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나마항공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방울토마토 조회 4회 작성일 2021-01-28 17:49:03 댓글 0

본문

파나마운하 빠르게 통과하는 선박 ㅋㅋㅋ !!! - Let's take a quick look at the ships passing through the Panama Canal!

파나마운하를 빠르게통과하는 선박을 함 보자 !!! - Let's take a quick look at the ships passing through the Panama Canal!

파나마 운하 확장 개통…한국 건조배 첫 통과 / SBS

태평양과 대서양을 잇는 파나마 운하가 102년 만에 확장 개통했습니다. 넓은 운하를 하나 더 만들었는데, 공사 과정을 살펴보면 우리나라와 인연이 참 많습니다.

▶ SBS NEWS 유튜브 채널 구독하기 : https://goo.gl/l8eCja

▶대한민국 뉴스리더 SBS◀
홈페이지: http://news.sbs.co.kr
페이스북: http://www.facebook.com/sbs8news
트위터: http://www.twitter.com/sbs8news

배가 산을 넘어간다?! (실제 존재하는 이것)

#수에즈운하 #파나마운하 #말라리아 #모기

비극의 공사 파나마 운하

이미 효기심의 여러 영상을 통해 아시겠지만
1400년대 후반 포르투갈의 바스코 다 가마를 시작으로 수 많은 서구열강들이 식민지 쟁탈과 향신료 무역에 미쳐있었던 대항해시대
때문에 수 많은 서구열강들은 인도로 가는 것에 환장했었습니다.
수 많은 사람들이 인도를 가다가 죽어가면서
이곳만 와도 인도로 갈 희망이 보인다고하여 부르게된 남아프리카공화국의 희망봉
그 희망봉 찍고 가던 그 멀고도 멀던 인도항로는


수에즈 운하 개통
1869년 11월17일

그 유명한 이집트의 수에즈운하가 개통되면서 오지게 짧아집니다.
이 수에즈운하의 공사는 당시 프랑스에서 맡았었는데
페르디낭 드 레셉스(Ferdinand de Lesseps)
1805-1894

이집트로부터 운하개발을 허가받은 프랑스의 엔지니어 이자 외교관이었던 페르디낭 드 레셉스
그는 10년만에 수에즈 운하를 완공합니다.


그런데

유럽에서 인도로 향하는 통로가 이제 만들어지긴 했는데
생각해보니 지구에서 가장 거대하다는 바다
태평양과 대서양을 가로지르는 운하는 없었습니다.

1869년 완공된 193km의 수에즈운하와 더불어 대표적인 운하인 파나마 운하
수에즈운하 건설로 소문 오지게 자자했던 이 아저씨가 파나마 운하 건설하는 것 까지 따오게됩니다.

그런데


파나마 운하 공사에서 만 총

21900여명 사망
2만명이 넘는 건설노동자가 사망합니다.
도대체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


바로 이렇게 생긴 기생충들이 바글바글하게 기생하게 되는 질환.
말라리아 였습니다.

그 이전 이집트의 수에즈운하는 그냥 위아래없이 직선으로 쭉가면 되는데
파나마운하는 산을 깍아야 했습니다.
그래서 원래 공사할 때 수에즈 운하처럼 수평식 출착방식을 하려고 산 오지게 깍았던 것을 너무 에바여서 갑문식 방식으로 변경했는데
저렇게 구역별로 나눠놓고 배가 오면 물을 채워서 올리고 앞으로 가고 또 물을 채워서 올리고 앞으로 가게해서
산 정상에 물 오지게 많은 곳까지 계단식으로 가게 만들어서 똑같은 방식으로 이제 내려가는 방식의 운하로 말이죠.
그렇게 산에 땅파면서 공사하다보니 구덩이에

바로 말라리아의 매개체. 모기가 알을 오지게 까댔습니다.
당시 공사하던 사람들은 말라리아가 더러운 물과 개미 때문에 생긴다고만 생각해서
개미죽이는거에만 혈안이 되어있었고 모기야 물려도 가렵다 정도로만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대한의학회 자료에 따르면 현재 전 세계 인구의 절반에 가까운 33억명이 말라리아 발생 위험지역에서 살면서

3-5억명
매년 3억에서 5억명이 감염된다고 합니다.
다들아시다시피 말라리아는 모기를 매개체로 저렇게 생긴 기생충들이 적혈구에서 기생하게되는 병입니다.
과거에는 모기때문에 정말 수 많은 사람들이 죽어 갔지만 그나마 현재는 말라리아 치료약이 개발되었는데

모기 : 100만명 이상
살인 : 47만명
그럼에도 불구하고 매년 100만명 이상이 사망하고 있습니다.
말라리아치료약이 제대로 보급되지 않는 아프리카같은 지역 때문에 말이죠.

우리나라도 현재 비무장지대와 가까운 지역일 수록 잘 걸릴 수 있는 병인데
2016년 기준 대한민국에서도 600명의 환자나 발생했다고 합니다.

현재 말라리아의 예방백신은 없지만 치료약들이 개발된 덕분에 수 많은 사람들의 목숨을 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최근 효기심은 말라리아와 관련해서 흥미로운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즉 2016년부터18년 사이에 파주 연천 강화 철원에서 6개월 이상 숙박한 사람은
6개월 미만도 1년간 헌혈을 할 수 없습니다.
즉 말라리아가 걸릴 수 있는 위험한 지역으로 지정된 곳에 거주하거나 숙박을 했던 사람들은 헌혈을 한동안 못한다는거죠.

특히나 봉사활동 헌혈로 퉁치려는 대학생들이 꽤 많은 것으로 알고 있는데
해외여행지역 또한 예외가 아니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정치학과에서 투키디데스 라는 역사가가 쓴 펠레폰네소스전쟁사를 읽게하기도 하는데
바로 아테네와 그 유명한 스파르타의 전쟁이죠.
당시 아테네는 허무하게도 무려 인구의 1/3이 죽으면서
전쟁까지 지게됩니다

이번 영상은 인류를 구한 12가지 약이야기 책을 참고하여 제작되었습니다.


--------------------------------------------------------------------------
★ 알람설정 알람설정 알람설정 알람설정 알람설정 알람설정 알람설정 해야 알람이 갑니다.

★ 소재보내는 곳 : hyosaki@hanmail.net
★ 효기심 공식주소 : (우편번호:04783)서울 성동구 연무장15길 11 에스팩토리 B동 2층(받는 사람 : 효기심)

COPYRIGHT ⓒ 2017 HYOGISIM ALL RIGHTS RESERVED

... 

#파나마항공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3,704건 1051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www.uljinpension.kr. All rights reserved.  연락처 : cs@ep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