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발생원리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푼수 조회 8회 작성일 2022-05-07 11:13:41 댓글 0

본문

암이란 무엇일까요?

암은 우리 몸에 어떻게 생겨날까요?
암이란 무엇인지 영상으로 확인하세요
#암 #암전이 #암발생

*국가암정보센터와 유익한 암정보 함께 나눠요
www.cancer.go.kr / 1577-8899
유니 : 우리엄마도..(혹)암이되면어떻해요ㅠㅠㅠㅠ
치유의숲, 휘림 : 하루라도 빨리 모두가 암으로부터 자유로워지는 날이 왔으면 좋겠습니다.
김복휴 : 암은 환경의 영향이랑 유전의 영향중 어느영향을 더 많이받나요? 암이 생기기 쉬운 유전자를 가진 사람은 열심히 관리해도 결국 생겨나기 마련인건가요?ㅠㅜ
Alejandro Ch : 현재 저희 아버지가 서울삼성병원에서 말초성 악성 t세포종으로 치료받고 있습니다. 임상실험 대상자이구요
3차 항암이 끝난 상태이고 아직 3번 더 남았는데 상태가 좀 안좋으셔서 지금 입원해서 치료받고 계시고 항암치료는 못하고 계십니다.
우연히 항암면역치료에 대해 광고를 보고 채널에 문의해봅니다
국립암센터에서는 악성림프종 t세포종 치료는 어떻게 하나요?
예후가 좋은편인가요?
지아 : 암 도 치료를 할수있나요..?

암 세포는 어떻게 전이하고 증식할까 - (20120225_403회 방송)_암의 파괴적 본능, 재발과 전이

[암의 파괴적 본능, 재발과 전이]

[ 원고정보 ]
인간의 몸을 구성하고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인 세포. 우리 몸 정상적인 세포들은 일정한 방식으로 분열하고, 일정한 경로를 거쳐 사멸한다. 암세포같은 비정상 세포가 생기더라도 자연적으로 죽음을 맞도록 ‘죽음의 프로g’을 지니고 태어나는 것이다. 그러나 여러가지 이유로 세포의 유전자에 이상이 생기면, 자동으로 사멸하지 않고 과다하게 증식하는데, 이를 암이라고 부른다. 암세포의 전이는 보통 혈관이나 림프관을 따라 이루어진다. 혈관을 통한 전이의 경우, 암세포가 증식해 원래 생겨난 부위를 뚫고 나와 혈관으로 들어간다. 혈액을 따라 흐르던 암세포 덩어리는 전이될 조직에 도착하면 혈관 벽을 통과하는데, 스스로 혈관을 생성해 성장에 필요한 혈액을 공급받는다. 전이된 암세포는 그곳에서 자리를 잡고, 계속적인 분열과 성장과정을 거쳐 증식한다.

■ 국내 최초 건강\u0026의학 프로그램 [생로병사의 비밀] 공식 채널
■ ‘구독’ 버튼 누르고 공유해 주세요!
■ 매주 수요일밤 10시 KBS 1TV 본방송

● YOUTUBE – https://is.gd/hKutl0
● FACEBOOK – https://www.facebook.com/KhealthKBS/
● KBS홈페이지 –http://program.kbs.co.kr/1tv/culture/health
● KBS건강 – http://health.kbs.co.kr
● 밴드페이지 – https://band.us/@kbshealth
● 포스트 – http://naver.me/GrY3SzHc
명치 : 무서운 암을 없애는 방법이 꼭 있길 원해요.
봉봉 : ㄷㄷ 무섭다ㅠ
zzz T : 와.진짜 놀랍다.ㅋ
건강4가지 - 알기쉬운 건강정보 : 좋은것을 먹는것 보다 안좋은것을 먹지 않는게 중요한듯 합다.
닉네임 : 어디 뉴스에서 암 없앨수 있다고 한거같은데 기억이 안나네요

[궁금한S] 몸속 정상 세포, 어떻게 암으로 변이될까? / YTN 사이언스

[앵커]
과학에 대한 모든 궁금증을 풀어주는 '궁금한 S' 시간입니다. 우리 몸속 세포는 주기에 따라 합성과 분열이 일어나고 손상되거나 노화된 세포는 스스로 사멸하는데요. 이는 건강을 위한 자연스러운 현상이죠.

그런데 이런 정상 세포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기면 암세포로 변하게 되는데요. 몸속 정상 세포가 돌연변이를 일으키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지금 바로 화면으로 만나보시죠.

[이효종 / 과학 유튜버]
안녕하세요! 과학의 모든 궁금증을 해결하는 궁금한 S의 이효종입니다. 궁금한 S와 함께할 오늘의 이야기 만나볼게요.

지난 2018년 한국인 사망 원인 1위는 암으로, 이 기록은 36년째 이어지고 있다고 합니다. 암은 생명에 위협을 주는 치명적인 질환인데요. 그렇다면 이 암이라는 녀석이 무엇이고, 정상이었던 조직 세포가 어떻게 나쁜 암세포로 변하는 걸까요?

암을 한마디로 정리하자면 제어되지 못하고 계속 분열하는 세포입니다.

우리 몸은 약 60조 개의 세포로 이뤄져 있는데요. 정상 세포는 성장을 엄격하게 조절 받기 때문에 수십 번 분열하면 더 이상 성장하지 않는 특징을 가집니다. 정상 세포의 DNA에는 성장과 분열을 조절하는 부분이 포함돼 있기 때문이죠.

그런데 이 부분에 문제가 생기면 정상 세포가 무분별한 분열을 하게 됩니다. 일단 암세포가 되면 정상 세포와는 다른 특성을 보이는데요. 암세포는 혈관을 늘려 주변의 산소와 양분을 빨아들입니다. 성장과 분열에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기 때문인데요. 원래 조직 세포의 모양과 임무는 잃어버리고 오직 성장만이 주된 관심사가 되는 것이죠. 다른 세포의 경계를 침범하지 않는 일반 세포와 달리 주변 세포를 잠식하면서 성장, 분열하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급기야 사람을 죽게 만드는 거죠.

그렇다면 이런 돌연 유전 정보가 변이되는 현상, 돌연변이는 어떻게 일어나는 걸까요?

생물학에서는 돌연변이가 일어나는 형태에 대해 유형과 성격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고 합니다. 하나는 유전자 서열 중 보통 한두 개의 염기가 바뀌는 크기가 작은 '점 돌연변이', 그리고 다른 하나는 염색체와 같이 큰 덩어리가 바뀌는 '염색체 구조 변이'입니다.

'점 돌연변이'는 DNA 염기 서열 중에서 하나의 염기서열이 바뀌는 경우를 말하는데요. 이렇게 네 가지 염기 중 하나가 다른 염기로 바뀜으로써 유전정보에 손상이 발생하는 거죠.

반면 '구조 변이'는 한두 개의 염기 단위가 아니라 작게는 수천 개의 염기 크게는 염색체 단위의 수억 개의 염기 크기의 커다란 DNA 묶음 덩어리가 한꺼번에 바뀌는 현상입니다.

큰 DNA 뭉치가 없어져 버리는 결실, 그리고 DNA의 특정 부분이 반복적으로 중첩되는 중복, 또 다른 하나는 DNA 뭉치의 일부가 알 수 없는 이유로 끊어졌는데, 이것이 어쩌다 보니 거꾸로 붙어 버리는 역위, 마지막으로는 앞선 경우처럼 떨어진 DNA 뭉치가 애꿎은 다른 DNA 뭉치에 붙어버리는 전좌가 있습니다.

이렇게 DNA 뭉치가 바뀌게 되면 세포 내 유전자 발현이 극적으로 변화를 일으키게 돼 암을 일으킬 수도 있는 것이죠.

그렇다면 정상적인 조직 세포가 성장과 분화능력을 잃고 끊임없이 분열하고 증식하는 돌연변이가 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지금도 이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진행 중인데요.

첫 번째 기전으로는 돌연변이는 세포의 실수로 자연스럽게 노화와 함께 우리 몸속에서 일어난다고 알려졌습니다.

하나의 세포가 분열할 때마다 유전자는 두 배로 복제되는데, 이 과정에서 복제되는 DNA의 정보가 100% 정확하게 복제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는 것이죠.

...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program_view.php?s_mcd=0082\u0026s_hcd=0022\u0026key=202003201652571112
김현유 : 전국민의 의무적으로 시청해야할 동영상 같습니다. 꼭들 보세요 전달하구요
콜라 : 인간은 암하나 못잡고 나약함ㅡㅜ
전문가들도 암을 이기지 못함ㅡㅠ
약먹으면 암세포 죽게해야 하는데
모두 건강합시다~~!!!!!
다락안 : 10년전에도 암 금방 중복할수 있다했습니다. 암 정복 쉬울까요?
Scott Lee : 800만이 전세계인지 한국인지.
나설심 : 몸은 남자 목소리는 여성

... 

#암 발생원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3,993건 780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www.uljinpension.kr. All rights reserved.  연락처 : cs@ep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