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소플라본식품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빨갱 조회 15회 작성일 2022-06-12 10:35:54 댓글 0

본문

건강식품? 사실은 극도로 해로운 콩의 실체

오늘은 "전통식품이고, 옛날부터 먹던 것"이라는 사실 빼고는 모조리 오해고 거짓인 콩의 독성과 섭취 시 주의점을 알아봅니다.
.
.
정기 라이브는 수, 토 오후 8시입니다.
.
.
웨스턴 프라이스 재단 서울챕터 리더.
과거로부터 배우는 건강한 식생활습관 이야기.

카카오톡 오픈채팅방:
프리미티브 전래식단인들의 모임

네이버 카페:
전래식단 이야기 - WAPF 서울챕터
https://cafe.naver.com/primitivestory

네이버 블로그:
프리미티브의 전래식단 이야기
https://blog.naver.com/harry8487

인스타그램
@Primitive_Stories

투네이션 후원:
https://toon.at/donate/primitive
직접 후원:
975-006601-01-012 기업 김영신

#두부 #두유 #이소플라본
Son of GOAT : 와... 충격적인 영상 잘봤습니다. ㅠㅠ 몸에 두드러기 나서 여기까지 흘러들어왔는데, 결론은 콩이었구나 싶네요.....ㅠㅠ 하루 연두부 세모를 간장에 듬뿍 적셔 먹고, 두유 250ml를 커피에 한잔 타먹고, 또다른 250ml 두유는.... 대두 단백질 보충제에 타서 먹는데.............. 이 얼마나 지극한 대두사랑이었는데 ㅠㅠ 충격 ㅠ
Su Ddo : 콩국수 엄청 진하게 갈아서 해먹었는데 알게해주셔서 감사합니다
TheMusicmalife :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땅콩하고 호두도 몸에 나쁜가요?
김정민 : <내용별 타임라인>
00:25 웨스턴 프라이스 재단에서도 강조하는 콩의 위험성 (Soy alert!)
01:10 목차 소개
02:00 콩의 역사 (콩의 본래 목적, 섭취량과 가공법)
06:01 콩은 밭에서 나는 소고기라는 말이 틀린 이유
08:23 독소와 항영양소의 집합체인 콩
09:23 ★콩이 가진 성분과 인체 내에서 일으키는 문제들 ('슬기로운 임신생활' 영상 시리즈 참고)
09:53 콩의 생존 전략 1. 이소플라본 (콩의 대표 독소이자 강력한 천연 경구 피임약)
10:49 ★★[그래픽자료] 식품 속 에스트로겐 함유량 (식품량 227g 기준)
12:49 ★★에스트로겐과 갑상선 저하와의 관계
13:27 ★★이소플라본이 인체 내에서 일으키는 수많은 문제들
18:26 콩의 생존 전략 2. 트립신 저해제 (단백질 소화 효소인 트립신을 저해시켜 소화 장애를 일으킴)
19:03 콩의 생존 전략 3. 피트산 (장내에서 각종 미네랄 흡수를 막는 항영양소)
21:03 오늘날 콩의 가공법 (두유, 분리대두단백, 콩고기)
26:09 ★콩을 안전하게 섭취하는 방법 (발효하여 극소량만!)
28:07 더 자세한 내용을 살펴볼 수 있는 참고 자료 소개
31:40 동의보감에서도 경고하는 두부의 위험성
혜경 : 콩과 두부를 너무 좋아하는데 충격이네요ㅠㅠ영상 감사합니다

여성호르몬을 채워주는 식품 [내 몸 사용 설명서] 77회 20151120

내몸사용설명서 77회 20151120 TV조선
이소플라본이 풍부한 콩과 식물성 에스트로겐, 비타민, 안토시아닌, 리코펜 등 갱년기 증상, 노화 방지, 면역력 증강에 효과적인 석류도 여성호르몬을 채워주는 식품이다.
[내몸사용설명서_77회]
[Ch.19] 세상에 없는 TV 이제 시작합니다.
공식 홈페이지 : http://tvchosun.com/culture/bodyinfo/main/main.html
레몬레몬 : 프린세인은 이 영양제는 어떨까요? 이소플라본 감마리놀렌산 등 성분 있던데 갱년기 도움될까요
한혜경 : 콩.(전체)
석류.씨포함
BOM HYANG : 어!! 투바투 얼굴 리뷰 하셨던 분이닷!!
뚱이 : 나 석류하고 콩많이 먹는데...;;

설탕까지 수출규제, 인도발 식량대란 오나? (강성용 교수)

출연: 강성용 교수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남아시아센터장
주요내용
Q. 식량보호주의로 가는 인도, 왜?
Q. 설탕 수출 제한의 사정은?
Q. 기록적 풍년인데, 수출 제한 필요했나
Q. 인도 국내 사탕수수 가격 폭락, 민심은?
Q. 설탕 수출제한, 앞으로 영향은?
Q. 최대 설탕생산국도 설탕을 수입한다?
Q. 인도 농업정책, 낙후된 이유는?
Bogart Lee Director of Seoul Music Week : 귀하게 너무 잘 듣고 있습니다. 인도와 남아시아 이야기 시리즈로 계속 해주시면 안될까요?
다른 곳에서는 못들으니까요.
으라찻차 : 요즘들어 강성용교수님의 뛰어난 식견을 들을수 있는 기회가 자주있어 너무 기쁩니다.
남아시아 국제관계를 관통하는 문제를 일목요연하게 이야기해 주시는 교수님께 너무 감사드리며
교수님을 발굴해주신 ㅋㅋ 박종훈 기자님께도 감사드립니다 ^^
물론 삼프로에서도 뵐수 있어서 너무 즐거웠습니다 ~
Jinu Lee : 멜서스 이론에 따라 인구증가를 식량생산이 못따라가서 대규모 기아가 발생하면 정책이 바뀌겠네요.
언제나 저런 정치집단이 있다는게... 참...
인간이란 종 자체의 한계인지, 인간사회라는 집단의 한계인지...
김정호 : 강성용 교수님 덕에 항상 많은 것을 배웁니다.
특히 우파니샤드강연에서 과거 농민들이 신급 이였다는 것에 감명 받았습니다.
정재욱 : 스리랑카 사태를 보면 농촌으로 돌아가라라는 전근대적 정치 이데올로기에 무비판적인 문화적 토양 + 독재 가문에 대항할 야당세력의 부재 + 농업과 관광 외에 산업적 기반이 없는 경제구조 이게 다 엮여져 있네요. 비료와 농약 없는 농업 생산성은 조금만 생각해보면 답이 나올탠데 안타깝습니다

... 

#이소플라본식품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3,993건 751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www.uljinpension.kr. All rights reserved.  연락처 : cs@ep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