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래시게임개발
페이지 정보
본문
인디게임 개발하고 싶은데 막막한 사람들만 보세요 (비전공자 Ver) #까까모리의_게임회사_이야기
인디게임 리뷰 문의 : qweas2@naver.com
후원 : https://toon.at/donate/636860519115912396
안녕하세요 까까모리 입니다.
이번엔 게임에 대한 아이디어는 있지만, 개발에 대해 막막하신
분들을 위해 영상을 만들어봤습니다.
무엇을 공부해야 하는지와 그 이유에 대해서 얘기 해봤는데,
다음 영상에는 공부를 마치고, 게임을 만들고 싶은데
어디서부터 무엇을 시작해야 할지 막막한 분들을 위한 정보를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영상 유익하게 보셨다면 구독과 좋아요 알람설정 부탁드립니다 ^^
까까모리 : 이 영상에 댓글을 달아주시는 많은 현직 개발자 분들께 말씀드립니다.
이 영상에 나온 방식이 불편하시거나 다른 방식을 제시 또는 제안 하시는 분들은
제발 부탁인데 시비조로 댓글 달지 말아주세요.
니가 틀렸다느니 내가 맞았다느니 왜 저 공부를 다 하냐느니
그렇게 잘나고 잘 아시는 분들은 뭐하시다가 이제와서 시비걸면서
댓글로 사람 기분 더럽게 만드시는지 모르겠지만,
그렇게 대단하시는 분들이시면 이런 영상 왜 안만들고,
이제와서 여기에 댓글로 태클 거시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냥 편하게 유니티에 C#만 배워도 게임 개발 가능한데
뭐하러 C,C++,Java다 배워야되냐 얘기하시는분들
제발 부탁인데 인정을 하세요.
인디게임은 개발 아닙니까?
개발 기초 닦고 반복학습 하면 더 좋으니 제 생각엔 그렇게 하는게 좋다.
기초 없이 취업한 사람과도 일해봐서 어떤 문제가 있는지 알고 있기에
이렇게 하는게 더 좋다라고 말씀드린건데
취미로 만드는 인디게임에 무슨 C,C++,Java냐 하세요.
취미 아닙니다. 취업, 이직, 1인 개발 모두 포함된 비전공자 입니다.
자기들의 잣대로만 자기들의 기준으로만 생각하고 댓글 달지 마세요.
저도 현직자였고 전공자였습니다.
쉬운길로 가는거 모르는것도 아니고, 그게 독이든 사과인지 달콤한 사과인지도
누구보다 잘 알아요.
그래서 쉬운길보다 어렵더라도 시간이 걸리더라도 기왕할거라면
기초부터 쌓는게 좋다고 생각하는 사람입니다.
C#에 유니티만 공부해서 게임 만드셔도 됩니다.
그것도 방법이에요. 시간 짧게 걸리고 게임 만들 수 있어요.
근데 수익이 나는 게임 만드시려면 어쨌든 똑같이 고생할겁니다.
문제 해결 능력도 기초를 쌓은 사람보다 떨어질 것이고,
확장성 또한 뒤쳐지는건 사실입니다.
선택은 본인이 하시면 되고, 어떤 것이 더 좋고 나쁘다보다 본인 상황에 맞는 것을
영상을 보는 사람이 알아서 선택할텐데,
정작 당사자도 아니면서 왜 대신 결정하려 듭니까.
비방은 개발자이기 이전에 인성의 문제입니다.
다른 방법과 방향이 있다면 충분히 이쁜 말로 할 수 있어요.
저는 약간 다른 의견이 있습니다. 라던지,
저는 까까모리님과 다른 방법을 추천하고 싶습니다 라던지,
충분히 서로 기분좋게 저렇게 할 수도 있다.
얘기할 수 있는데, 배웠다고 하는 사람들이 "저걸 뭐하러 다 공부하냐?"
"이 방법은 틀렸다. 내가 맞다."
일단 까면서 얘기하는 몇 명 때문에 최근 스트레스가 극심 합니다.
내가 틀렸다고 치고 당신들이 그럼 만드세요.
대단하신 분들이니까 기대하겠습니다.
그리고 개발 관련을 떠나서 인성부터 챙기세요.
저도 사람한테만 사람대접 합니다. 지금 사람같지도 않은 사람들한텐 사람 대접 안하겠습니다.
써칭용 : 우연히 들어와서 영상 잘 봤습니다. ^^
영상을 보신 분들에게 몇가지 말씀드리자면
1. 다른건 몰라도 C언어는 배우는게 좋다고 봅니다. 딱 '포인터'에 대한 개념때문이에요.
2. 언어를 배울때는 2가지 능력이 필요한데
1) 문법/개념
2) 로직/활용
이 두가지를 혼용해서 가르치기때문에 입문자분들이 포인터에서 많이 막힙니다.
포인터의 개념은 '변수의 주소'를 담는 변수에요.
좀더 깊게 들어가면 변수에는 이름,값,주소의 3요소가있고 어쩌구 하는데 댓글로 쓸건 아니니 짧게 줄이고요.
저 포인터의 개념을 기반으로 '활용'을 하게 됩니다.
대표적으로 함수에 콜바이레퍼런스로 넘겨서 return 하지 않아도 값을 적용한다던가,
동적할당할때 써서 스택영역이 아닌 힙영역으로 보낸다던가 (스택영역은 할당크기제한때문에 고용량 ex)이미지등 은 힙영역으로 할당해야함)
다양한 활용이 있죠.
원래 printf, scanf, if, for~ 쭉쭉 배울때는 딱 문법/개념만 배우고 이후에 프로그램을 만들어보면서 로직/활용법을 배워야하는데 포인터 알려주면서 활용법을 끼워넣으니 이게뭐지? 싶어지는거죠.
이부분에대해서 아마 어딜가도 제대로 알려주는곳이 없을겁니다. 프로그래밍관련 교육학이 그리 발달하지 않아서요...
c언어 배울때는 딱 c언어 문법과 개념에 대해서 알고, 이후 직접 프로그램을 개발해가면서 활용법을 깨닳는 형태로 학습하시면 자연스럽게 프로그래밍 실력이 향상되실 겁니다.
아 마지막으로 드리고싶은말은
다 배우고 게임개발하려고 하지마세요. 배우는 과정에서 지금까지 배운지식만으로 개발하려고 해보세요. 그러다 막히면 필요한걸 찾고 또 만들다가 막히면 필요한걸 찾으면서 영역을 넓히세요.
LESPL : 감사합니다. 현재 고등학교 2학년이고 게임하는게 좋다보니 게임에 불만도 생기고해서 직접 내가 만들어보자 하고 프로그래머 꿈 잡은게 중3 때였습니다. 막연하게 언어 좀 공부하면 된다고 생각했는데 이렇게 확실하게 단계를 보니까 계획 잡고 공부해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덕분에 제 꿈에 대해서 제대로 고민하게 됐습니다.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이윤재 : 공감합니다ㅠㅠ 저도 비전공자로 개발 취업 준비하는 사람인데 거의 3년째 C/C++ DirectX 유니티 언리얼 하고 있지만 하면서도 또 해야될게 늘어나고 있어요ㅋㅋㅋ 그래도 하다보면 나름 재밌어 져요
Steve : 취미로 게임을 만들어보고 싶은데 프로그래밍 언어를 공부해야 한다는 말을 듣고 겁을 먹거나 포기할 필요 전혀 없어요. 프로그래밍 잘 몰라도 개발할 수 있는 엔진들이 있어요. 일단 그런것들로 만들면서 먼저 게임제작의 재미를 느껴 보세요. 좀더 복잡한 게임을 만들어보고싶다는 마음이 서면 그때 가서 배우시면 됩니다.
도대체 플래시게임이 종료되는 진짜 이유가 뭘까? 정말 보안문제일까..? 완벽정리 (2020 어도비 플래시 종료)
야후꾸러기, 쥬니어네이버에 이어 2020년 어도비 플래시가 종료됩니다. 플래시게임 종료 그 이유에 대해 완벽히 정리해봤습니다.
#플래시 #플래시게임 #야후꾸러기
-타임 스탬프-
0:00 플래시게임 종료의 서막
0:39 플래시가 게임이 되기까지
2:00 플래시애니와 플래시게임
2:34 어도비 플래시 종료의 이유
3:10 어도비 VS 애플의 전쟁
4:44 마이크로소프트 vs 애플
5:58 어도비 모바일 플래시 차단
7:01 플래시에서 HTML5로의 전환
7:27 2020년 12월 31일 플래시 종료
8:10 플래시의 몰락
9:17 왜 플래시게임 방송 같은 걸 하시나요?
제 인생에 정말 큰 한축을 차지했던 플래시게임이 이제는 확실히 시대의 흐름에서 떨어져 추억의 한켠으로 넘어가는 듯 합니다.
수만개 이상의 정말 많은 플래시게임들을 했었는데.. 전부 방송에서 담아낼 수 없게 된 것이 아쉽습니다..
한우리(새한나리) https://www.twitch.tv/hanaly
새한나리 플래시게임 : 0:00 - 타임라인
0:39 플래시가 게임이 되기까지 의 발전
2:00 플래시애니와 플래시게임
2:34 그래서 플래시게임이 없어지는 이유가 뭐냐구요!
3:10 애플 vs 어도비의 전쟁
4:44 마이크로소프트 vs 애플
5:58 어도비 모바일 플래시 차단
7:27 12월 31일 플래시 종료 발표
8:10 플래시의 끝없는 몰락 ..
9:17 Q. 왜 플래시게임 방송을 하시나요..?
새한나리 플래시게임 : 플래시가 종료되기까지의 과정과 이유를 구체적으로 설명드리기 위한 영상이다보니
내용이 플래시의 역사와 기업 관계까지 다루고 있습니다!..
고양이 : 오 조회수 별로 없어서 기대 안했는데 영상 진짜 깔끔하고 필요한 정보랑 배경 설명까지 완벽하시네요 ㄷㄷ 원래 이런영상 절대 다 안보는데 간만에 다 보게되네요 크게 되시길
파루키아 : 이젠 진짜 영원한 추억으로만 남겠군요...
야후꾸러기나 많은 플래시 게임들..
1990~2010세대 추억이여 안녕ㅜㅜ
이젠 우리들(90~10년대)만의 즐거운 추억으로만 남을 것 입니다..ㅜㅜ
김Bf-110 : 과격한 레이싱 러너...
플래시 역사상 두번다시 없을 위대한 명작.
지금 플레이 해봐도 진짜 소름돋을정도로 게임 완성도가 매우 높음.
5년 동안 혼자 게임 개발한 사람
이번 영상에서는 지금까지 제가 만들었던 게임들을 정리해보았습니다.
0:00 게임 개발 시작
0:42 [2017]
1. What You Can't Do
2. Never Here Forever
3. 우왁굳의 방송게임
4. 사흘만 볼 수 있다면
5. 왁좌의 게임
4:17 [2018]
1. 팬치의 제왕
2. 놀이터의 지배자
3. 티타노마키아
4. Wak need to go Deeper
5. 우주인턴
7:31 [2019~2020]
1. Hi, Quixote
2. 층간소음 게임
3. 쌉벌레들
4. 팔라딘 러쉬
5. Combat Art
6. 스트리머 타운
7. 인과응보
8. 왁과같이
9:00 [2021]
1. 잭 프로스트
2. 승자의 게임
3. 롤 팬게임
4. Keyboard Warrior
5. 마인크래프트 짝퉁
6. S4 팬게임
7. 고군분투 3D
8. 마법학교 게임
다음에 더 재미있는 게임개발일지로 돌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게임개발 #인디게임 #발전과정
아브라카 타브라 : 윤농님 웃으면서 재밌게 게임개발하는 모습 보고 싶습니다! 응원할게요
Sopiro : 왁굳형 팬게임 영상 잘봤어요ㅎㅎㅎ
같은 꿈을 꾸는 사람으로서 응원합니다.
저도 동기부여도 되고 여러모로 가슴이 웅장해지는 영상이었습니다. 모두모두 화이팅~~
최재민 : 꾸준히 하기란 어려운데.. 정말 대단하다고 생각이 듭니다..! 언제나 화이팅!!
정재희 : 와우 성장 과정이 한 눈에 보이네요! 장르 폭도 정말 넓은 것 같은데, 게임 개발자로서 큰 장점 아닐까요?ㅎㅎ 상상한 것을 직접 만들 수 있다는 게 정말 멋있네요!!
YH KIM : 솔직하고 귀여운(?) 영상 잘 봤습니다 저도 이제 막 게임 개발을 시작하고 있는데 뭔가 동기부여가 되네요. 개발하신 게임 중에 사흘만 볼 수 있다면 이라는 게임은 정말 정말 아이디어가 좋은 것 같습니다. 컨셉도 감동적이고 플레이 방식도 정말 독특해요 하키호테도 출시하셨다면 해보고 싶네요
인디게임 리뷰 문의 : qweas2@naver.com
후원 : https://toon.at/donate/636860519115912396
안녕하세요 까까모리 입니다.
이번엔 게임에 대한 아이디어는 있지만, 개발에 대해 막막하신
분들을 위해 영상을 만들어봤습니다.
무엇을 공부해야 하는지와 그 이유에 대해서 얘기 해봤는데,
다음 영상에는 공부를 마치고, 게임을 만들고 싶은데
어디서부터 무엇을 시작해야 할지 막막한 분들을 위한 정보를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영상 유익하게 보셨다면 구독과 좋아요 알람설정 부탁드립니다 ^^
까까모리 : 이 영상에 댓글을 달아주시는 많은 현직 개발자 분들께 말씀드립니다.
이 영상에 나온 방식이 불편하시거나 다른 방식을 제시 또는 제안 하시는 분들은
제발 부탁인데 시비조로 댓글 달지 말아주세요.
니가 틀렸다느니 내가 맞았다느니 왜 저 공부를 다 하냐느니
그렇게 잘나고 잘 아시는 분들은 뭐하시다가 이제와서 시비걸면서
댓글로 사람 기분 더럽게 만드시는지 모르겠지만,
그렇게 대단하시는 분들이시면 이런 영상 왜 안만들고,
이제와서 여기에 댓글로 태클 거시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냥 편하게 유니티에 C#만 배워도 게임 개발 가능한데
뭐하러 C,C++,Java다 배워야되냐 얘기하시는분들
제발 부탁인데 인정을 하세요.
인디게임은 개발 아닙니까?
개발 기초 닦고 반복학습 하면 더 좋으니 제 생각엔 그렇게 하는게 좋다.
기초 없이 취업한 사람과도 일해봐서 어떤 문제가 있는지 알고 있기에
이렇게 하는게 더 좋다라고 말씀드린건데
취미로 만드는 인디게임에 무슨 C,C++,Java냐 하세요.
취미 아닙니다. 취업, 이직, 1인 개발 모두 포함된 비전공자 입니다.
자기들의 잣대로만 자기들의 기준으로만 생각하고 댓글 달지 마세요.
저도 현직자였고 전공자였습니다.
쉬운길로 가는거 모르는것도 아니고, 그게 독이든 사과인지 달콤한 사과인지도
누구보다 잘 알아요.
그래서 쉬운길보다 어렵더라도 시간이 걸리더라도 기왕할거라면
기초부터 쌓는게 좋다고 생각하는 사람입니다.
C#에 유니티만 공부해서 게임 만드셔도 됩니다.
그것도 방법이에요. 시간 짧게 걸리고 게임 만들 수 있어요.
근데 수익이 나는 게임 만드시려면 어쨌든 똑같이 고생할겁니다.
문제 해결 능력도 기초를 쌓은 사람보다 떨어질 것이고,
확장성 또한 뒤쳐지는건 사실입니다.
선택은 본인이 하시면 되고, 어떤 것이 더 좋고 나쁘다보다 본인 상황에 맞는 것을
영상을 보는 사람이 알아서 선택할텐데,
정작 당사자도 아니면서 왜 대신 결정하려 듭니까.
비방은 개발자이기 이전에 인성의 문제입니다.
다른 방법과 방향이 있다면 충분히 이쁜 말로 할 수 있어요.
저는 약간 다른 의견이 있습니다. 라던지,
저는 까까모리님과 다른 방법을 추천하고 싶습니다 라던지,
충분히 서로 기분좋게 저렇게 할 수도 있다.
얘기할 수 있는데, 배웠다고 하는 사람들이 "저걸 뭐하러 다 공부하냐?"
"이 방법은 틀렸다. 내가 맞다."
일단 까면서 얘기하는 몇 명 때문에 최근 스트레스가 극심 합니다.
내가 틀렸다고 치고 당신들이 그럼 만드세요.
대단하신 분들이니까 기대하겠습니다.
그리고 개발 관련을 떠나서 인성부터 챙기세요.
저도 사람한테만 사람대접 합니다. 지금 사람같지도 않은 사람들한텐 사람 대접 안하겠습니다.
써칭용 : 우연히 들어와서 영상 잘 봤습니다. ^^
영상을 보신 분들에게 몇가지 말씀드리자면
1. 다른건 몰라도 C언어는 배우는게 좋다고 봅니다. 딱 '포인터'에 대한 개념때문이에요.
2. 언어를 배울때는 2가지 능력이 필요한데
1) 문법/개념
2) 로직/활용
이 두가지를 혼용해서 가르치기때문에 입문자분들이 포인터에서 많이 막힙니다.
포인터의 개념은 '변수의 주소'를 담는 변수에요.
좀더 깊게 들어가면 변수에는 이름,값,주소의 3요소가있고 어쩌구 하는데 댓글로 쓸건 아니니 짧게 줄이고요.
저 포인터의 개념을 기반으로 '활용'을 하게 됩니다.
대표적으로 함수에 콜바이레퍼런스로 넘겨서 return 하지 않아도 값을 적용한다던가,
동적할당할때 써서 스택영역이 아닌 힙영역으로 보낸다던가 (스택영역은 할당크기제한때문에 고용량 ex)이미지등 은 힙영역으로 할당해야함)
다양한 활용이 있죠.
원래 printf, scanf, if, for~ 쭉쭉 배울때는 딱 문법/개념만 배우고 이후에 프로그램을 만들어보면서 로직/활용법을 배워야하는데 포인터 알려주면서 활용법을 끼워넣으니 이게뭐지? 싶어지는거죠.
이부분에대해서 아마 어딜가도 제대로 알려주는곳이 없을겁니다. 프로그래밍관련 교육학이 그리 발달하지 않아서요...
c언어 배울때는 딱 c언어 문법과 개념에 대해서 알고, 이후 직접 프로그램을 개발해가면서 활용법을 깨닳는 형태로 학습하시면 자연스럽게 프로그래밍 실력이 향상되실 겁니다.
아 마지막으로 드리고싶은말은
다 배우고 게임개발하려고 하지마세요. 배우는 과정에서 지금까지 배운지식만으로 개발하려고 해보세요. 그러다 막히면 필요한걸 찾고 또 만들다가 막히면 필요한걸 찾으면서 영역을 넓히세요.
LESPL : 감사합니다. 현재 고등학교 2학년이고 게임하는게 좋다보니 게임에 불만도 생기고해서 직접 내가 만들어보자 하고 프로그래머 꿈 잡은게 중3 때였습니다. 막연하게 언어 좀 공부하면 된다고 생각했는데 이렇게 확실하게 단계를 보니까 계획 잡고 공부해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덕분에 제 꿈에 대해서 제대로 고민하게 됐습니다.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이윤재 : 공감합니다ㅠㅠ 저도 비전공자로 개발 취업 준비하는 사람인데 거의 3년째 C/C++ DirectX 유니티 언리얼 하고 있지만 하면서도 또 해야될게 늘어나고 있어요ㅋㅋㅋ 그래도 하다보면 나름 재밌어 져요
Steve : 취미로 게임을 만들어보고 싶은데 프로그래밍 언어를 공부해야 한다는 말을 듣고 겁을 먹거나 포기할 필요 전혀 없어요. 프로그래밍 잘 몰라도 개발할 수 있는 엔진들이 있어요. 일단 그런것들로 만들면서 먼저 게임제작의 재미를 느껴 보세요. 좀더 복잡한 게임을 만들어보고싶다는 마음이 서면 그때 가서 배우시면 됩니다.
도대체 플래시게임이 종료되는 진짜 이유가 뭘까? 정말 보안문제일까..? 완벽정리 (2020 어도비 플래시 종료)
야후꾸러기, 쥬니어네이버에 이어 2020년 어도비 플래시가 종료됩니다. 플래시게임 종료 그 이유에 대해 완벽히 정리해봤습니다.
#플래시 #플래시게임 #야후꾸러기
-타임 스탬프-
0:00 플래시게임 종료의 서막
0:39 플래시가 게임이 되기까지
2:00 플래시애니와 플래시게임
2:34 어도비 플래시 종료의 이유
3:10 어도비 VS 애플의 전쟁
4:44 마이크로소프트 vs 애플
5:58 어도비 모바일 플래시 차단
7:01 플래시에서 HTML5로의 전환
7:27 2020년 12월 31일 플래시 종료
8:10 플래시의 몰락
9:17 왜 플래시게임 방송 같은 걸 하시나요?
제 인생에 정말 큰 한축을 차지했던 플래시게임이 이제는 확실히 시대의 흐름에서 떨어져 추억의 한켠으로 넘어가는 듯 합니다.
수만개 이상의 정말 많은 플래시게임들을 했었는데.. 전부 방송에서 담아낼 수 없게 된 것이 아쉽습니다..
한우리(새한나리) https://www.twitch.tv/hanaly
새한나리 플래시게임 : 0:00 - 타임라인
0:39 플래시가 게임이 되기까지 의 발전
2:00 플래시애니와 플래시게임
2:34 그래서 플래시게임이 없어지는 이유가 뭐냐구요!
3:10 애플 vs 어도비의 전쟁
4:44 마이크로소프트 vs 애플
5:58 어도비 모바일 플래시 차단
7:27 12월 31일 플래시 종료 발표
8:10 플래시의 끝없는 몰락 ..
9:17 Q. 왜 플래시게임 방송을 하시나요..?
새한나리 플래시게임 : 플래시가 종료되기까지의 과정과 이유를 구체적으로 설명드리기 위한 영상이다보니
내용이 플래시의 역사와 기업 관계까지 다루고 있습니다!..
고양이 : 오 조회수 별로 없어서 기대 안했는데 영상 진짜 깔끔하고 필요한 정보랑 배경 설명까지 완벽하시네요 ㄷㄷ 원래 이런영상 절대 다 안보는데 간만에 다 보게되네요 크게 되시길
파루키아 : 이젠 진짜 영원한 추억으로만 남겠군요...
야후꾸러기나 많은 플래시 게임들..
1990~2010세대 추억이여 안녕ㅜㅜ
이젠 우리들(90~10년대)만의 즐거운 추억으로만 남을 것 입니다..ㅜㅜ
김Bf-110 : 과격한 레이싱 러너...
플래시 역사상 두번다시 없을 위대한 명작.
지금 플레이 해봐도 진짜 소름돋을정도로 게임 완성도가 매우 높음.
5년 동안 혼자 게임 개발한 사람
이번 영상에서는 지금까지 제가 만들었던 게임들을 정리해보았습니다.
0:00 게임 개발 시작
0:42 [2017]
1. What You Can't Do
2. Never Here Forever
3. 우왁굳의 방송게임
4. 사흘만 볼 수 있다면
5. 왁좌의 게임
4:17 [2018]
1. 팬치의 제왕
2. 놀이터의 지배자
3. 티타노마키아
4. Wak need to go Deeper
5. 우주인턴
7:31 [2019~2020]
1. Hi, Quixote
2. 층간소음 게임
3. 쌉벌레들
4. 팔라딘 러쉬
5. Combat Art
6. 스트리머 타운
7. 인과응보
8. 왁과같이
9:00 [2021]
1. 잭 프로스트
2. 승자의 게임
3. 롤 팬게임
4. Keyboard Warrior
5. 마인크래프트 짝퉁
6. S4 팬게임
7. 고군분투 3D
8. 마법학교 게임
다음에 더 재미있는 게임개발일지로 돌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게임개발 #인디게임 #발전과정
아브라카 타브라 : 윤농님 웃으면서 재밌게 게임개발하는 모습 보고 싶습니다! 응원할게요
Sopiro : 왁굳형 팬게임 영상 잘봤어요ㅎㅎㅎ
같은 꿈을 꾸는 사람으로서 응원합니다.
저도 동기부여도 되고 여러모로 가슴이 웅장해지는 영상이었습니다. 모두모두 화이팅~~
최재민 : 꾸준히 하기란 어려운데.. 정말 대단하다고 생각이 듭니다..! 언제나 화이팅!!
정재희 : 와우 성장 과정이 한 눈에 보이네요! 장르 폭도 정말 넓은 것 같은데, 게임 개발자로서 큰 장점 아닐까요?ㅎㅎ 상상한 것을 직접 만들 수 있다는 게 정말 멋있네요!!
YH KIM : 솔직하고 귀여운(?) 영상 잘 봤습니다 저도 이제 막 게임 개발을 시작하고 있는데 뭔가 동기부여가 되네요. 개발하신 게임 중에 사흘만 볼 수 있다면 이라는 게임은 정말 정말 아이디어가 좋은 것 같습니다. 컨셉도 감동적이고 플레이 방식도 정말 독특해요 하키호테도 출시하셨다면 해보고 싶네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