판매된다는거네요ㅋㅋㅋㅋ
신기하죠?ㅋㅋㅋㅋㅋ
혼합=외국산.
단일품종=국내산.
謀事在人成事在天 :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선명 : 쌀시킬려고하다 오늘따라 눈에 뛴품종 혼합이라해서 이게뭔가싶어 보게됨 무슨쌀인줄말하고 샀었는데 오늘 정보감사합니다
민이 : 호평벼는 뭔가요?
레이니블루 : 안녕하세요. 질문이 있어서 댓글 남깁니다. 고시히카리는 쌀알이 작아서 물을 좀 적게 넣어야한다고 들었습니다. 제가 현재까지 접해본 쌀 품종은 고시히카리, 추청, 철원오대미, 신동진미가 있는데 혹시 추청,오대미, 신동진미를 맛있게 먹으려면 물의 조절을 어떻게 하는것이 좋을까요? 알려주실수있나요?
치후 : 감사합니다 여지껏 싸다는이유로 혼합만 먹고있었내요 이제 취향에 맞는쌀을 찾기만 하면되겟어요 정말정말 감사합니다

밥맛을 좌우하는 좋은 쌀 고르는 법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20191107

밥맛을 좌우하는 좋은 쌀 고르는 법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20191107
구리구리 : 네 . 우와 . 깔깔 이거 너무 인위적이다
구독하면코로나없어짐 : 온라인 학습이 조회꿀꿀하넼ㅋㅋㅋㅋ 댓0개 ㄺ

쌀도 한우처럼 등급 보고 사세요 / YTN

[앵커]
시장이나 마트에서 쌀을 고를 때 상표도 많고 가격도 제각각이어서 선택하기가 쉽지 않았죠?

이것만 보면, 맛 좋고 품질 좋은 쌀을 후회 없이 고르는 방법이 있다고 합니다.

이문석 기자가 알려드립니다.

[기자]
마트 손님들이 차례 지낼 쌀을 고르고 있습니다.

[김해순 / 쌀 구매자 : 쌀이 어떻게 생겼나, 몇 년도 쌀인가 그런 것도 보고 고르죠.]

[쌀 구매자 : 알갱이가 깨지지 않고 깨끗하고 색깔도 곱고 그다음에 브랜드도 보고요.]

한우처럼 쌀에도 등급이 매겨져 있다면 훨씬 고르기 쉽겠죠?

저도 이번에 알게 됐는데 이미 등급 표시가 돼 있습니다.

쌀 포장에 품질 등급과 도정일 등이 적힌 표시가 딱 붙어있습니다.

제일 좋은 품질은 '특'.

그 아래로 '상', '보통' 순서고 저급하면 '등외', 아예 검사를 받지 않은 '미검사'가 있습니다.

다음 달 14일부터는 '미검사' 쌀은 아예 팔 수 없습니다.

밥맛은 단백질 함량이 낮을수록 좋다고 합니다.

이건 의무 사항은 아니고 좋은 순서대로 '수·우·미' 표기합니다.

양곡 표시제는 소비자가 쉽게, 좋은 쌀을 고를 수 있게 하려고 도입했습니다.

[이은경 / 농산물품질관리원 충남지원 품질검사팀장 : 등급은 특, 품종은 단일 품종, 최근에 도정한 쌀을 구매하시고 더불어 단백질 함량이 '수'로 표시된 쌀을 구매하시면 후회하지 않으실 겁니다.]

의무 등급 표기는 아직 흰쌀에 한정돼 있습니다.

표기를 안 하면 최대 2백만 원 과태료가 부과되고, 허위 표시하면 3년 이하 징역이나 판매가의 최대 5배를 벌금으로 내야 합니다.

YTN 이문석[mslee2@ytn.co.kr]입니다.

▶ 기사 원문 : http://www.ytn.co.kr/_ln/0115_201809240015373497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8585@ytn.co.kr,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MinKook DaeHan : 판매하고 있는 쌀로 밥을 지어 시식을 할 수 있게 해주면 도움이 될 것같습니다.
피카츄파이리 : 비싸서 못먹어
이주 : 등급하면 뭐 하나  내용물 사기치면 답이 없는데
승현 : 가격

... 

#쌀추천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3,704건 1134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www.uljinpension.kr. All rights reserved.  연락처 : cs@ep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