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령화
페이지 정보
본문
[#하이라이트#] 세계 최초 '인구감소' 일본을 통해 예측한 한국의 미래 / 강연 풀버전#미래수업 | Living the New Normal EP.14 | tvN 210215 방송
tvN 월간기획 뉴노멀 강연쇼 <미래수업>
(14회) 2.15 (월) 저녁 7시 40분
(강연주제) 인구 데드크로스의 문제와 해법
라리치오 : 일개미는 알을 낳지 않는다
함께너와 : 세대가 많이 바뀌었고 빠르게 바뀌는 반면에 기성세대들이 시대를 따라가지 못해서 제대로된 정책을 내놓지도 못하고 젊은 사람들의 마음을 이해하지 못하여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생각함.
젊은 사람들이 정계로 진출해야 이 난관이 극복되어지지 않을까..
VioletTEA : 이 클립시청하고 풀방송봤는데 멀지않은 미래에 100명이 80명을 부양한다는 예측이 있더라구요. 청년1명이 노인1명을 부양한다는 말인데 그마저도 낙관적인 예측이라는 부분이 크게 와닿았습니다. 지금도 힘든데 지금 초등학생이나 유치원생이 살아갈 사회는 얼마나 절망적일지 가늠이 안되네요
다 이 : 인구가 감소하고 있는 문제점이 심하다는 것을 알고는 있었지만 사회적으로 타격이 큰 문제점인지는 실감이 잘 안갔는데 일본을 통해서 비교를 하는것을 보아하니 실감이 어느정도 가기 시작합니다. 나라에서 현실적이며 올바르고 현명한 해결책이 나왔으면 좋겠네요.
Wls : 이제 인구 감소 부문은 전세계에서 한국이 압도적 선두주자
“재앙적 인구 소멸 속도”...100년 뒤 한국 인구 1/4로 / 14F
감사원의 충격적인 인구보고서가 실제 지방 소멸 문제로 가시화되면서 한국의 저출산대책이 수도권 집중 현상과 연계해서 검토해야 한다는 발상의 전환이 나왔습니다
#인구소멸 #출산율꼴찌 #인구절벽
Innovational Hermit : '애를 안낳아서 망하는게 아니라 망할나라라서 안낳는다'라고 누군가 했던 말 처럼 청년층에게만 책임을 지게 하는게 아니라 시스템적으로 혁신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함
민구정 : 무엇보다도 이러한 심각한 인구감소에 정치인들이 무관심하다는 것도 하나의 문제...이런 걱정하기엔 기득권을 유지하기 위한 정책 고민에 더욱 관심을 쏟느라 정신이 없겠죠
Doha Lee : 출산장려정책은 진통제 같은 역할이고, 근본적으로 청년들이 살기 좋고 걱정이 없게 만드는게 치료약이 될 것 같습니다. 진통제만 먹는다고 병이 치료가 되지 않을텐데요..
푸리푸리 : 절망적이지만… 해결 안될 거라고 봅니다. 근본적인 문제들은 해결하는게 너무 힘들고, 또 이걸 주도해야하는 분들은 표심 잃기를 두려워하기 때문입니다. 모두가 무엇 때문에 인구절벽이 발생하는지는 이미 오래전부터 알고 있었지만, 그동안 수박 겉핥기식 정책만 내놓았던게 그 증거이죠.
머스타드치킨 : 게임이랑 빗대도 괜찮은 상황 같아요.
이미 사회초년생이 진입하기엔 모든게 고인물화 되어 있다는거죠. 게임은 점핑캐라도 있지.. 현실은
월급 벌어서 집도 못사, 요구 경험치량은 많은데 돈이 없어서 장비도 못맞추는거죠
[100세 사회의 경고 1편] 한국·중국·일본 동아시아 3국 고령화 쇼크에 무너지는가 (KBS_2015.05.21 방송)
[100세 사회의 경고] 1편, 고령화 쇼크 한중일 무너지는가
2017년 고령사회, 2026년 초고령사회를 눈앞에 둔 한국. ‘인구홍리(인구 보너스)’ 시대를 넘어
‘미부선로(未富先老 부유해지기 전에 가난해졌다)’에 다가선 중국. 초고속 고령화로 이미 ‘잃어버린 20년’을 보낸 일본. 한국·중국·일본 동아시아 3국은 왜 급속한 고령화를 맞이한 것인가?
한중일 3국의 고령화 쇼크! 과연 세 나라의 운명은?
■ 국내 최초 건강\u0026의학 프로그램 [생로병사의 비밀] 공식 채널
■ ‘구독’ 버튼 누르고 공유해 주세요!
■ 매주 수요일밤 10시 KBS 1TV 본방송
● YOUTUBE – https://is.gd/hKutl0
● FACEBOOK – https://www.facebook.com/KhealthKBS/
● KBS홈페이지 –http://program.kbs.co.kr/1tv/culture/health
● 밴드페이지 – https://band.us/@kbshealth
● 포스트 – http://naver.me/GrY3SzHc
Black Apple : 거의 30살까지 공부하고 30년 돈벌고 30년 요양하다 가겠구나 인생 덧없네
이지양 : 좋은 태도, 좋은 마음, 좋은 습관, 좋은 표정, 좋은 말씨,,,,이런 무형자산이 형편없는 사회라는 것이 더 문제다...정말 돈 안들고 할 수 있는 것도 전혀 안하고 못하는 쓰레기 사회가 되어간다는 것...
김재형 : 솔직히 말해서 부동산 해결해도 출산률이 별로 늘어날거 같지는 않은데 자연재해처럼 이미 막을 수 있는 한계를 넘어선 일이라고 생각해서 기계가 인간의 노동 문제를 해결하길 비는 수밖에 없는거 같네요
모조튜브 : 존엄사가 답입니다.. 인간답게 살 권리도 중요하지만 .. 인간답게 죽을 권리도 당연히 있어야 합니다..
헨리조지 : 죽음도 본인이 선택하게 해줘야한다~ 생에 마지막도 아름답게 마칠 수 있게 사회가 도와줘야 된다!!! 특히 통증심해 고통없이 가기를 원하는 노인~ 자신이 스스로 몸을 지탱할 수 없어 대소변도 스스로 처리 못한다면 장수가 무슨 의미인가? 안락사가 왜! 금기 처럼 사회와 국가가 막는지~ 표현에 자유가 헌법에 보장되듯 아름다운 죽음도 보장 되야하는것 아닌가? 유럽에 스위스가 허용하듯
우리 사회도 심각하게 논의할때가 됐다고 본다!!!!
tvN 월간기획 뉴노멀 강연쇼 <미래수업>
(14회) 2.15 (월) 저녁 7시 40분
(강연주제) 인구 데드크로스의 문제와 해법
라리치오 : 일개미는 알을 낳지 않는다
함께너와 : 세대가 많이 바뀌었고 빠르게 바뀌는 반면에 기성세대들이 시대를 따라가지 못해서 제대로된 정책을 내놓지도 못하고 젊은 사람들의 마음을 이해하지 못하여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생각함.
젊은 사람들이 정계로 진출해야 이 난관이 극복되어지지 않을까..
VioletTEA : 이 클립시청하고 풀방송봤는데 멀지않은 미래에 100명이 80명을 부양한다는 예측이 있더라구요. 청년1명이 노인1명을 부양한다는 말인데 그마저도 낙관적인 예측이라는 부분이 크게 와닿았습니다. 지금도 힘든데 지금 초등학생이나 유치원생이 살아갈 사회는 얼마나 절망적일지 가늠이 안되네요
다 이 : 인구가 감소하고 있는 문제점이 심하다는 것을 알고는 있었지만 사회적으로 타격이 큰 문제점인지는 실감이 잘 안갔는데 일본을 통해서 비교를 하는것을 보아하니 실감이 어느정도 가기 시작합니다. 나라에서 현실적이며 올바르고 현명한 해결책이 나왔으면 좋겠네요.
Wls : 이제 인구 감소 부문은 전세계에서 한국이 압도적 선두주자
“재앙적 인구 소멸 속도”...100년 뒤 한국 인구 1/4로 / 14F
감사원의 충격적인 인구보고서가 실제 지방 소멸 문제로 가시화되면서 한국의 저출산대책이 수도권 집중 현상과 연계해서 검토해야 한다는 발상의 전환이 나왔습니다
#인구소멸 #출산율꼴찌 #인구절벽
Innovational Hermit : '애를 안낳아서 망하는게 아니라 망할나라라서 안낳는다'라고 누군가 했던 말 처럼 청년층에게만 책임을 지게 하는게 아니라 시스템적으로 혁신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함
민구정 : 무엇보다도 이러한 심각한 인구감소에 정치인들이 무관심하다는 것도 하나의 문제...이런 걱정하기엔 기득권을 유지하기 위한 정책 고민에 더욱 관심을 쏟느라 정신이 없겠죠
Doha Lee : 출산장려정책은 진통제 같은 역할이고, 근본적으로 청년들이 살기 좋고 걱정이 없게 만드는게 치료약이 될 것 같습니다. 진통제만 먹는다고 병이 치료가 되지 않을텐데요..
푸리푸리 : 절망적이지만… 해결 안될 거라고 봅니다. 근본적인 문제들은 해결하는게 너무 힘들고, 또 이걸 주도해야하는 분들은 표심 잃기를 두려워하기 때문입니다. 모두가 무엇 때문에 인구절벽이 발생하는지는 이미 오래전부터 알고 있었지만, 그동안 수박 겉핥기식 정책만 내놓았던게 그 증거이죠.
머스타드치킨 : 게임이랑 빗대도 괜찮은 상황 같아요.
이미 사회초년생이 진입하기엔 모든게 고인물화 되어 있다는거죠. 게임은 점핑캐라도 있지.. 현실은
월급 벌어서 집도 못사, 요구 경험치량은 많은데 돈이 없어서 장비도 못맞추는거죠
[100세 사회의 경고 1편] 한국·중국·일본 동아시아 3국 고령화 쇼크에 무너지는가 (KBS_2015.05.21 방송)
[100세 사회의 경고] 1편, 고령화 쇼크 한중일 무너지는가
2017년 고령사회, 2026년 초고령사회를 눈앞에 둔 한국. ‘인구홍리(인구 보너스)’ 시대를 넘어
‘미부선로(未富先老 부유해지기 전에 가난해졌다)’에 다가선 중국. 초고속 고령화로 이미 ‘잃어버린 20년’을 보낸 일본. 한국·중국·일본 동아시아 3국은 왜 급속한 고령화를 맞이한 것인가?
한중일 3국의 고령화 쇼크! 과연 세 나라의 운명은?
■ 국내 최초 건강\u0026의학 프로그램 [생로병사의 비밀] 공식 채널
■ ‘구독’ 버튼 누르고 공유해 주세요!
■ 매주 수요일밤 10시 KBS 1TV 본방송
● YOUTUBE – https://is.gd/hKutl0
● FACEBOOK – https://www.facebook.com/KhealthKBS/
● KBS홈페이지 –http://program.kbs.co.kr/1tv/culture/health
● 밴드페이지 – https://band.us/@kbshealth
● 포스트 – http://naver.me/GrY3SzHc
Black Apple : 거의 30살까지 공부하고 30년 돈벌고 30년 요양하다 가겠구나 인생 덧없네
이지양 : 좋은 태도, 좋은 마음, 좋은 습관, 좋은 표정, 좋은 말씨,,,,이런 무형자산이 형편없는 사회라는 것이 더 문제다...정말 돈 안들고 할 수 있는 것도 전혀 안하고 못하는 쓰레기 사회가 되어간다는 것...
김재형 : 솔직히 말해서 부동산 해결해도 출산률이 별로 늘어날거 같지는 않은데 자연재해처럼 이미 막을 수 있는 한계를 넘어선 일이라고 생각해서 기계가 인간의 노동 문제를 해결하길 비는 수밖에 없는거 같네요
모조튜브 : 존엄사가 답입니다.. 인간답게 살 권리도 중요하지만 .. 인간답게 죽을 권리도 당연히 있어야 합니다..
헨리조지 : 죽음도 본인이 선택하게 해줘야한다~ 생에 마지막도 아름답게 마칠 수 있게 사회가 도와줘야 된다!!! 특히 통증심해 고통없이 가기를 원하는 노인~ 자신이 스스로 몸을 지탱할 수 없어 대소변도 스스로 처리 못한다면 장수가 무슨 의미인가? 안락사가 왜! 금기 처럼 사회와 국가가 막는지~ 표현에 자유가 헌법에 보장되듯 아름다운 죽음도 보장 되야하는것 아닌가? 유럽에 스위스가 허용하듯
우리 사회도 심각하게 논의할때가 됐다고 본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