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이민 닷컴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가나쵸코 조회 14회 작성일 2022-03-16 11:12:23 댓글 0

본문

해외에서 살다가 역이민을 하는 결정적인 이유 - 캐나다 이민

[캐나다 밴쿠버에 살고 있는 제빵사 이야기]

BGM - epidemicsounds.com
INSTAGRAM - https://www.instagram.com/hi._.nate​​
CONTACT - zeranahtan@gmail.com
Rachel Jung : 진짜 이민자로써 한국에 있는 가족들이 제일 큰 걱정인거 같아요. 점점 나이드시는 부모님을 보면서.. 매년 갈 수 있을거라 생각했는데 이번에 코비드 때문에 삼년만에 한국 방문 했는데 진짜 부모님 보면서.. 한국으로 돌아가야 하나 하는 생각은 돌아와서도 끊임없이 하는거 같아요 ㅠㅠ
Pudding Pop 푸딩팝 : 오늘 영상 공감이 많이 됩니다. 저도 올해 8년차, 작년에 한국에 갔다가 비슷한 생각을 했거든요..! 저는 밴쿠버에서 회사를 다니다 3년전쯤 프리랜서로 전업을 해서 재택근무 중입니다. 처음엔 그냥 집에서 일한다는 게 좋았을뿐 깊게 생각을 못했는데 재택근무를 하면서 일하는데 장소의 제약이 없어지다보니 저같이 두 나라에 적을 두고 있는 사람에게 엄청난 이점이 있더라고요. 한국가는게 정말 편해졌습니다. 언제든지 훌쩍 자주 갈 수 있고 한국에서도 수입이 계속 유지되니 금전적인 부담없이 한번 가면 원하는 만큼 오래 있다 올 수 있습니다. 언젠가 한국으로 돌아가게 되더라도 단절없이 계속 일할 수 있으니 여러모로 한국과의 마음의 거리가 가까워졌다고 할까요? 새로운 일을 찾으실 생각이시라면 재택근무가 가능한 일을 고려해보세요. 저희같이 두 나라를 오다녀야 하는 사람에게 정말 좋은 이점을 가지고 있고 저 개인적으로는 정말 만족하는 선택이었습니다.
Wal Laueh : 캐나다에서 역이민, 한국으로 다시 왔습니다.
인생 터닝포인트 정도로 잘 왔다고 느끼며,
자산 증식 또한 무시못할만큼 늘었습니다 ㅎ
취업해도 일자리도 탄탄하고 실수령액도 많이 늘면서 저축도 늘게 되고.. 아무튼 저는 200% 대만족
한국이 최고
뽕이몽이 : 생각의 연속이예요. 저도 역이민 할때는 가족이 가장 큰 이유 였고 다시 캐나다로 올때는 거리가 있는 것이 내 삶을 살리는 길이구나 하는 생각으로 다시 왔어요. 정답은 없어요. 그때 그때 흐르는 대로 사는것이 좋은듯 합니다.
kk kim : 저도 유럽에서 엄청 오래 살다 다시 한국으로 돌아왔습니다. 심지어 전 어릴 때 갔던 케이스에요. 한국에서 정착하게 된 것은 첫번째 병원, 두번째 말도안되게 높은 세금과 월세 그리고 당연하지만 가족과 친구들이죠.. 서양인들은 돈안들어가는 친절은 많이 베풉니다. 서로 모르는 사이라도 웃으면서 인사해주고 레이디퍼스트 하면서 문 먼저 열어주고 이정도는 기본이지만 정작 정말 도움이 되는 순간은 나몰라라 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이것은 제가 일본에서도 많이 봐 왔는데... 일본과 비슷하다고 느꼈어요. 어딜 가나 이방인 취급당하고 나도 모르게 인종차별 당하는 것도 적지 않아서 어릴 때는 몰랐는데 나이가 들면서 점점 힘들고 외로워지더라구요...

나혼자 캐나다 이민완료 후기 영주권 관련 Q&A / 타임라인 :: Canada Express Entry

#캐나다이민 #캐나다영주권 #캐나다EE

심사기간은 비록 2개월이었지만 곰곰히 생각해보니 저와 스폰서쉽을 맺어줄 고용주를 구하는 것부터 경력을 만드는 과정까지 생각하면 2년이네요 하하...
경력준비를 시작할 때는 영주권까지 1년 반만에 끝내고 맘 편해져야지! 하고 마음먹었었는데, 막상 시작하자마자 몇 개월만에 터진 망할 코로나, 락다운때문에 솔직히 생각보다는 오래걸렸답니다ㅎㅎ
이래놓고 2개월만에 받았다고 신나하니 좀 양심없나요ㅋㅋㅋㅋ

취업비자를 받았을 때는 고용주와 계약을 같이 해서 이주공사의 도움을 받았는데, 그 때는 제가 이민에 전혀 관심이 없어서 몰랐지만 하는 거 보니 나도 할 수 있겠구나 싶어서(?) 영주권은 혼자 도전해봤어요ㅎㅎ
캐나다에서 가장 흔한 이민 방법인 연방 Express Entry같은 경우는 특히 혼자하기 더 쉽고 빠른데다가 취업비자와 다르게 고용주의 추천서외에는 본인의 정보, 경력과 관련된 서류들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지금 생각해봐도 혼자 하길 잘 한 것 같아요!
그간 고생은 했지만 그래도 심사과정이 빨랐어서 다 용서됩니다...
캐나다야 앞으로도 잘 좀 해보자!
내 생일도 얼른 고쳐주구...

*영상속의 용어가 헷갈린다거나 혹시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당!

Instagram‍♀️ wendesday_k
어매설 : 진짜 너무 축하드려요 웬디님
영주권 타임라인을 영상으로 보니 이주공사 없이 혼자 하신계 정말 리스펙,,
뭔가 하기 싫어서 영주권을 따셨다는 말 너무 공감돼요ㅋㅋㅋㅋ 영주권을 딴건 아니지만 제가 캐나다 가려는 이유랑 같은 것 같아 그 말이 너무 공감되네욬ㅋㅋㅋ
DM으로 질문 드렸던거 답변 너무 잘해주셔서 정말 감사해요❣️ 친절한 웬디님 앞으로 항상 적게 일하시고 많이버세요
Emma Seo : 영주권 준비 시작단계에서 이주공사 선택해야할지 고민했는데 고민이 어느정도 해결되었어요 ㅎㅎ 워홀때부터 잘 보고 있습니다 웬디님 영주권자되신거 넘 추카드려요!
피즈치자 : 와 웬디님 초창기영상부터 봤는데 영주권까지 취득하셨다니 너무 축하해요!! 저는 제자리 걸음인데 한걸음 성장하는 동기가 됐어요!! 앞으로 즐거운 캐나다 라이프 되시길 바래요!!><
나만힘든게 아니다 : 웬디님.. 최고.. 영주권 넘 축하드려요 ㅎㅎ 제 주변분들도 최근에 영주권을 거의 다 취득?했더라구요! 코로나때문인지.. 워홀하면서 만났던 모든 인연들이 아직까지 연락하고 지내서 넘 기뻐욬ㅋㅋ 저도 어느날 갑자기 영주권을 준비할 수도 있을텐데.. 고민이 되네욬ㅋㅋ 흐 오랜만이라 두서없이 댓글 달았네욬ㅋㅋㅋ (저 기억하실지 모르겠지만.. Travel Life 닉넴이였던 구독자에요..)
izziesuzy : 와 정말 축하드려요ㅠㅠㅠ아 진짜 웬디님은 오히려 담담하신데 내가 왜 두근두근하지,, 오늘 캐나다 워홀 인비 받고 뭐부터 준비해야 하나 막막한 와중에 이전에 웬디님이 올려주신 영상 보고 하나하나 시작해보려고 해요.. 나중에 이 영상 다시 와서 저도 영주권 받았다고 댓글쓸 날이 왔으면 좋겠어요 ·̫ 뭔가 하기 싫어서 영주권 따려고 했다는것도 정말 너무너무너무 공감됩니다! ㅋㅋㅋ저도 딱 그렇거든요. 그리고 사실 웬디님 커먼인로로 진행하셔도 되셨을것 같은데 EE로 하신거 더 멋져요. 혹시 저도 종종 와서 좀 여쭤봐도 될까요..? 웬디님 다시한번 넘 축하드려요

눈폭풍 속 19시간 째 고립중입니다 (ft. CRAZY BLOWING SNOW)

매달 1명 선물 이벤트! 3달러 후원 멤버쉽 가입
https://www.youtube.com/channel/UC_miMkmUUFZpniRbhPkKUEg/join

안녕하세요. 캐나다 여행 가이드북 '캐나다 워킹홀리데이 바이블' 저자입니다.

워킹홀리데이 비자로 2006년 캐나다 생활을 시작한 뒤 영주권을 받고 캐나다에서 트럭 운전을하고있는, 세 아이와 개 다섯마리의 아빠 트럭커입니다.
캐나다이민 15년차 한국인 가족의 이민 생활과 캐나다에서 트럭커로서의 영상을 앞으로 보여드리겠습니다.
아직은 유튜브 영상제작이 부족한 점이 많아도 이해 부탁 드려요~
앞으로 점점 나아지는모습 보여드리겠습니다 ^-^
SKALLINE : 날씨가 정말 어마무시하네요.... 엄청난무게의 트럭들도 바람에 휘청이면서 눈에 빠질정도면 자연은 정말 대단한듯합니다.

안전운전하세요~!!
유니버스프라임 : 열심히 일하시고 남에게 피해주질 않으시니 운도 따른듯 하네요 보는 내내 심장이 쫄깃했네요 4륜구동 트럭 힘이 굉장하네요 항상 안전운행 하세요
청년트럭커대천사하니엘 : 그래서 캐나다가 한국인이 가장 견디기 어렵다는 환경이다 말씀이네요...

아무튼 군복형님 무사히 집으로 생환해주시길 기원드립니다
이경희 : 우리가 알고있던 악천후는 아무 것도 아니네요.휠에 싸인 눈을 망치로 깨야할 정도니 정말 상상 이상이네요.그 곳에서 살아남는 군복님! 대단하십니다~^^
윤영선 : 눈폭풍 대단하군요.ㅠㅠㅠ 항상 안전운전하세요.

... 

#캐나다 이민 닷컴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3,993건 817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www.uljinpension.kr. All rights reserved.  연락처 : cs@ep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