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압케이블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JYP연습생 조회 9회 작성일 2021-12-19 15:24:08 댓글 0

본문

지하공동구 고압케이블 직선접속, 고압케이블 쉴드접지, 고압케이블 편단접지, 고압케이블 종단접속, 고압케이블 단말처리, 고압케이블 탈거, 고압케이블 절단기

#고압케이블_직선접속 #고압케이블_쉴드_접지 #고압케이블_접속

"독고노총각" 의 일상이야기를 비슷하게 패러디 해봤습니다.
음악출처
Music provided by 브금대통령
Track : 시골풍경 -


세상 어디에도 없는 자가치유 고전압 케이블 / YTN 사이언스

고전압의 전선과 전산을 이어주기 위해
실리콘 절연체가 감싸는 구조로 만들어지는 중간접속함.

여기에 자가치유 캡슐을 이용해 케이블을 만들면
전기트리가 발생해도 이를 자가치유해
사고의 위험을 덜 수 있다고 한다.

▶full영상:


#중간접속함#송전케이블#전기트리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394\u0026key=202105201447054722
footstep002 : 문제가 생겼을 때 손대기 어려운 해저 전력 케이블 같은데 적용되도 좋을 것 같네요.
X F : 와 전투기나 전함에 적용하면 좋을것 같아요
ROTHSSHVILI : 건축 소재도 저런식으로 자가치유 개념 적용한게 있던데 솔직히 그댝 근데 고압 전선 피복 같은 경우는 특정 형상이 반드시 유지되야 하는게 아니니 더 유용할 듯 싶네요 단 저런식으로 내구성이 스스로 보강되었다고 해도 저기에 뭔가 추가적으로 유지보수를 TRIGGER하는 뭐가 추가되면 더 좋을 것 같은
원준 : 고맙읍니다
이그레이스 : metal imigration 을 이야기 하나...

전기공사 22.9KV CNCO 탈피 및 접지 결선


김기수 : 와우!!! 대단해요 영상감사합니다 몸건강하세요 힘내세요
김밥 : 케이블 헤드 실명제 도입이 시급합니다.
이호찬 : 접속 초보이신거같은데 조심히하세여
너부리 : 마무리를 보고 싶은데 아쉽네요~영상 잘보고 있습니다~
L드래곤 : 안녕하세요.
다름이 아니고 제가 비계해체 작업중에 특고압케이블 트레이와 ,고압케이블 트레이
(피복선있음) 중간에 설치된 비계를 해체하던중에 (비계와 양쪽 각 케이블 트레이 간의 거리는30cm이하 정도 양쪽) 그 사이를 제가 비계사다리로 올라가는중 감전이 왔는데요. 쎈전기는 아니고 팔중간부위까지 찌릿한정도..
순간 너무 놀라서 관리자에게 바로 말했는데요. 그래서 작업이 중단되었고..
여차여차 전기쪽 책임자들, 관리자들이 와서 제가 말한부분을 정전기로만 몰아가더라구요. 그분들도 책임부분이 있고 특별히 검열할수 있는 장비도 없어서 그런지 몰라도.. 전기가 통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전기쪽 후임한테 맨손으로 만져보라며 시덥잖다는듯 말도안된다는듯이 치부하더군요. 그사람들의 암묵적 논리는 만약 전기가 왔다면 죽었다. 그런 암묵적 논리가 깔려있다고 전 받아들였습니다. 그래서 정전기로치부했고요. 암튼 그렇게 허술하게 조치를 하고 전 멘붕이 와서 밑에있고 저희팀의 다른분들이 다시 작업을 하긴했는데요..
제가 궁금한건 특고압과 고압케이블사이에서 전기가 전 분명히 왔는데 적은 미세 전기가 올수있나요?
물론 절연장갑과 절연화를 신은 상태였습니다.
전 확실히 정전기가 아닌 감전이 왔거든요.
팔중간까지요.
전기에 대해 잘몰라서 여쭈어 봅니다.
전기가 왔다면 특고압과 고압의 전기라서 작은 전기가 아닐건데..
그래서 전기관리자들이 정전기로만 몰아간거 같고요.
너무 찝찝해서 여쭈어봅니다.
전 분명히 전기감전이 왔거든요.
그래서 그날 샤워를 하는데 손발절임이 너무심해서 검색해봐도 정보가 없어서 뇌피셜 극약처방으로 멘발과 멘손을 시멘트바닥에
계속쳐서 제 나름전기를 빼는작업을 하니 손발절임이 거의 사라졌습니다.(느낌)
플라시보 효과인지 실제 전기가 빠졌는지 아는게 없어서 모르겠네요.

... 

#고전압케이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3,993건 881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www.uljinpension.kr. All rights reserved.  연락처 : cs@ep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