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루미나의특징
페이지 정보
본문
원자번호 13번, 알루미늄을 아시나요? / YTN 사이언스
캔 맥주, 병뚜껑, 휴대전화, 주방기기, 비행기, 자동차까지!
일상에서 흔히 볼 수 있고 쉽게 접할 수 있는 것들인데
여기에, 또 하나의 공통점이 있다.
가볍고 녹슬지 않으며 은처럼 은은한 광택이 나는 알루미늄을 사용했다는 점인데!
일상에서 흔히 사용하고 있지만 그래서 더 모르는 원자번호 13번, 알루미늄을 다큐S에서 알아보자.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www.ytnscience.co.kr/program/program_view.php?s_mcd=0036\u0026s_hcd=\u0026key=201605200919314258
권병국 : 고철캔과 알루미늄캔는 재탄생되는 상품으로 만들수 있는 중요한 물건이기도 합니다
yune : 좋은 방송이네요.
강29 :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Rain cho : 가장 중요한 제조나 원리부분은 대충 넘어가고, 다아는 사용부분 등은 아주 지루할 정도로 자세히 다루시네요.
오성훈 : 15분 정도 듣고 있으니 적응되네요^^
좋아요.
세라믹 어디까지 아니? / YTN 사이언스
세라믹이 도자기나 화장실의 변기를 만드는 데에만 쓰이지 않고 다양한 산업에 사용되고 있다?
세라믹에 대해 간략히 소개한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338\u0026key=201906051652212856
2hyun_Love : 세라믹하면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것은
이주런
강석우 : 혹시나 해서 왔는데 역시나네 기사 누가 썻냐 유리는 빼라 물론 정의로는 유리는 세라믹이겠지만 깊이 들어가면 세라믹은 슬래그가 나오기때문에 오히려 철에 가까운 물질이다
수백 년간 '신비의 돌'로 불린 만능 '돌'의 정체 [#다큐S프라임] / YTN 사이언스
예부터 돌비늘이라고 불리는 암석이 있습니다.
수백 년간 사람들은 이것을 신비의 돌이라 여겼죠.
1500년 전 신라시대 고분에서 출토되며 우리의 광물 활용사에 한 획을 그은 광물.
바로 견운모입니다.
동의보감에선 견운모를 이렇게 설명하고 있죠.
"돌비늘은 오장을 편하게 하고 눈을 밝게 하며, 이질을 멎게 하고, 뼈가 단단해져 몸을 튼튼하게 만든다."
천년이 넘는 시간 속에서 그 존재를 입증하며 사람의 도구로 활용되어온 견운모.
현재, 이 광물은 어떤 모습으로 우리 생활 속에 존재하고 있을까요?
또, 과학적으로 바라본 견운모의 기능이란 과연 무엇일까요?
이 특별한 돌의 가치를 다시 한 번 눈여겨볼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견운모 #돌 #다큐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program_view.php?s_mcd=1213\u0026s_hcd=\u0026key=201910181238487196
bd choi : 최근들어 일라이트 외에도 이오나이트라는 천연광물이 국내에서 개발 생산되고 있는데요. 이 광물은 지금까지 발견 개발생산되고 있는 기능성 광물들중 최고의 기능의 물성을 가지고 있어 조용히 급부상하고 있는 지하자원이라고 합니다. 현재 산업별로 점진적으로 그 기능을 인정받아 여러 제품화되어가는 중이라고 합니다.
On Nya : 우리나라에 견운모라는 광물이 많이 매장돼 있군요.
견운모가 쓸모가 많네요. 약재(옛날), 비료, 화장품, 전자제품절연재, 건축도료첨가제, 플라스틱, 종이.. 등
향균작용과 원적외선이 나오는건 신기하네요 상당히가볍고 내열성도 우수.
우리나라에 많이 매장된 만큼 어디에 유용하게 쓸수있는지 앞으로 견운모를 이용한 신소재등 많은 연구개발이 되면 좋겠네요
킴호야 : 매우 유익한 다큐~~
Laon Jena : 어릴때 흔하게 보던 돌인데 귀한 돌 이였네요.
놀부 : 돌과 흙으로 첨단시대를 열다니
과학의 힘은 불가사의 하네 ㄷㄷ
캔 맥주, 병뚜껑, 휴대전화, 주방기기, 비행기, 자동차까지!
일상에서 흔히 볼 수 있고 쉽게 접할 수 있는 것들인데
여기에, 또 하나의 공통점이 있다.
가볍고 녹슬지 않으며 은처럼 은은한 광택이 나는 알루미늄을 사용했다는 점인데!
일상에서 흔히 사용하고 있지만 그래서 더 모르는 원자번호 13번, 알루미늄을 다큐S에서 알아보자.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www.ytnscience.co.kr/program/program_view.php?s_mcd=0036\u0026s_hcd=\u0026key=201605200919314258
권병국 : 고철캔과 알루미늄캔는 재탄생되는 상품으로 만들수 있는 중요한 물건이기도 합니다
yune : 좋은 방송이네요.
강29 :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Rain cho : 가장 중요한 제조나 원리부분은 대충 넘어가고, 다아는 사용부분 등은 아주 지루할 정도로 자세히 다루시네요.
오성훈 : 15분 정도 듣고 있으니 적응되네요^^
좋아요.
세라믹 어디까지 아니? / YTN 사이언스
세라믹이 도자기나 화장실의 변기를 만드는 데에만 쓰이지 않고 다양한 산업에 사용되고 있다?
세라믹에 대해 간략히 소개한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338\u0026key=201906051652212856
2hyun_Love : 세라믹하면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것은
이주런
강석우 : 혹시나 해서 왔는데 역시나네 기사 누가 썻냐 유리는 빼라 물론 정의로는 유리는 세라믹이겠지만 깊이 들어가면 세라믹은 슬래그가 나오기때문에 오히려 철에 가까운 물질이다
수백 년간 '신비의 돌'로 불린 만능 '돌'의 정체 [#다큐S프라임] / YTN 사이언스
예부터 돌비늘이라고 불리는 암석이 있습니다.
수백 년간 사람들은 이것을 신비의 돌이라 여겼죠.
1500년 전 신라시대 고분에서 출토되며 우리의 광물 활용사에 한 획을 그은 광물.
바로 견운모입니다.
동의보감에선 견운모를 이렇게 설명하고 있죠.
"돌비늘은 오장을 편하게 하고 눈을 밝게 하며, 이질을 멎게 하고, 뼈가 단단해져 몸을 튼튼하게 만든다."
천년이 넘는 시간 속에서 그 존재를 입증하며 사람의 도구로 활용되어온 견운모.
현재, 이 광물은 어떤 모습으로 우리 생활 속에 존재하고 있을까요?
또, 과학적으로 바라본 견운모의 기능이란 과연 무엇일까요?
이 특별한 돌의 가치를 다시 한 번 눈여겨볼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견운모 #돌 #다큐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program_view.php?s_mcd=1213\u0026s_hcd=\u0026key=201910181238487196
bd choi : 최근들어 일라이트 외에도 이오나이트라는 천연광물이 국내에서 개발 생산되고 있는데요. 이 광물은 지금까지 발견 개발생산되고 있는 기능성 광물들중 최고의 기능의 물성을 가지고 있어 조용히 급부상하고 있는 지하자원이라고 합니다. 현재 산업별로 점진적으로 그 기능을 인정받아 여러 제품화되어가는 중이라고 합니다.
On Nya : 우리나라에 견운모라는 광물이 많이 매장돼 있군요.
견운모가 쓸모가 많네요. 약재(옛날), 비료, 화장품, 전자제품절연재, 건축도료첨가제, 플라스틱, 종이.. 등
향균작용과 원적외선이 나오는건 신기하네요 상당히가볍고 내열성도 우수.
우리나라에 많이 매장된 만큼 어디에 유용하게 쓸수있는지 앞으로 견운모를 이용한 신소재등 많은 연구개발이 되면 좋겠네요
킴호야 : 매우 유익한 다큐~~
Laon Jena : 어릴때 흔하게 보던 돌인데 귀한 돌 이였네요.
놀부 : 돌과 흙으로 첨단시대를 열다니
과학의 힘은 불가사의 하네 ㄷㄷ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