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자동차쇼핑몰
페이지 정보
본문
삼성도 실패할까? 삼성이 포기한 사업 TOP3 (르노삼성자동차 삼성카메라)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 증권자문 경제전문가 뚝심
●뚝심블로그: https://blog.naver.com/ttukssim_tv
●오늘 영상이 많은 도움 되셨나요?? 구독 부탁드립니다.
삼성은 누구나 인정하는 대한민국의 1등 글로벌기업인데요.
1938년 대구의 '삼성상회'에서 시작한 삼성은 대부분의 사업을 성공시켰습니다.
하지만 그런 삼성조차 야심차게 시작한 사업이었으나 결국 접거나 팔 수밖에 없었던 사업이 있는데요.
●르노삼성자동차
자동차 사업 진출은 삼성의 오랜 숙원이었습니다. 삼성그룹은 1993년 6월에 승용차 사업 진출을 공식화하고 이듬해 4월에 일본 닛산자동차와 승용차 기술 도입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1998년에 출시한 중형차 SM5를 시작으로 하여 2002년 준중형차 SM3, 2004년 준대형차 SM7 등 SM(Samsung Motors) 시리즈를 출시하였습니다.
그러나 SM5는 시기가 좋지 않았습니다. IMF 경제 위기가 시작된 것이 1997년 이때가 바로 SM5가 출시되기 직전이었기 때문인데요. 국가부도가난 최악에 경제난 속에
자동차가 선전은 힘든 환경이었습니다. 결국 삼성자동차는 1997년 외환 위기를 겪은 뒤 1999년 12월에 법정관리가 시작되었습니다.
결국 삼성자동차는 프랑스 르노사에 매각되었고, 2000년 9월에 '르노 삼성 자동차'로 이름을 바꾸게 됩니다. 르노그룹이 주식 지분의 79.9%를 소유하고 있으며, 삼성카드는 19.9%정도 지분을 보유 하게됩니다.
르노삼성자동차는 2000년 7월 삼성전자 및 삼성물산과 삼성그룹 상표 사용계약을 체결했는데요. 프랑스 르노는 지난 2000년 삼성자동차를 인수할 당시 국내 시장 안착을 위해 연간 매출액의 0.8%를 사용료로 지급하고, 삼성 브랜드를 사용한다는 10년 단위의 계약을 체결했는데요.
재계약이 다가오는 2020년에는 르노가 재계약 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 이제는 오리지날 르노자동차 상표로 만날 확률이 커보입니다.
●삼성카메라
삼성은 1970년대 말부터 쭉 카메라를 만들어왔습니다. 1979년에는 일본의 미놀타사와 기술제휴를 맺어 만든 '하이매틱-S'를, 1985년에는 순수 자체 기술로 생산한 콤팩트 카메라 'SF-A'를 선보였죠.
1993년부터는 디지털카메라 연구에 들어갔고, 1997년에 이르러 41만 화소의 첫 디지털카메라를 출시했습니다. 2010년에는 카메라 사업부와 캠코더 사업부가 통합된 삼성 디지털 이미징 사업부가 삼성전자 산하로 들어왔고, 미러리스 카메라 개발에 주력하며 국내 판매량 1위를 차지하기도 했는데요. .
문제는 카메라 특허기술이 대부분 일본에 있기 때문에 라이센스비용등으로 큰 돈을 벌지 못하고 적자를 기록하게 됩니다.
결국 2015년부터 삼성전자가 카메라 사업에서 손을 뗄 거라는 소식이 돌기 시작햇습니다. 삼성전자는 이를 부인했지만 더 이상 신제품은 나오지 않았고, 2017년에는 디지털카메라의 생산·판매를 중지한다는 삼성전자의 공식 발표가 나옵니다. 의외로 가성비가 좋았던 삼성카메라 팬들에게는 아쉬운 소식이었습니다.
스마트폰 성장으로 인한 콤팩트 카메라 시장의 축소, 카메라시장에서의 1위 소니,캐논,니콘등과의 힘겨운 경쟁으로 삼성전자는 카메라 사업을 철수하게 됩니다.
●화학 및 방산사업
2014년, 삼성과 한화는 2조원 규모의 초대형 M\u0026A 계약이 맺었습니다. 한화그룹은 삼성종합화학(현 한화종합화학)과 삼성토탈(현 한화토탈), 삼성테크윈(현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삼성탈레스(현 한화시스템)을 인수했습니다. 삼성은 비주력 사업중 고전하고 있던 화학과 방산 부문을 과감히 정리했습니다.
불확실한 업황 전망에 대한 우려와 삼성 계열사 직원들의 합병 관련 위로금 문제 등 잡음은 있었으나 현재는 삼성과 한화 사이의 이 초대형 M\u0026A는 '신의 한 수'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습니다. 한화그룹은 인수합병 발표 약 2년 만에 대규모 흑자를 달성합니다. 화학과 방산 부문이 주력이던 한화는 몸집을 불리고 효율성을 올렸고, 삼성은 주력사업에 집중할 수 있었습니다.
#삼성그룹 #르노삼성자동차 #삼성카메라
박가륜 : 삼성이 조미료 사업에도 미원한테 밀렸지 싶은데ㅋㅋㅋ
Rock Steel : 야무진은 삼성의 최대 흑역사 작품입니다.
나다 : 갑자기 카메라 하니까 생각난건데 카메라 일본이 다 가지고있는데 카메라는 안막고 반도체만 막을라고 하는 아베
똥쟁 : 발음 꼬이지말고 대본을 좀 천천히 읽으이소
n STUDIO : 1
잘나갔던 뉴SM5 시절이여~ 삼성차는 왜 몰락했을까?
중고차 딜러 17년차가 들려주는 중고 자동차 이야기
중고차 딜러의 시선으로 보는 삼성차 이야기입니다.
뉴SM5 시절 잘나갔었던 그 시절이 생각나서 이야기 해 보았습니다.
재밌게 봐주세요
딜러 항상 모집중
시니어 딜러 환영
자세한 문의는 카카오톡 @성원차로 연락주세요.
카카오톡 플러스 친구를 통해 원하는 차량을 찾아보세요 : http://pf.kakao.com/_ESWcj/chat
배경수 : Sm7 뉴아트는 명차!
태랑 : 옛날 1세대 sm5 , 현재 11년식 sm5 오너에요.너무 공감합니다.
Adios Amigo : 삼성차는 닛산자동차 까지만 좋은 중형차
르노자동차는 저품질 원가절감의 아반테 수준
타켓을 잡을때 똑똑한 회장이라면.. 원가절감만이 능사가 아닌 소형차 시장은 르노계열로
중대형차는 닛산계열로 했어야
삼성자동차는 영원했을것입니다.
토리햄 : 연비가 쓰레기인데
철염 : 삼성이라고 붙히지도 말아야됨 지금은.르노 프랑스 회사 차임. 솔까 정신차리고 한다고해도 현제 시점에서 현기 기술력 못따라감. 14년 이후부터 나온 현기차들은 클라스가 넘사라. 그전까진 현기가 기술력이 딸려서 욕좀 먹었지만. 솔까 르노삼성은 sm5 임프까지가 맞는말임. 그이후는 엔진 마력도 차이가 너무 나고 거기다 내구성 약한 cvt미션 넣어놔서 한국사람들 운전스탈에는 전혀 안맞음 수리비는 오지게 비싸서 고장나면 수리비는 몇백이고. 중고차 나온 매물이 대부분 미션 사망 시점에서 팔고있으니 사는사람만 호구되는거구. 참 sm6 기대했지만 참 외형에만 돈쓰고 내부 부품은 처참한 지경; 그냥 르노에서 이제 싼 재료로 외관만 이쁘게 만들어놔서 파는 전략으로 가는듯. ㅋㅋ지식없는 외형빠 호갱들 많이 물긴했는데 내구성 엄청 따지는 중고시장에선 암울 그자체. 진짜 중고차 넘길때 피눈물 흘리는 차로 몰락함 진짜 정신차리고 예전 내구성 왕이라는 타이틀을 가져가는 전략으로 가야지 ;; 이건머 오히려 반대의 길을 걷고 있으니 ;;
린하 : 전 sm5뉴임프 06년식sm7 타봤는데 차는 좋았어요 sm7은 너무 잔고장이 많이나고 3.5리 차는 잘나가는데 기름을 너무먹음
굿굿 : 뉴임프까진 상당히좋은차였음
뉴에스엠5 라구나부터
디자인이 완전구려지기 시작했고
실내재품들이 싸구려티가 너무나고
허접해지기 시작하더니
서비스처리도 뭐같다고 말이점점 나오기시작
디자인은구리고 매니아차가 되었습니다
임프.뉴임프타고 라구나까지 탔다가
후회많이했죠
중고차 성원 튜브 : 08:47 브라운이 아니라 예전에 나왔던 브로엄이라는 차입니다.
르노삼성자동차 정비료가 비싸다고? 정말일까? 3년가까이 탄 경험담
르노삼성자동차 정비료가 비싸다고? 정말일까? 3년가까이 탄 경험담
Junotezgpad Lee : 비싸요
이회진 : ㅋㅋㅋ자가정비도 힘들다고하던데요?배터리빼놓고 넋놓고있으면 잠기게되는데 그걸풀려면 서비스센타가야하고 또한 그거푸는데도 돈줘야하고 이래저래 정비성은 개그지같아요 그 좋다는 sm520초창기모델도 에어컨필터교체하는데도 뜯을게 장난아니라서 현기보다 정비성은 드럽고 공임비며부품이며 뭐하나 현기보다 나은게 읎어여..돈을 똑같이 받는다는건 뉘집에서 나온말인지??점화플러그며코일이며 부품은 사서 갈수는있지만 부품수급이 잘되려나 모르겠네요
iyaa jeong : 진짜 르노 차 안전합니다 인정 저희 부모님이 sm5타시는데 10만 넘어도 고장없이 안전히 타고 있으세요 그리고 접촉 차사고 1번 있었는데 현대 그랜저랑 그랜저는 앞범퍼 가 쿠킹호일 처럼 다찌그러 젔는데 sm5는 외형상 크게 손상된부분이 적었습니다
코elephant : 살차가 없음 다 똑같음 그래서 안팔리는듯
복덩어리에오 : 부정확한 정보
Kihan Kim : 3년 탔으니까 별로 정비도 안해봤을건데 정비료가 안비싸다고....10년정도 굴리고 현기차와 비교해야지...
옴마니반메훔 : 부품,공임 비싼거 맞습니다
로또1등당첨자 : 정비료는 그렇게 차이 안 납니다 물론 에어컨 필터 않아 특별이 조금도 기술료가 들어가는 건 있지만 대부분 비슷해요 문제는 공식 사업소에서만 수리가 가능한 부분이 있기 때문에 그런 거는 기술료가 조금 더 비쌉니다 일반 카센터보다 블루 핸즈가 더 비싼 것과 같은 원리예요. 잘 알아보면 전문성 있는 일반 카센터나 정비소를 존재합니다 본인이 노력해서 찾지 않아서 그래요 그러면 그렇게 기술로에 대한 부담은 없습니다 문제는 부품값인데 일반적인 소모품 오인류들은 그렇게 비싸지 않지만 문제는 부품입니다 하체 부품 펜 벨트 쪽 점화 코일 점화플러그 등등 이런 부품들이 현대 기아 보다 1.5배 혹은 두 배 정도 비싸요. 예를 든다면 스포티지엔진 미미세트가 한 8만원 될 거에요 그런데 에스엠5는 15만원입니다.
그렇다고 완전히 유지하고못할 정도로 비싼 건 절대 아니고 현대 기아자동차가 너무 저렴합니다. 개인적으로 르노나 쉐보레 차 탄다고 그렇게 경제적으로 부담되거나 진짜 그 정도 절대 아니에요. 이 정도도 유지 못하면 차타면 안되죠. 자동차는 12만 키로까지 특별이 고장나는 거 별로 없습니다.
김치앤파전 : 근거없는 주장이라서 아쉽네요. 이유나 예시를 좀 들어주시지...
aa : 르노차 사시는분들 참고하세요
르노는 다른차들과 다르게 엔진룸 작업환경이 특이하게 구성되어있어서 간단한 에어컨필터 교체하는데도 다른부분을 들어내게끔 설계가 되어있어요.
이와같은 문제에 기본 공임료와 부품비가 비슷한 가격대에 형성되어있더라도 시간소요가 늘어나게되면서 자연스럽게 비용이 증가하게 됩니다.
국내에 생산이 단종되거나 구하기 어려운부품의 경우에는 프랑스나 일본에서 들여와야하기때문에
배or비행기 타고넘어오는값+관세가 붙어서 비싸지는거고요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 증권자문 경제전문가 뚝심
●뚝심블로그: https://blog.naver.com/ttukssim_tv
●오늘 영상이 많은 도움 되셨나요?? 구독 부탁드립니다.
삼성은 누구나 인정하는 대한민국의 1등 글로벌기업인데요.
1938년 대구의 '삼성상회'에서 시작한 삼성은 대부분의 사업을 성공시켰습니다.
하지만 그런 삼성조차 야심차게 시작한 사업이었으나 결국 접거나 팔 수밖에 없었던 사업이 있는데요.
●르노삼성자동차
자동차 사업 진출은 삼성의 오랜 숙원이었습니다. 삼성그룹은 1993년 6월에 승용차 사업 진출을 공식화하고 이듬해 4월에 일본 닛산자동차와 승용차 기술 도입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1998년에 출시한 중형차 SM5를 시작으로 하여 2002년 준중형차 SM3, 2004년 준대형차 SM7 등 SM(Samsung Motors) 시리즈를 출시하였습니다.
그러나 SM5는 시기가 좋지 않았습니다. IMF 경제 위기가 시작된 것이 1997년 이때가 바로 SM5가 출시되기 직전이었기 때문인데요. 국가부도가난 최악에 경제난 속에
자동차가 선전은 힘든 환경이었습니다. 결국 삼성자동차는 1997년 외환 위기를 겪은 뒤 1999년 12월에 법정관리가 시작되었습니다.
결국 삼성자동차는 프랑스 르노사에 매각되었고, 2000년 9월에 '르노 삼성 자동차'로 이름을 바꾸게 됩니다. 르노그룹이 주식 지분의 79.9%를 소유하고 있으며, 삼성카드는 19.9%정도 지분을 보유 하게됩니다.
르노삼성자동차는 2000년 7월 삼성전자 및 삼성물산과 삼성그룹 상표 사용계약을 체결했는데요. 프랑스 르노는 지난 2000년 삼성자동차를 인수할 당시 국내 시장 안착을 위해 연간 매출액의 0.8%를 사용료로 지급하고, 삼성 브랜드를 사용한다는 10년 단위의 계약을 체결했는데요.
재계약이 다가오는 2020년에는 르노가 재계약 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 이제는 오리지날 르노자동차 상표로 만날 확률이 커보입니다.
●삼성카메라
삼성은 1970년대 말부터 쭉 카메라를 만들어왔습니다. 1979년에는 일본의 미놀타사와 기술제휴를 맺어 만든 '하이매틱-S'를, 1985년에는 순수 자체 기술로 생산한 콤팩트 카메라 'SF-A'를 선보였죠.
1993년부터는 디지털카메라 연구에 들어갔고, 1997년에 이르러 41만 화소의 첫 디지털카메라를 출시했습니다. 2010년에는 카메라 사업부와 캠코더 사업부가 통합된 삼성 디지털 이미징 사업부가 삼성전자 산하로 들어왔고, 미러리스 카메라 개발에 주력하며 국내 판매량 1위를 차지하기도 했는데요. .
문제는 카메라 특허기술이 대부분 일본에 있기 때문에 라이센스비용등으로 큰 돈을 벌지 못하고 적자를 기록하게 됩니다.
결국 2015년부터 삼성전자가 카메라 사업에서 손을 뗄 거라는 소식이 돌기 시작햇습니다. 삼성전자는 이를 부인했지만 더 이상 신제품은 나오지 않았고, 2017년에는 디지털카메라의 생산·판매를 중지한다는 삼성전자의 공식 발표가 나옵니다. 의외로 가성비가 좋았던 삼성카메라 팬들에게는 아쉬운 소식이었습니다.
스마트폰 성장으로 인한 콤팩트 카메라 시장의 축소, 카메라시장에서의 1위 소니,캐논,니콘등과의 힘겨운 경쟁으로 삼성전자는 카메라 사업을 철수하게 됩니다.
●화학 및 방산사업
2014년, 삼성과 한화는 2조원 규모의 초대형 M\u0026A 계약이 맺었습니다. 한화그룹은 삼성종합화학(현 한화종합화학)과 삼성토탈(현 한화토탈), 삼성테크윈(현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삼성탈레스(현 한화시스템)을 인수했습니다. 삼성은 비주력 사업중 고전하고 있던 화학과 방산 부문을 과감히 정리했습니다.
불확실한 업황 전망에 대한 우려와 삼성 계열사 직원들의 합병 관련 위로금 문제 등 잡음은 있었으나 현재는 삼성과 한화 사이의 이 초대형 M\u0026A는 '신의 한 수'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습니다. 한화그룹은 인수합병 발표 약 2년 만에 대규모 흑자를 달성합니다. 화학과 방산 부문이 주력이던 한화는 몸집을 불리고 효율성을 올렸고, 삼성은 주력사업에 집중할 수 있었습니다.
#삼성그룹 #르노삼성자동차 #삼성카메라
박가륜 : 삼성이 조미료 사업에도 미원한테 밀렸지 싶은데ㅋㅋㅋ
Rock Steel : 야무진은 삼성의 최대 흑역사 작품입니다.
나다 : 갑자기 카메라 하니까 생각난건데 카메라 일본이 다 가지고있는데 카메라는 안막고 반도체만 막을라고 하는 아베
똥쟁 : 발음 꼬이지말고 대본을 좀 천천히 읽으이소
n STUDIO : 1
잘나갔던 뉴SM5 시절이여~ 삼성차는 왜 몰락했을까?
중고차 딜러 17년차가 들려주는 중고 자동차 이야기
중고차 딜러의 시선으로 보는 삼성차 이야기입니다.
뉴SM5 시절 잘나갔었던 그 시절이 생각나서 이야기 해 보았습니다.
재밌게 봐주세요
딜러 항상 모집중
시니어 딜러 환영
자세한 문의는 카카오톡 @성원차로 연락주세요.
카카오톡 플러스 친구를 통해 원하는 차량을 찾아보세요 : http://pf.kakao.com/_ESWcj/chat
배경수 : Sm7 뉴아트는 명차!
태랑 : 옛날 1세대 sm5 , 현재 11년식 sm5 오너에요.너무 공감합니다.
Adios Amigo : 삼성차는 닛산자동차 까지만 좋은 중형차
르노자동차는 저품질 원가절감의 아반테 수준
타켓을 잡을때 똑똑한 회장이라면.. 원가절감만이 능사가 아닌 소형차 시장은 르노계열로
중대형차는 닛산계열로 했어야
삼성자동차는 영원했을것입니다.
토리햄 : 연비가 쓰레기인데
철염 : 삼성이라고 붙히지도 말아야됨 지금은.르노 프랑스 회사 차임. 솔까 정신차리고 한다고해도 현제 시점에서 현기 기술력 못따라감. 14년 이후부터 나온 현기차들은 클라스가 넘사라. 그전까진 현기가 기술력이 딸려서 욕좀 먹었지만. 솔까 르노삼성은 sm5 임프까지가 맞는말임. 그이후는 엔진 마력도 차이가 너무 나고 거기다 내구성 약한 cvt미션 넣어놔서 한국사람들 운전스탈에는 전혀 안맞음 수리비는 오지게 비싸서 고장나면 수리비는 몇백이고. 중고차 나온 매물이 대부분 미션 사망 시점에서 팔고있으니 사는사람만 호구되는거구. 참 sm6 기대했지만 참 외형에만 돈쓰고 내부 부품은 처참한 지경; 그냥 르노에서 이제 싼 재료로 외관만 이쁘게 만들어놔서 파는 전략으로 가는듯. ㅋㅋ지식없는 외형빠 호갱들 많이 물긴했는데 내구성 엄청 따지는 중고시장에선 암울 그자체. 진짜 중고차 넘길때 피눈물 흘리는 차로 몰락함 진짜 정신차리고 예전 내구성 왕이라는 타이틀을 가져가는 전략으로 가야지 ;; 이건머 오히려 반대의 길을 걷고 있으니 ;;
린하 : 전 sm5뉴임프 06년식sm7 타봤는데 차는 좋았어요 sm7은 너무 잔고장이 많이나고 3.5리 차는 잘나가는데 기름을 너무먹음
굿굿 : 뉴임프까진 상당히좋은차였음
뉴에스엠5 라구나부터
디자인이 완전구려지기 시작했고
실내재품들이 싸구려티가 너무나고
허접해지기 시작하더니
서비스처리도 뭐같다고 말이점점 나오기시작
디자인은구리고 매니아차가 되었습니다
임프.뉴임프타고 라구나까지 탔다가
후회많이했죠
중고차 성원 튜브 : 08:47 브라운이 아니라 예전에 나왔던 브로엄이라는 차입니다.
르노삼성자동차 정비료가 비싸다고? 정말일까? 3년가까이 탄 경험담
르노삼성자동차 정비료가 비싸다고? 정말일까? 3년가까이 탄 경험담
Junotezgpad Lee : 비싸요
이회진 : ㅋㅋㅋ자가정비도 힘들다고하던데요?배터리빼놓고 넋놓고있으면 잠기게되는데 그걸풀려면 서비스센타가야하고 또한 그거푸는데도 돈줘야하고 이래저래 정비성은 개그지같아요 그 좋다는 sm520초창기모델도 에어컨필터교체하는데도 뜯을게 장난아니라서 현기보다 정비성은 드럽고 공임비며부품이며 뭐하나 현기보다 나은게 읎어여..돈을 똑같이 받는다는건 뉘집에서 나온말인지??점화플러그며코일이며 부품은 사서 갈수는있지만 부품수급이 잘되려나 모르겠네요
iyaa jeong : 진짜 르노 차 안전합니다 인정 저희 부모님이 sm5타시는데 10만 넘어도 고장없이 안전히 타고 있으세요 그리고 접촉 차사고 1번 있었는데 현대 그랜저랑 그랜저는 앞범퍼 가 쿠킹호일 처럼 다찌그러 젔는데 sm5는 외형상 크게 손상된부분이 적었습니다
코elephant : 살차가 없음 다 똑같음 그래서 안팔리는듯
복덩어리에오 : 부정확한 정보
Kihan Kim : 3년 탔으니까 별로 정비도 안해봤을건데 정비료가 안비싸다고....10년정도 굴리고 현기차와 비교해야지...
옴마니반메훔 : 부품,공임 비싼거 맞습니다
로또1등당첨자 : 정비료는 그렇게 차이 안 납니다 물론 에어컨 필터 않아 특별이 조금도 기술료가 들어가는 건 있지만 대부분 비슷해요 문제는 공식 사업소에서만 수리가 가능한 부분이 있기 때문에 그런 거는 기술료가 조금 더 비쌉니다 일반 카센터보다 블루 핸즈가 더 비싼 것과 같은 원리예요. 잘 알아보면 전문성 있는 일반 카센터나 정비소를 존재합니다 본인이 노력해서 찾지 않아서 그래요 그러면 그렇게 기술로에 대한 부담은 없습니다 문제는 부품값인데 일반적인 소모품 오인류들은 그렇게 비싸지 않지만 문제는 부품입니다 하체 부품 펜 벨트 쪽 점화 코일 점화플러그 등등 이런 부품들이 현대 기아 보다 1.5배 혹은 두 배 정도 비싸요. 예를 든다면 스포티지엔진 미미세트가 한 8만원 될 거에요 그런데 에스엠5는 15만원입니다.
그렇다고 완전히 유지하고못할 정도로 비싼 건 절대 아니고 현대 기아자동차가 너무 저렴합니다. 개인적으로 르노나 쉐보레 차 탄다고 그렇게 경제적으로 부담되거나 진짜 그 정도 절대 아니에요. 이 정도도 유지 못하면 차타면 안되죠. 자동차는 12만 키로까지 특별이 고장나는 거 별로 없습니다.
김치앤파전 : 근거없는 주장이라서 아쉽네요. 이유나 예시를 좀 들어주시지...
aa : 르노차 사시는분들 참고하세요
르노는 다른차들과 다르게 엔진룸 작업환경이 특이하게 구성되어있어서 간단한 에어컨필터 교체하는데도 다른부분을 들어내게끔 설계가 되어있어요.
이와같은 문제에 기본 공임료와 부품비가 비슷한 가격대에 형성되어있더라도 시간소요가 늘어나게되면서 자연스럽게 비용이 증가하게 됩니다.
국내에 생산이 단종되거나 구하기 어려운부품의 경우에는 프랑스나 일본에서 들여와야하기때문에
배or비행기 타고넘어오는값+관세가 붙어서 비싸지는거고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