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물분리수거대설치가격
페이지 정보
본문
서울시, 음식물 쓰레기 비용 100억 아낀 비결은? / YTN
[앵커]
서울에서 하루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는 3천 톤!
그런데 서울시가 올해 상반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음식물 쓰레기양을 10% 줄여 약 100억 원을 절감했습니다.
어떻게 가능했을까요?
김선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서울 마포구 한 아파트 단지.
한 주민이 기계에 카드를 대고 음식물 쓰레기를 버립니다.
각 가정이 버리는 쓰레기를 구분하고 무게에 따라 요금을 부과하는 '무선인식 가구별 종량기'입니다.
옆에선 다듬고 남은 배춧잎, 양파나 과일 껍질 등을 따로 모아 퇴비로 만드는 기계도 있습니다.
서울에서 하루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는 3천 톤.
그런데 서울 시내에서 올해 상반기 음식물쓰레기 발생량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만6천 톤, 10% 정도 줄었습니다.
톤당 음식물 쓰레기 처리 비용이 약 18만 원임을 고려하면 100억 원을 아낀 것입니다.
음식물 쓰레기가 줄어든 가장 큰 요인은 '무선인식 가구별 종량기' 보급입니다.
[최인희 / 서울 창전동 : 예전에는 과일 껍질이나 음식물 쓰레기 합쳐서 버렸는데 요새는 과일 껍질이나 감자 껍질 등은 따로 분류해서 버리고 음식물은 수분이 있으니까 수분 좀 제거한 후에 버리니까 요금도 절약되고 냄새도 덜 나고 그래서 주부 입장에서 참 좋은 거 같아요.]
또 조리 전 발생하는, 염분 등이 들어가지 않은 이른바 '생쓰레기'를 공동주택 단지 등에 퇴비로 활용하는 사업도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 감축에 한몫했습니다.
양천구, 마포구 등 4개 자치구에서는 이 조리 전 생쓰레기를 주말농장 퇴비로 활용하고 아파트 단지 화단 등에 사용하고 있습니다.
[한성현 / 서울시 음식폐기물관리팀장 : 그전까지는 많이 배출한 사람이나 배출량이 하나도 없는 사람이나 똑같이 나눠서 내는 방식이었습니다. RFID (무선인식 가구별 종량기)를 도입하고 난 이후에는 아무래도 자기가 배출한 만큼만 비용을 부담하다 보니까 감량 효과가 컸던 거 같습니다.]
서울시는 올해 말까지 무선인식 가구별 종량기 2천6백여 대를 추가로 설치할 예정입니다.
YTN 김선희[sunnyk@ytn.co.kr]입니다.
▶ 기사 원문 : http://www.ytn.co.kr/_ln/0115_201709131919074872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8585@ytn.co.kr,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たま : 행복
손승연 : 고소한다고요
유툽 잠시 쉽니다. : 상하는음식은 뮬론.남은 음식도 환경이 좀 실종된는가 싶네...
손승연 : 음식물쓰레기통철거
쓰레기, 도시를 삼키다 [녹색의 꿈] / YTN 사이언스
매일 쏟아지는 각종 쓰레기로 몸살을 앓고 있는 도시!
쓰레기 처리 문제는 우리가 풀어야 할 큰 과제 중 하나다.
가장 일반적인 쓰레기 처리 방식인 매립처리 방식은 토양과 지하수를 오염시키고 토지의 사용을 마비시킨다는데..
끊임없이 버려지고 있는 쓰레기 대란 시대!
폐기물 배출 및 처리 실태를 점검해보고, 이를 해결할 방법이 없는지 고민해보자.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program_view.php?s_mcd=0067\u0026s_hcd=\u0026key=201911050906123979
오명진 : 생산과 유통을 제어하지 않으면 탁상공론이 될 수밖에...ㅜㅜ
조문혁 : 가정에서 분리수거부터 철저히 하는것이 필요하고 음식물등 쓰레기자체를 줄이는 개개인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듭니다 우리집부터 일회용품등 줄이도록 노력해야겠습니다 수거,매립,환경보호등 심각하네요...학교에서부터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jj k : 음식물 쓰례기 종량제도 하지 않나 자원화 까지 하고 노력하지만...줄이지 않으면 아무소용 없지....제발 먹을만큼만 하자....
만두친구 : 근데 쓰레기를 계속 땅에 묻을게 아니라 산모양으로 아파트 모양으로 쌓으면 어떨까 싶어요
그러면 쓰레가 어떻게 분해되는지도 알수있고
냄새가 심하면 여기에 톱밥을 섞으면 심한 냄새를 훨씬 없앨수 있지요
제일 먼저 할일은 쓰레기를 줄이는게 중요한거 같아요
배달음식 쓰레기 무지 나오잖아요
어떤 연구보다 쓰레기 줄이는 연구가 무엇보다 중요할것 같아요
잘못 만들어진 생활용품도 문제죠
몇번 못쓰고 버리게 되니
이것도 애초에 심사를 해서 출고시켜야 할것 같아요
음식 찌꺼기 수분은 톱밥이 아주 유용하게 쓰일수 있어요
만두친구 : 특히 배달음식 1회용품 쓰레기 너무 많이 나오는데 이것도 연구가 속히 되야 될것 같아요
저 경우는 이게 싫어서 배달음식 잘 안시켜 먹네요
차라리 스탠통에 음식을 담아와
집에 있는 그릇으로 옮겨 담아줬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봤습니다
(ENG SUB) [단독] 갈아서 버리면 끝? 불법 음식물 처리기 무더기 적발 (2020.09.04/뉴스데스크/MBC) Uncover the illegal food shredder
주방 싱크대에 설치해서 음식물 쓰레기를 갈아 주는 분쇄기, 인기가 좋습니다.
그런데 분쇄를 하더라도 그 찌꺼기는 따로 버려야 하는데 그냥 하수도로 내려 보낼 수 있도록 불법 개조를 해온 업체들이 대거 적발됐습니다.
https://imnews.imbc.com/replay/2020/nwdesk/article/5899402_32524.html
#음식물쓰레기 #싱크대 #분쇄기
Keumjoo Hong : 방송, 홈쇼핑을 먼저 징계해야합니다. 누가 봐도 말이 안되는 물건인데 거짓말로 물건만 팔면 된다는 심보였어요.
David KIM : 문제는 저걸쓰면 오수관이 막혀서 저층세대가 물바다가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법적으로 홈쇼핑 과장 허위 광고를 못하게 막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수산남 : 진짜 문제가 많네요! 저런 업자들 강력 처벌해서 다시는 이와 같은 일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게 중요합니다
블루스카이 : 업체대표만 구속되면 뭐합니까...그 제품들이 가정집에서 사용되면서 환경을 오염시키는데...판매리스트 확보해서 가정집에 설치된 불법기계는 회수되어야 됩니다.
Daeyong Lee : 제발 우리나라 환경에 대한 인식개선과 규제 강화 좀 해주세요.
[앵커]
서울에서 하루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는 3천 톤!
그런데 서울시가 올해 상반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음식물 쓰레기양을 10% 줄여 약 100억 원을 절감했습니다.
어떻게 가능했을까요?
김선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서울 마포구 한 아파트 단지.
한 주민이 기계에 카드를 대고 음식물 쓰레기를 버립니다.
각 가정이 버리는 쓰레기를 구분하고 무게에 따라 요금을 부과하는 '무선인식 가구별 종량기'입니다.
옆에선 다듬고 남은 배춧잎, 양파나 과일 껍질 등을 따로 모아 퇴비로 만드는 기계도 있습니다.
서울에서 하루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는 3천 톤.
그런데 서울 시내에서 올해 상반기 음식물쓰레기 발생량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만6천 톤, 10% 정도 줄었습니다.
톤당 음식물 쓰레기 처리 비용이 약 18만 원임을 고려하면 100억 원을 아낀 것입니다.
음식물 쓰레기가 줄어든 가장 큰 요인은 '무선인식 가구별 종량기' 보급입니다.
[최인희 / 서울 창전동 : 예전에는 과일 껍질이나 음식물 쓰레기 합쳐서 버렸는데 요새는 과일 껍질이나 감자 껍질 등은 따로 분류해서 버리고 음식물은 수분이 있으니까 수분 좀 제거한 후에 버리니까 요금도 절약되고 냄새도 덜 나고 그래서 주부 입장에서 참 좋은 거 같아요.]
또 조리 전 발생하는, 염분 등이 들어가지 않은 이른바 '생쓰레기'를 공동주택 단지 등에 퇴비로 활용하는 사업도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 감축에 한몫했습니다.
양천구, 마포구 등 4개 자치구에서는 이 조리 전 생쓰레기를 주말농장 퇴비로 활용하고 아파트 단지 화단 등에 사용하고 있습니다.
[한성현 / 서울시 음식폐기물관리팀장 : 그전까지는 많이 배출한 사람이나 배출량이 하나도 없는 사람이나 똑같이 나눠서 내는 방식이었습니다. RFID (무선인식 가구별 종량기)를 도입하고 난 이후에는 아무래도 자기가 배출한 만큼만 비용을 부담하다 보니까 감량 효과가 컸던 거 같습니다.]
서울시는 올해 말까지 무선인식 가구별 종량기 2천6백여 대를 추가로 설치할 예정입니다.
YTN 김선희[sunnyk@ytn.co.kr]입니다.
▶ 기사 원문 : http://www.ytn.co.kr/_ln/0115_201709131919074872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8585@ytn.co.kr,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たま : 행복
손승연 : 고소한다고요
유툽 잠시 쉽니다. : 상하는음식은 뮬론.남은 음식도 환경이 좀 실종된는가 싶네...
손승연 : 음식물쓰레기통철거
쓰레기, 도시를 삼키다 [녹색의 꿈] / YTN 사이언스
매일 쏟아지는 각종 쓰레기로 몸살을 앓고 있는 도시!
쓰레기 처리 문제는 우리가 풀어야 할 큰 과제 중 하나다.
가장 일반적인 쓰레기 처리 방식인 매립처리 방식은 토양과 지하수를 오염시키고 토지의 사용을 마비시킨다는데..
끊임없이 버려지고 있는 쓰레기 대란 시대!
폐기물 배출 및 처리 실태를 점검해보고, 이를 해결할 방법이 없는지 고민해보자.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program_view.php?s_mcd=0067\u0026s_hcd=\u0026key=201911050906123979
오명진 : 생산과 유통을 제어하지 않으면 탁상공론이 될 수밖에...ㅜㅜ
조문혁 : 가정에서 분리수거부터 철저히 하는것이 필요하고 음식물등 쓰레기자체를 줄이는 개개인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듭니다 우리집부터 일회용품등 줄이도록 노력해야겠습니다 수거,매립,환경보호등 심각하네요...학교에서부터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jj k : 음식물 쓰례기 종량제도 하지 않나 자원화 까지 하고 노력하지만...줄이지 않으면 아무소용 없지....제발 먹을만큼만 하자....
만두친구 : 근데 쓰레기를 계속 땅에 묻을게 아니라 산모양으로 아파트 모양으로 쌓으면 어떨까 싶어요
그러면 쓰레가 어떻게 분해되는지도 알수있고
냄새가 심하면 여기에 톱밥을 섞으면 심한 냄새를 훨씬 없앨수 있지요
제일 먼저 할일은 쓰레기를 줄이는게 중요한거 같아요
배달음식 쓰레기 무지 나오잖아요
어떤 연구보다 쓰레기 줄이는 연구가 무엇보다 중요할것 같아요
잘못 만들어진 생활용품도 문제죠
몇번 못쓰고 버리게 되니
이것도 애초에 심사를 해서 출고시켜야 할것 같아요
음식 찌꺼기 수분은 톱밥이 아주 유용하게 쓰일수 있어요
만두친구 : 특히 배달음식 1회용품 쓰레기 너무 많이 나오는데 이것도 연구가 속히 되야 될것 같아요
저 경우는 이게 싫어서 배달음식 잘 안시켜 먹네요
차라리 스탠통에 음식을 담아와
집에 있는 그릇으로 옮겨 담아줬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봤습니다
(ENG SUB) [단독] 갈아서 버리면 끝? 불법 음식물 처리기 무더기 적발 (2020.09.04/뉴스데스크/MBC) Uncover the illegal food shredder
주방 싱크대에 설치해서 음식물 쓰레기를 갈아 주는 분쇄기, 인기가 좋습니다.
그런데 분쇄를 하더라도 그 찌꺼기는 따로 버려야 하는데 그냥 하수도로 내려 보낼 수 있도록 불법 개조를 해온 업체들이 대거 적발됐습니다.
https://imnews.imbc.com/replay/2020/nwdesk/article/5899402_32524.html
#음식물쓰레기 #싱크대 #분쇄기
Keumjoo Hong : 방송, 홈쇼핑을 먼저 징계해야합니다. 누가 봐도 말이 안되는 물건인데 거짓말로 물건만 팔면 된다는 심보였어요.
David KIM : 문제는 저걸쓰면 오수관이 막혀서 저층세대가 물바다가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법적으로 홈쇼핑 과장 허위 광고를 못하게 막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수산남 : 진짜 문제가 많네요! 저런 업자들 강력 처벌해서 다시는 이와 같은 일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게 중요합니다
블루스카이 : 업체대표만 구속되면 뭐합니까...그 제품들이 가정집에서 사용되면서 환경을 오염시키는데...판매리스트 확보해서 가정집에 설치된 불법기계는 회수되어야 됩니다.
Daeyong Lee : 제발 우리나라 환경에 대한 인식개선과 규제 강화 좀 해주세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