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족결혼
페이지 정보
본문
러시아서 100년만에 황실 결혼식…유럽 귀족 등 1천500명 참석 / 연합뉴스 (Yonhapnews)
러시아서 100년만에 황실 결혼식…유럽 귀족 등 1천500명 참석
(서울=연합뉴스) 러시아에서 100년만에 호화로운 황실 결혼식이 열렸습니다.
러시아 마지막 왕조인 로마노프 일가의 후손이 이탈리아인 신부를 맞았는데요.
유럽 전역에서 날아온 귀족과 고위 인사 등 1천500명이 하객으로 참석하면서 성대한 황실의 행사가 눈 앞에서 펼쳐졌습니다.
결혼식은 1일(현지시간) 한때 제정 러시아 시절 수도였던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성 이사크 대성당에서 열렸습니다.
신랑은 제정 러시아 로마노프 왕가의 후손인 게오르기 미하일로비치(40) 로마노프 대공이고, 신부는 빅토리아 로마노브나 베타리니(39)로 이탈리아인입니다.
상트페테르부르크는 1613~1917년 로마노프 왕조가 통치했던 시기에 건설됐습니다. 신랑은 "상트페테르부르크는 러시아의 역사이자 로마노프 왕조의 역사"라고 의미를 뒀습니다.
신부의 드레스에는 제정 러시아 문장이 금으로 수 놓였는데요.
로마노프 왕조는 1613년부터 표트르대제, 예카테리나 여제 등 강력한 지도자를 배출하며 약 300년간 러시아의 황금기를 이끌었으나 1917년 볼셰비키 혁명으로 몰락했습니다.
1918년 러시아의 마지막 황제인 니콜라이 2세와 그 가족들은 혁명 지도자 블라디미르 레닌의 지시로 우랄산맥 인근 도시 예카테린부르크로 유배됐다가 같은 해 7월 혁명군(적군)에 총살당했습니다.
이런 역사 때문인지 러시아 정부는 이번 결혼식에 별다른 입장을 내놓지 않았습니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러시아 정부가 이들 부부를 축하할 계획이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미 일간 워싱턴포스트가 전했습니다.
영상으로 보시죠.
제작: 왕지웅·최수연
영상: 로이터
#연합뉴스#러시아#왕실#결혼식
◆ 연합뉴스 유튜브 : https://www.youtube.com/yonhap
◆ 연합뉴스 홈페이지→ http://www.yna.co.kr/
◆ 연합뉴스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yonhap/
◆ 연합뉴스 인스타 : https://goo.gl/UbqiQb
◆ 연합뉴스 비디오메타 채널https://www.youtube.com/channel/UCTMCrbtHU0M0SR6TuBrL4Pw
연합뉴스 Yonhapnews : 자세한 내용은 글기사로 확인하세요 https://www.yna.co.kr/view/AKR20211002041500009?section=search
송명순 : 왕관을 뒤에서 들고 가는걸보니 조선말 사진속 떠구지를 쓰지않고 시중인이 뒤에서 들고 있던 모습이 떠오릅니다
*앗츄 : 이야 화려하고 멋지구낭~
달과별과 : 저간의 사정이야 어찌됬든 멀리서 보기에는 좋으네
장끝순 : 푸틴..의외로 가만히 있네..신기하다.
중세 사람들의 결혼 생활은 어땠을까?
#역사 #세계사 #중세
이번 영상에서는 중세 사람들의 각종 결혼 생활에 대해서 대뤄보았습니다.
참고자료
Coontz, Stephanie: Marriage, a History: From Obedience to Intimacy or How Love Conquered Marriage, New York 2005
Le Goff, Jacques: L’Europe est-elle née au Moyen Âge?, Paris 2003
Le Roy Ladurie, Emmanuel: Montaillou, village occitan de 1294 à 1324, Paris 1975
술랭 : 진짜 저때나 지금이나 같은 사람들인데
옛날 얘기 듣다보면 이해도 안되고 심지어 소름 끼치는 경우도 있는거 보면
시대상황이나 교육이 사람에게 얼마나 영향을 주는지 알 수 있는거 같음
란멜 : 최근에 빠져서 전 영상 정주행 중이에요..ㅜㅜ 과제 때문에 보게 됐는데, 거의 모든 역사 유투브 영상 중에서도 가장 구체적이고 다양한 자료와 함께 보여주셔서 너무 좋아요!!!! 이 채널이 없었더라면..전 수많은 논문을 읽으며 자잘한 사실 관계를 확인해야했겠죠.. 진짜 만수무강하세요♡♡
ᆞᆞ : 할머니가 옛날에 시장에 가면 대놓고 아내 때리는 남편분이 있었대요 너무 심하면 주변에서 말렸지만 조금 관두다 다시 때렸다고.. 그래서 할머니가 결혼할때 안때리는 남자랑 결혼해 달라고 빌었다고 해요 실제 결혼할때 제대로 알지도 못한 사람이랑 결혼했지만(시대상) 할아버지가 상냥하셔서 행복하다 하셨어요
할아버지는 우체부 공무원이셨지만 할머니가 시장에서 장사하셨다고 해요 그때나 지금이나 맞벌이가 많았다는걸 이영상 보고 깨달았네요
어디든가즈아!! : 우리가 생각지도 못했던 내용들에 대해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어떤 책에서도 이런 내용은 보지 못했던 것 같네요. 지금의 결혼생활과 비교해가며 동영상을 보니 훨씬 재미가 있습니다. 물론 현대에 태어난 것이 다행이구요^^
Klaus Feuermann : 보카치오의 "데카메론"에 나오는 이야기 중 마지막 100번째 이야기입니다. 이 책을 중세적 삶의 본보기로 삼는 건 상당히 위험한 발상입니다. 물론, 중세스러운 이야기도 많지만, 살라딘의 '반지 우화'와 같은 反바티칸적인 이야기나, 요즘 수준의 포르노그래피, 사드의 "소돔 120일"에도 등장하는 스너프 필름류의 이야기도 많이 실려 있습니다.
2022 0204 미국이야기 11 - 운명의 갈림길, 그들의 선택은?
#토머스페인 #상식 #해밀턴 #결투 #프랑스혁명 #이신론 #사생아
▶구독하기 : https://bit.ly/2BYyyzG
▶네이버블로그 : https://blog.naver.com/jeanpk
Kate Huh : 샌프란시스코에서 오랜동안 살면서도 미국역사를 이렇게 자세히 알지 못했는데 선생님 덕분에 매주 즐거운 시간을 가지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선생님의 강의가 기대 됩니다.
건강하시고 자주 뵙기를 바랍니다.
okdango.k. : 항상 유익하고 재미있는 강의 머리숙여 감사드립니다!!
만차딜러 : 감사합니다. 선생님. 항상 다음 시간이 기대됩니다. 비교하여 설명하여주시니 더욱 이해가 잘 되는 것 같습니다. 한국어를 잘 이해하는 미국인이라면 더욱 좋아할 내용들이네요. 중간중간에 언급한 책들도 언젠가는 구입하여 죽기전에 꼭 읽어보아야 할 것 같네요. 미국의 대부는 말론 브란도가 아니라 토마스 페인이었다는 것을 안 것도 무지몽매를 일깨워주셨다는 점에서 감사합니다.
베롱나무 : 교수님의 강의는 지루할 틈이 없어요. 오늘도 영상 감사합니다. 건강하세요.
b Yoo : 박학 다식과 깊이를 겸비하신 늘 놀라운 강의에 감사합니다.
러시아서 100년만에 황실 결혼식…유럽 귀족 등 1천500명 참석
(서울=연합뉴스) 러시아에서 100년만에 호화로운 황실 결혼식이 열렸습니다.
러시아 마지막 왕조인 로마노프 일가의 후손이 이탈리아인 신부를 맞았는데요.
유럽 전역에서 날아온 귀족과 고위 인사 등 1천500명이 하객으로 참석하면서 성대한 황실의 행사가 눈 앞에서 펼쳐졌습니다.
결혼식은 1일(현지시간) 한때 제정 러시아 시절 수도였던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성 이사크 대성당에서 열렸습니다.
신랑은 제정 러시아 로마노프 왕가의 후손인 게오르기 미하일로비치(40) 로마노프 대공이고, 신부는 빅토리아 로마노브나 베타리니(39)로 이탈리아인입니다.
상트페테르부르크는 1613~1917년 로마노프 왕조가 통치했던 시기에 건설됐습니다. 신랑은 "상트페테르부르크는 러시아의 역사이자 로마노프 왕조의 역사"라고 의미를 뒀습니다.
신부의 드레스에는 제정 러시아 문장이 금으로 수 놓였는데요.
로마노프 왕조는 1613년부터 표트르대제, 예카테리나 여제 등 강력한 지도자를 배출하며 약 300년간 러시아의 황금기를 이끌었으나 1917년 볼셰비키 혁명으로 몰락했습니다.
1918년 러시아의 마지막 황제인 니콜라이 2세와 그 가족들은 혁명 지도자 블라디미르 레닌의 지시로 우랄산맥 인근 도시 예카테린부르크로 유배됐다가 같은 해 7월 혁명군(적군)에 총살당했습니다.
이런 역사 때문인지 러시아 정부는 이번 결혼식에 별다른 입장을 내놓지 않았습니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러시아 정부가 이들 부부를 축하할 계획이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미 일간 워싱턴포스트가 전했습니다.
영상으로 보시죠.
제작: 왕지웅·최수연
영상: 로이터
#연합뉴스#러시아#왕실#결혼식
◆ 연합뉴스 유튜브 : https://www.youtube.com/yonhap
◆ 연합뉴스 홈페이지→ http://www.yna.co.kr/
◆ 연합뉴스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yonhap/
◆ 연합뉴스 인스타 : https://goo.gl/UbqiQb
◆ 연합뉴스 비디오메타 채널https://www.youtube.com/channel/UCTMCrbtHU0M0SR6TuBrL4Pw
연합뉴스 Yonhapnews : 자세한 내용은 글기사로 확인하세요 https://www.yna.co.kr/view/AKR20211002041500009?section=search
송명순 : 왕관을 뒤에서 들고 가는걸보니 조선말 사진속 떠구지를 쓰지않고 시중인이 뒤에서 들고 있던 모습이 떠오릅니다
*앗츄 : 이야 화려하고 멋지구낭~
달과별과 : 저간의 사정이야 어찌됬든 멀리서 보기에는 좋으네
장끝순 : 푸틴..의외로 가만히 있네..신기하다.
중세 사람들의 결혼 생활은 어땠을까?
#역사 #세계사 #중세
이번 영상에서는 중세 사람들의 각종 결혼 생활에 대해서 대뤄보았습니다.
참고자료
Coontz, Stephanie: Marriage, a History: From Obedience to Intimacy or How Love Conquered Marriage, New York 2005
Le Goff, Jacques: L’Europe est-elle née au Moyen Âge?, Paris 2003
Le Roy Ladurie, Emmanuel: Montaillou, village occitan de 1294 à 1324, Paris 1975
술랭 : 진짜 저때나 지금이나 같은 사람들인데
옛날 얘기 듣다보면 이해도 안되고 심지어 소름 끼치는 경우도 있는거 보면
시대상황이나 교육이 사람에게 얼마나 영향을 주는지 알 수 있는거 같음
란멜 : 최근에 빠져서 전 영상 정주행 중이에요..ㅜㅜ 과제 때문에 보게 됐는데, 거의 모든 역사 유투브 영상 중에서도 가장 구체적이고 다양한 자료와 함께 보여주셔서 너무 좋아요!!!! 이 채널이 없었더라면..전 수많은 논문을 읽으며 자잘한 사실 관계를 확인해야했겠죠.. 진짜 만수무강하세요♡♡
ᆞᆞ : 할머니가 옛날에 시장에 가면 대놓고 아내 때리는 남편분이 있었대요 너무 심하면 주변에서 말렸지만 조금 관두다 다시 때렸다고.. 그래서 할머니가 결혼할때 안때리는 남자랑 결혼해 달라고 빌었다고 해요 실제 결혼할때 제대로 알지도 못한 사람이랑 결혼했지만(시대상) 할아버지가 상냥하셔서 행복하다 하셨어요
할아버지는 우체부 공무원이셨지만 할머니가 시장에서 장사하셨다고 해요 그때나 지금이나 맞벌이가 많았다는걸 이영상 보고 깨달았네요
어디든가즈아!! : 우리가 생각지도 못했던 내용들에 대해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어떤 책에서도 이런 내용은 보지 못했던 것 같네요. 지금의 결혼생활과 비교해가며 동영상을 보니 훨씬 재미가 있습니다. 물론 현대에 태어난 것이 다행이구요^^
Klaus Feuermann : 보카치오의 "데카메론"에 나오는 이야기 중 마지막 100번째 이야기입니다. 이 책을 중세적 삶의 본보기로 삼는 건 상당히 위험한 발상입니다. 물론, 중세스러운 이야기도 많지만, 살라딘의 '반지 우화'와 같은 反바티칸적인 이야기나, 요즘 수준의 포르노그래피, 사드의 "소돔 120일"에도 등장하는 스너프 필름류의 이야기도 많이 실려 있습니다.
2022 0204 미국이야기 11 - 운명의 갈림길, 그들의 선택은?
#토머스페인 #상식 #해밀턴 #결투 #프랑스혁명 #이신론 #사생아
▶구독하기 : https://bit.ly/2BYyyzG
▶네이버블로그 : https://blog.naver.com/jeanpk
Kate Huh : 샌프란시스코에서 오랜동안 살면서도 미국역사를 이렇게 자세히 알지 못했는데 선생님 덕분에 매주 즐거운 시간을 가지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선생님의 강의가 기대 됩니다.
건강하시고 자주 뵙기를 바랍니다.
okdango.k. : 항상 유익하고 재미있는 강의 머리숙여 감사드립니다!!
만차딜러 : 감사합니다. 선생님. 항상 다음 시간이 기대됩니다. 비교하여 설명하여주시니 더욱 이해가 잘 되는 것 같습니다. 한국어를 잘 이해하는 미국인이라면 더욱 좋아할 내용들이네요. 중간중간에 언급한 책들도 언젠가는 구입하여 죽기전에 꼭 읽어보아야 할 것 같네요. 미국의 대부는 말론 브란도가 아니라 토마스 페인이었다는 것을 안 것도 무지몽매를 일깨워주셨다는 점에서 감사합니다.
베롱나무 : 교수님의 강의는 지루할 틈이 없어요. 오늘도 영상 감사합니다. 건강하세요.
b Yoo : 박학 다식과 깊이를 겸비하신 늘 놀라운 강의에 감사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