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쓰레기봉투
페이지 정보
본문
공포의 100L 쓰레기봉투 '혹' 비머가 파헤쳐 봤습니다. (진짜 파헤쳐봤다는 말) / 비디오머그
경기도가 광역 지자체 가운데 처음으로 100리터 쓰레기봉투를 없애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종량제 봉투 용량 상한을 100리터가 아닌 75리터로 제한하겠다는 건데요, 환경미화원들이 100리터 쓰레기를 옮기다가 무거운 무게 때문에 다치는 사고가 빈발해 이를 줄여보겠다는 취지입니다. 실제로 지난 2015년부터 3년간 발생한 환경미화원 부상자 1천8백 명 가운데 35%가 쓰레기를 옮기다 넘어져 다친 것이라는 조사 결과도 있습니다. 게다가 일부 시민들이 건설폐기물과 음식물 쓰레기 등을 종량제 봉투에 마구잡이로 버리면서 환경미화원들 안전을 위협하고 있는데요, 그래서 비머가 현장을 가봤습니다. 실제로 100리터 쓰레기봉투가 얼마나 무거운지 무게를 재보고 내용물도 열어 봤습니다. 일선 현장에서 고생하시는 환경미화원들의 노고를 비디오머그가 취재했습니다.
글·구성 : 이호건 / 영상취재 : 최준식 / 편집 : 김경연
공포의 100L 쓰레기봉투 '혹' 비머가 파헤쳐 봤습니다. (진짜 파헤쳐봤다는 말) / 비디오머그
✔신뢰할 수 있는 재미, 비디오머그 VIDEOMUG
#비디오머그 #쓰봉 #100L에_혹붙이다니_샌드백이냐
▶비디오머그 채널 구독하기 : https://n.sbs.co.kr/mugTube
▶Homepage : https://n.sbs.co.kr/videomug
▶Facebook : https://www.facebook.com/videomug
▶Twitter : https://twitter.com/videomug_sbs
D Lee : 선생님들이 계셔서 저희가 깨끗한 세상에 살 수 있는거겠죠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건강하고 행복하시길
권해라일혁 : 이게 진짜 언론이 해야할 일이죠...
참된 기자님 이십니다
좋아요 진짜 거의 안누르는데 누르고갑니다
제로콜라 : 수고가많으십니다 환경미화원 분들 화이팅입니다
금니빨빼고풀철야 : 학교교육과정에 일반쓰레기, 분리수거 쓰레기들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처리가 되는지 알수있게 해줬으면 좋겠다. 대학가 원룸촌보면 가관임..
에코머니 : 이런분들이 있기에 우리가 편하고 깨끗한 환경에서 지낼 수 있는 겁니다 제발 나 하나쯤이야 생각말고 배려하는 마음으로 양심있게 분리수거 하고 쓰레기 버렸으면 좋겠네요
종량제 봉투안에 절대 넣지 말아야 할 것 3가지!
종량제 봉투안에 절대 넣지 말아야 할 것 3가지!
코로나 19로 늘어만 가는 일회용품 쓰레기가
무분별하게 종량제 봉투에 담겨 버려지고 있습니다.
궁극적으로는
재활용 분리배출을 잘하는 것,
종량제 봉투에 잘 담아 버리는 것보다
모두가 노력하여
전체적으로 쓰레기량을 줄여 나가야겠습니다.
*한 번 종량제 봉투에 들어간 쓰레기는 재활용의 기회를 얻지 못하고
무조건 태워집니다.
깨끗하게 분리배출된 쓰레기는 각 지자체마다 판로가 다르긴 하지만
재활용의 기회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최대한 깨끗하게 분리하여 재활용쓰레기로 분리배출해 주십사
만든 영상입니다.
1차 시민들이 분리배출한 재활용 쓰레기는
수작업으로 다시한 번 분리, 처리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재활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쓰레기는
깨끗하게 성상별로 분리해주시면
각 지자체의 자원순환센터에서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것은
활용하게 되어있습니다.
짧은 영상으로는 모든 성상별 설명을 담을 수 없기 때문에
자세한 내용은 각 동 행정복지센터에 비치된 인쇄물이나
수원시청 재활용 분리배출 요령 등을 참고하시
기 바랍니다.
#수원 #suwon #korea #종량제 #분리배출
국가니카라과 : 얼마전에 오염된 비닐도 종량제봉투로 넣지 밀고 오염된 비닐끼리 모아서 투명비닐에 담아 재활용품처럼 분리배출하라는 포스터를 봤습니다. 이렇게 배출하는 게 맞나요?
nun k : 하여간 정부 하는 일이란... 일단 나는 타지역이긴 한데..
1. 비닐 : OTHER라고 써진 비닐은 복합소재라서 재활용 불가. 일쓰가 아니면 어디다 버리라고?
아무 표기도 없는 비닐도 마찬가지.
2. 플라스틱: 어차피 작은 플라스틱도 재활용 불가. 예를 들어 빨대나 칫솔 등도 선별장에서 일쓰라고 어쩌라는거?
3. 스티로폼: 음식 담아 랩핑하는 중에는 흰색 아닌 유색이나 블랙 있는데 그 거는 재활용 불가.
일쓰가 아니면 어디다 버리라고?
아니, 상세 설명 정도는 해 줘야 할 것 아니냐.. 공무원들은 재활용 실생활에서 안 하고 살음?
일반인 주부보다도 이런 상식을 몰라서 설명 안 하는 것인가? 참고 할려고 보면 볼 수록 수렁에 빠진다.
그럼 전후를 생각해봤을 때 일쓰란 것은 환경호르몬 검출이 안 되는 소각, 코 푼 휴지 정도만 버리는 것인가?
쀼빼옹 : 분리수거가 제일 어려워요ㅠㅠ 정부에서 재활용되는 제품들로 통일 시켜 주시던가 라면용기 물드는거 제발 그냥 다 바꿔주세요 저희집은 햇빛없어서 한달이상해도 똑같단 말이에요ㅠㅠ 분리수거 편하게 제발 만들어주세요
lois Han : 스티로폼은 흰색의 무늬없는 것만 재활용이라고 다른건 재활용에 분리배출할 수 없는데 이건 지자체마다 다른건가요? 통일된 규정으로 홍보되었으면 좋겠습니다.
SUWON·수원 : 이 영상은 일회용품 쓰레기가 소각용 종량제 봉투안에 너무 많이 유입되어 만들어졌습니다.
그래서 우선 3가지(비닐, 플라스틱, 스티로폼)만 종량제 봉투에 넣지 마시고,
다시 한 번 생각해서 분리배출 할 수 있는 것들은 빼 주시길 당부하는 영상입니다.
세부 사항은 정보가 많이 담길 수 있는 인쇄물이나 재활용 분리배출 요령을 참고해보세요
수원시의 정확한 쓰레기 배출 요령은 각동 행정복지센터에 비치된 인쇄물이나
수원시청 재활용 분리배출 요령 등에 있습니다.
조금은 불편할 수 있지만 이런 노력과 관심이
더 나은 내일을 만들 수 있을 거예요
함께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수원시청 생활 쓰레기 분리배출 요령
https://www.suwon.go.kr/sw-www/deptHome/dep_env/env_03/env_03_09.jsp
쓰레기처리과정(EBS 방송분 편집)
경기도가 광역 지자체 가운데 처음으로 100리터 쓰레기봉투를 없애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종량제 봉투 용량 상한을 100리터가 아닌 75리터로 제한하겠다는 건데요, 환경미화원들이 100리터 쓰레기를 옮기다가 무거운 무게 때문에 다치는 사고가 빈발해 이를 줄여보겠다는 취지입니다. 실제로 지난 2015년부터 3년간 발생한 환경미화원 부상자 1천8백 명 가운데 35%가 쓰레기를 옮기다 넘어져 다친 것이라는 조사 결과도 있습니다. 게다가 일부 시민들이 건설폐기물과 음식물 쓰레기 등을 종량제 봉투에 마구잡이로 버리면서 환경미화원들 안전을 위협하고 있는데요, 그래서 비머가 현장을 가봤습니다. 실제로 100리터 쓰레기봉투가 얼마나 무거운지 무게를 재보고 내용물도 열어 봤습니다. 일선 현장에서 고생하시는 환경미화원들의 노고를 비디오머그가 취재했습니다.
글·구성 : 이호건 / 영상취재 : 최준식 / 편집 : 김경연
공포의 100L 쓰레기봉투 '혹' 비머가 파헤쳐 봤습니다. (진짜 파헤쳐봤다는 말) / 비디오머그
✔신뢰할 수 있는 재미, 비디오머그 VIDEOMUG
#비디오머그 #쓰봉 #100L에_혹붙이다니_샌드백이냐
▶비디오머그 채널 구독하기 : https://n.sbs.co.kr/mugTube
▶Homepage : https://n.sbs.co.kr/videomug
▶Facebook : https://www.facebook.com/videomug
▶Twitter : https://twitter.com/videomug_sbs
D Lee : 선생님들이 계셔서 저희가 깨끗한 세상에 살 수 있는거겠죠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건강하고 행복하시길
권해라일혁 : 이게 진짜 언론이 해야할 일이죠...
참된 기자님 이십니다
좋아요 진짜 거의 안누르는데 누르고갑니다
제로콜라 : 수고가많으십니다 환경미화원 분들 화이팅입니다
금니빨빼고풀철야 : 학교교육과정에 일반쓰레기, 분리수거 쓰레기들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처리가 되는지 알수있게 해줬으면 좋겠다. 대학가 원룸촌보면 가관임..
에코머니 : 이런분들이 있기에 우리가 편하고 깨끗한 환경에서 지낼 수 있는 겁니다 제발 나 하나쯤이야 생각말고 배려하는 마음으로 양심있게 분리수거 하고 쓰레기 버렸으면 좋겠네요
종량제 봉투안에 절대 넣지 말아야 할 것 3가지!
종량제 봉투안에 절대 넣지 말아야 할 것 3가지!
코로나 19로 늘어만 가는 일회용품 쓰레기가
무분별하게 종량제 봉투에 담겨 버려지고 있습니다.
궁극적으로는
재활용 분리배출을 잘하는 것,
종량제 봉투에 잘 담아 버리는 것보다
모두가 노력하여
전체적으로 쓰레기량을 줄여 나가야겠습니다.
*한 번 종량제 봉투에 들어간 쓰레기는 재활용의 기회를 얻지 못하고
무조건 태워집니다.
깨끗하게 분리배출된 쓰레기는 각 지자체마다 판로가 다르긴 하지만
재활용의 기회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최대한 깨끗하게 분리하여 재활용쓰레기로 분리배출해 주십사
만든 영상입니다.
1차 시민들이 분리배출한 재활용 쓰레기는
수작업으로 다시한 번 분리, 처리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재활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쓰레기는
깨끗하게 성상별로 분리해주시면
각 지자체의 자원순환센터에서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것은
활용하게 되어있습니다.
짧은 영상으로는 모든 성상별 설명을 담을 수 없기 때문에
자세한 내용은 각 동 행정복지센터에 비치된 인쇄물이나
수원시청 재활용 분리배출 요령 등을 참고하시
기 바랍니다.
#수원 #suwon #korea #종량제 #분리배출
국가니카라과 : 얼마전에 오염된 비닐도 종량제봉투로 넣지 밀고 오염된 비닐끼리 모아서 투명비닐에 담아 재활용품처럼 분리배출하라는 포스터를 봤습니다. 이렇게 배출하는 게 맞나요?
nun k : 하여간 정부 하는 일이란... 일단 나는 타지역이긴 한데..
1. 비닐 : OTHER라고 써진 비닐은 복합소재라서 재활용 불가. 일쓰가 아니면 어디다 버리라고?
아무 표기도 없는 비닐도 마찬가지.
2. 플라스틱: 어차피 작은 플라스틱도 재활용 불가. 예를 들어 빨대나 칫솔 등도 선별장에서 일쓰라고 어쩌라는거?
3. 스티로폼: 음식 담아 랩핑하는 중에는 흰색 아닌 유색이나 블랙 있는데 그 거는 재활용 불가.
일쓰가 아니면 어디다 버리라고?
아니, 상세 설명 정도는 해 줘야 할 것 아니냐.. 공무원들은 재활용 실생활에서 안 하고 살음?
일반인 주부보다도 이런 상식을 몰라서 설명 안 하는 것인가? 참고 할려고 보면 볼 수록 수렁에 빠진다.
그럼 전후를 생각해봤을 때 일쓰란 것은 환경호르몬 검출이 안 되는 소각, 코 푼 휴지 정도만 버리는 것인가?
쀼빼옹 : 분리수거가 제일 어려워요ㅠㅠ 정부에서 재활용되는 제품들로 통일 시켜 주시던가 라면용기 물드는거 제발 그냥 다 바꿔주세요 저희집은 햇빛없어서 한달이상해도 똑같단 말이에요ㅠㅠ 분리수거 편하게 제발 만들어주세요
lois Han : 스티로폼은 흰색의 무늬없는 것만 재활용이라고 다른건 재활용에 분리배출할 수 없는데 이건 지자체마다 다른건가요? 통일된 규정으로 홍보되었으면 좋겠습니다.
SUWON·수원 : 이 영상은 일회용품 쓰레기가 소각용 종량제 봉투안에 너무 많이 유입되어 만들어졌습니다.
그래서 우선 3가지(비닐, 플라스틱, 스티로폼)만 종량제 봉투에 넣지 마시고,
다시 한 번 생각해서 분리배출 할 수 있는 것들은 빼 주시길 당부하는 영상입니다.
세부 사항은 정보가 많이 담길 수 있는 인쇄물이나 재활용 분리배출 요령을 참고해보세요
수원시의 정확한 쓰레기 배출 요령은 각동 행정복지센터에 비치된 인쇄물이나
수원시청 재활용 분리배출 요령 등에 있습니다.
조금은 불편할 수 있지만 이런 노력과 관심이
더 나은 내일을 만들 수 있을 거예요
함께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수원시청 생활 쓰레기 분리배출 요령
https://www.suwon.go.kr/sw-www/deptHome/dep_env/env_03/env_03_09.jsp
쓰레기처리과정(EBS 방송분 편집)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