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회용베이킹컵
페이지 정보
본문
"일회용컵 없는 청정 제주"…인공지능 무인반납기 활용 / 연합뉴스TV (YonhapnewsTV)
"일회용컵 없는 청정 제주"…인공지능 무인반납기 활용
[앵커]
관광객들이 버리고 간 플라스틱 쓰레기로 몸살을 앓던 제주에서 친환경 프로젝트가 시작됐습니다.
커피전문점에서는 일회용 대신 다회용 컵이 등장했고, 인공지능 기술이 적용된 컵 반납기도 설치됐는데요.
어떤 모습인지 한지이 기자가 직접 현장에 다녀왔습니다.
[기자]
[현장음] "음료는 친환경 다회용 컵으로 준비해드릴게요."
플라스틱 일회용 컵 대신 다회용 컵 사용을 권하는 친환경 프로젝트가 제주도 내 스타벅스 매장 4곳에서 시작됐습니다.
그동안 플라스틱 컵을 쓰지 않으려면 따로 텀블러를 챙겨야 했지만 이제 보증금 1천 원만 내면 여러 번 쓸 수 있는 컵을 이용할 수 있게 된 겁니다.
[박서경 / 충청북도 청주시] "플라스틱 컵 줄이기 운동에 동참하기 위해서 텀블러도 많이 이용했었는데요. 재활용이 가능한 환경적인 컵을 사용해보니까 플라스틱 컵에 대한 문제를 줄일 수 있을 것 같고…"
사용한 컵을 전용 반납기에 넣으면 바로 환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 반납기에는 영상인식 AI 기술이 적용돼 있는데요.
지정된 컵만 수거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해 수거의 정확도를 높였습니다.
회수된 컵은 SK그룹의 사회적 기업이 운영하는 전용 세척장으로 옮겨져 소독, 살균 등 4단계 세척 작업을 꼼꼼히 거친 뒤 표면 오염도 확인까지 마치면 다시 재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하루 1만 5천 개 물량을 소화할 수 있고, 세척장 운영을 통해 마련된 재원은 지역 일자리 창출에 쓰일 예정입니다.
[신요한 / SK텔레콤 ESG혁신그룹] "제주에서 스타벅스 전 매장에 적용을 하면 연간 500만 개 정도의 일회용 플라스틱을 절약할 수 있다고 보고 있고요. 서울이나 수도권 전국으로 확대할 예정이어서 지금보다 훨씬 많은 일회용 플라스틱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플라스틱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한 국내 기업들의 노력이 제주를 시작으로 우리 일상에 전반에 정착되길 기대해봅니다.
연합뉴스TV 한지이입니다. (hanji@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 연합뉴스TV 유튜브 채널 구독\r
https://goo.gl/VuCJMi\r
▣ 대한민국 뉴스의 시작 연합뉴스TV / Yonhap News TV\r
http://www.yonhapnewstv.co.kr/
OR_의성 : 굿!
정우진 : 나 같으면 컵 가져가겠다
바바리안 : 얼마나 ~
Kevin.Jung._KU : 0:44
뾂쀎뾅쀑뾇쀓 : 일회용컵을 없애는거 보다 여가부 없애는게 먼저다
가장 큰 환경공해지
정한인프라, ENVEX 2022서 '1회용 컵 무인회수기' 첫 공개... "국내 맞춤형 무인 재활용 수거 시스템 구축할 것!"
기업 Contact : https://forms.gle/dHZr6MD1AekVGtho9
#ENVEX2022 #정한인프라 #AVING
정한인프라㈜(대표 지혁수)는 오는 6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COEX) A홀에서 열리는 'ENVEX 2022(국제환경산업기술\u0026그린에너지전)'에 참가한다.
정한인프라는 2001년 판금과 기계 임가공으로부터 시작, 2012년부터 첫 개발제품 RFID종량기를 선보였다. 이후 음식폐기물처리기, 크린하우스, AI안면인식발열측정기, 공기정화살균기 등을 출시하며 현재까지 전국의 관공서 및 각 기관들에 납품해왔다. 2022년을 기점으로 자원 재활용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시대정신에 발맞춰 지속적인 투자와 기술개발로 재활용 무인 회수 기기(RVM, reverse Vending Machines)를 제품화할 예정이다.
이번 전시회를 통해 처음 선보일 '1회용 컵 무인회수기'를 시작으로 올 12월까지 ▲우유팩 회수기 ▲빈 병 수거기 ▲캔 수거기 ▲PET병 수거기 등을 출시할 계획이다.
현재 국내에서는 무인회수기에 대한 연구 개발이 시작 단계라 전문적인 설계를 할 수 있는 조건이 미약하고 높은 금액으로 판매되며 유지관리가 미흡한 실정이다. 정한인프라는 이를 개선하기 위해 개발진을 꾸려 연구했으며, 생산 역시 직접 담당해 국내 실정에 맞는 장비와 합리적인 가격으로 공급할 수 있다.
정한인프라 관계자는 "'1회용 컵 무인회수기'는 예전부터 각 지자체에 보급한 RFID음식물종량시스템, 크린하우스와 맞물려 있기 때문에 전국 유지보수망을 이용해 유지관리를 할 예정이다. 또한 LGU+와 협의를 완료해 이동통신사 수준의 접수 및 고객응대가 이루어질 전망이다"라고 설명했다.
현재 유럽, 호주 등 일부 선진국에서는 자원재활용과 자원순환 차원에서 무인회수기(RVM)를 활용해 재활용이 가능한 빈 병, 캔, PET병, 1회용 컵 등을 회수하는 시스템이 상용됐다. 이에 정한인프라 측은 "아직 국내에서 구축 초기 단계인 무인회수시스템을 합리적인 가격과 장비의 고성능, 국내 도시개발에 적합한 디자인으로 제작, 보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라고 전했다.
이어, "무인회수기를 이용해 재활용품을 버리는 사람들에게 확실하고 현실적인 대가 보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신용카드사, 선불교통카드사와 협의 중이다. 협의가 완료되면 재활용품을 버린 후 보상받은 포인트나 캐시로 전국 어떤 곳에서든 사용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구축할 것"이라고 계획을 밝혔다.
한편, 43회째를 맞은 ENVEX 2022는 국내에서 가장 오래 개최된 환경기술\u0026탄소중립 전문 전시회로, 국내 환경기업의 해외판로와 내수시장 개척을 위해 1,000명 이상의 해외 바이어를 유치해 국내 참가기업과 비즈니스 매칭을 돕고 있다.
환경보전협회,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한국환경공단,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한국수자원공사, 한국환경산업협회가 주최하는 ENVEX 2022의 전시 품목은 다음과 같다. 환경산업기술 분야 △수질 △대기 △폐기물 △측정분석기기 △친환경 자동차 산업 △수변구역 생태복원 △해수 담수화 △화학 / 그린에너지 분야 △친환경 자동차 산업 △수소 △태양광 및 태양열 △풍력, 소수력, 지열 △해양 △바이오가스
해당 기사 보러가기 : http://kr.aving.net/news/view.php?articleId=1712410
에이빙 공식 홈페이지 : http://kr.aving.net
에이빙 유튜브 채널 : https://www.youtube.com/user/aving/about
에이빙뉴스 페이스북 : https://www.facebook.com/aving.net/
[Coffee Editor Y] 일회용컵 | 일회용컵 보증제 도입 | 누굴위한법인가
#일회용컵 #환경정책 #자원순환보증금
안녕하십니까.
커피뉴스 읽어주는 남자 Editor Y입니다.
2022년 6월부터 시행하는 일회용컵 보증제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고 하는데요.
실무자의 충분한 의견이 없이 나온 안타까운 제도가 아닌가 싶습니다.
소비자 입장에서, 그리고 다른 대표님들께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하네요.
보시고 여러분들 의견도 자유롭게 댓글로 남겨주세요.
커피맛의 기준 엘카페 : https://www.elcafe.co.kr
커피를 향한 꿈같은 여행 : https://www.youtube.com/c/커피어드벤처CoffeeAdventure
커쟁이 : 저 어릴적에도 롯데리아 콜라컵 반환하면 100원 돌려주는 제도가 있었던거 같은데, 그 시절에서 바뀐게 거의 없어보이네요..20년가량 흐른거같은데..
진짜 핵사이다급 청량한 뉴스 잘 봤습니다.
김경희 : 일회용컵 쓰지말아야하는데 ...편의성에 길들여진 요즘 양사장님 생각에 동의합니다.
그래도 환경은 지키려고 노력하는 엘프중 한사람입니다 ㅎㅎ
지룽이 : 보증금 300원 + 라벨 비용 약 7원 + 처리 지원금 4원 / 11원
이 모든게 가게 점주 개인부담입니다.
기본 1롤에 1000장이고 추가비용 합치면 318,000원이구요,
1롤 시켜서 되는 것도 아니고 초기물량 폭주로 인해 여러개 넉넉하게 시켜놔야합니다
물량 부족이나 주문 누락, 배송 지연으로 라벨이 없어도 영업을 못하고 라벨 없이 영업시 과태로 300만원이라네요?
넉넉히 10롤 시키면 약 318만원이라는 돈이 필요한데 당장 하루아침에 몇백만원 선불 결제해라 하면 그 돈은 정부에서 줍니까? 하늘에서 뚝 떨어집니까?
보증금 300원 손님한테 받는다쳐도 나머지 라벨비랑 처리지원금은 누가 보상해줍니까?
결제는 카드결제하고 보증금은 현금으로 돌려주면 카드 수수료로 나가는 돈은 누가 충당해줍니까?
당장에 월세내고 인건비 내기도 빠듯해서 알바 자르고 하루 14시간씩 일하고 있는데 여기서 뭘 더 어떻게 해야합니까?
안해도 될 일을 시키는거면 적어도 손해는 보게 만들지는 말게 시스템 구축을 하고서 시행 명령을 하는게 맞는거 아닙니까?
말이 큰 기업 브랜드지 정작 가게 운영하는 사람들은 개인입니다.
왜 이런 정책에 개인이 사비를 들여서 시행하게 하는 말도 안되는 시스템으로 만들어놓고
계도 기간도 없이 바로 안따르면 벌금 300만원 때린다하면 끝입니까?
시행을 할거면 두세발자국만 가도 카페 천국인 이 레드오션에서 어디는 시행하고 어디는 안해도 된다하면 이건 그냥 프랜차이즈 죽이기 정책이네요
말이 프랜차이즈지 프랜차이즈 가게를 운영하는
개인들 죽이는 정책이에요
할거면 개인, 프랜차이즈 가릴 거 없이 전부 다 하라고 하세요;
프렌차이즈, 카페만 죽이려하지말고
할거면 모든 포장, 배달 업체 모두 하라고 하세요
환경이 걱정되면 애초에 카페 일회용 컵을 만들때 재활용이 되는 종이와 PET로 만드는 정책을 추진하세요
이딴 밑빠진 독에 물붓기 정책
명목상 환경보호지만 진짜 목적은 세금 거둬들이기 정책 하지말고요
반환 된 컵들도 1000개가 모여야만 회수해간다고 하더라고요
그 쓰던 컵들 천개 도대체 어디에 보관합니까
더더욱이 코딱지만한 가게에서 테이크아웃 전용으로 운영하는 점주들은 물류 놔두기도 터질것 같은 공간인데 그 쓰던컵 천개는 어디에 보관을 해야합니까
제발 생각좀 하고 만들고서 시행하라 마라 하세요
카페 일 안하는 일반 사람이 생각해도 이렇게까지 생각 못 해내요
진짜 어떻게 해야 이런 발상이 나오고 이런 정책이 시행될수 있는겁니까
도와주지도 못할거면 그냥 가만히라도 냅두세요 가만히 있어도 숨통 막혀서 숨쉬기도 힘드니까
Ho-woon Jeon : 사이다 감사합니다!
최광호 : 진심입니다...... 쓰레기에 대한 문제이면 차라리 싱가폴처럼 쓰레기를 버리면 벌금내는걸로 하던가 .........
"일회용컵 없는 청정 제주"…인공지능 무인반납기 활용
[앵커]
관광객들이 버리고 간 플라스틱 쓰레기로 몸살을 앓던 제주에서 친환경 프로젝트가 시작됐습니다.
커피전문점에서는 일회용 대신 다회용 컵이 등장했고, 인공지능 기술이 적용된 컵 반납기도 설치됐는데요.
어떤 모습인지 한지이 기자가 직접 현장에 다녀왔습니다.
[기자]
[현장음] "음료는 친환경 다회용 컵으로 준비해드릴게요."
플라스틱 일회용 컵 대신 다회용 컵 사용을 권하는 친환경 프로젝트가 제주도 내 스타벅스 매장 4곳에서 시작됐습니다.
그동안 플라스틱 컵을 쓰지 않으려면 따로 텀블러를 챙겨야 했지만 이제 보증금 1천 원만 내면 여러 번 쓸 수 있는 컵을 이용할 수 있게 된 겁니다.
[박서경 / 충청북도 청주시] "플라스틱 컵 줄이기 운동에 동참하기 위해서 텀블러도 많이 이용했었는데요. 재활용이 가능한 환경적인 컵을 사용해보니까 플라스틱 컵에 대한 문제를 줄일 수 있을 것 같고…"
사용한 컵을 전용 반납기에 넣으면 바로 환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 반납기에는 영상인식 AI 기술이 적용돼 있는데요.
지정된 컵만 수거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해 수거의 정확도를 높였습니다.
회수된 컵은 SK그룹의 사회적 기업이 운영하는 전용 세척장으로 옮겨져 소독, 살균 등 4단계 세척 작업을 꼼꼼히 거친 뒤 표면 오염도 확인까지 마치면 다시 재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하루 1만 5천 개 물량을 소화할 수 있고, 세척장 운영을 통해 마련된 재원은 지역 일자리 창출에 쓰일 예정입니다.
[신요한 / SK텔레콤 ESG혁신그룹] "제주에서 스타벅스 전 매장에 적용을 하면 연간 500만 개 정도의 일회용 플라스틱을 절약할 수 있다고 보고 있고요. 서울이나 수도권 전국으로 확대할 예정이어서 지금보다 훨씬 많은 일회용 플라스틱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플라스틱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한 국내 기업들의 노력이 제주를 시작으로 우리 일상에 전반에 정착되길 기대해봅니다.
연합뉴스TV 한지이입니다. (hanji@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 연합뉴스TV 유튜브 채널 구독\r
https://goo.gl/VuCJMi\r
▣ 대한민국 뉴스의 시작 연합뉴스TV / Yonhap News TV\r
http://www.yonhapnewstv.co.kr/
OR_의성 : 굿!
정우진 : 나 같으면 컵 가져가겠다
바바리안 : 얼마나 ~
Kevin.Jung._KU : 0:44
뾂쀎뾅쀑뾇쀓 : 일회용컵을 없애는거 보다 여가부 없애는게 먼저다
가장 큰 환경공해지
정한인프라, ENVEX 2022서 '1회용 컵 무인회수기' 첫 공개... "국내 맞춤형 무인 재활용 수거 시스템 구축할 것!"
기업 Contact : https://forms.gle/dHZr6MD1AekVGtho9
#ENVEX2022 #정한인프라 #AVING
정한인프라㈜(대표 지혁수)는 오는 6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COEX) A홀에서 열리는 'ENVEX 2022(국제환경산업기술\u0026그린에너지전)'에 참가한다.
정한인프라는 2001년 판금과 기계 임가공으로부터 시작, 2012년부터 첫 개발제품 RFID종량기를 선보였다. 이후 음식폐기물처리기, 크린하우스, AI안면인식발열측정기, 공기정화살균기 등을 출시하며 현재까지 전국의 관공서 및 각 기관들에 납품해왔다. 2022년을 기점으로 자원 재활용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시대정신에 발맞춰 지속적인 투자와 기술개발로 재활용 무인 회수 기기(RVM, reverse Vending Machines)를 제품화할 예정이다.
이번 전시회를 통해 처음 선보일 '1회용 컵 무인회수기'를 시작으로 올 12월까지 ▲우유팩 회수기 ▲빈 병 수거기 ▲캔 수거기 ▲PET병 수거기 등을 출시할 계획이다.
현재 국내에서는 무인회수기에 대한 연구 개발이 시작 단계라 전문적인 설계를 할 수 있는 조건이 미약하고 높은 금액으로 판매되며 유지관리가 미흡한 실정이다. 정한인프라는 이를 개선하기 위해 개발진을 꾸려 연구했으며, 생산 역시 직접 담당해 국내 실정에 맞는 장비와 합리적인 가격으로 공급할 수 있다.
정한인프라 관계자는 "'1회용 컵 무인회수기'는 예전부터 각 지자체에 보급한 RFID음식물종량시스템, 크린하우스와 맞물려 있기 때문에 전국 유지보수망을 이용해 유지관리를 할 예정이다. 또한 LGU+와 협의를 완료해 이동통신사 수준의 접수 및 고객응대가 이루어질 전망이다"라고 설명했다.
현재 유럽, 호주 등 일부 선진국에서는 자원재활용과 자원순환 차원에서 무인회수기(RVM)를 활용해 재활용이 가능한 빈 병, 캔, PET병, 1회용 컵 등을 회수하는 시스템이 상용됐다. 이에 정한인프라 측은 "아직 국내에서 구축 초기 단계인 무인회수시스템을 합리적인 가격과 장비의 고성능, 국내 도시개발에 적합한 디자인으로 제작, 보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라고 전했다.
이어, "무인회수기를 이용해 재활용품을 버리는 사람들에게 확실하고 현실적인 대가 보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신용카드사, 선불교통카드사와 협의 중이다. 협의가 완료되면 재활용품을 버린 후 보상받은 포인트나 캐시로 전국 어떤 곳에서든 사용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구축할 것"이라고 계획을 밝혔다.
한편, 43회째를 맞은 ENVEX 2022는 국내에서 가장 오래 개최된 환경기술\u0026탄소중립 전문 전시회로, 국내 환경기업의 해외판로와 내수시장 개척을 위해 1,000명 이상의 해외 바이어를 유치해 국내 참가기업과 비즈니스 매칭을 돕고 있다.
환경보전협회,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한국환경공단,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한국수자원공사, 한국환경산업협회가 주최하는 ENVEX 2022의 전시 품목은 다음과 같다. 환경산업기술 분야 △수질 △대기 △폐기물 △측정분석기기 △친환경 자동차 산업 △수변구역 생태복원 △해수 담수화 △화학 / 그린에너지 분야 △친환경 자동차 산업 △수소 △태양광 및 태양열 △풍력, 소수력, 지열 △해양 △바이오가스
해당 기사 보러가기 : http://kr.aving.net/news/view.php?articleId=1712410
에이빙 공식 홈페이지 : http://kr.aving.net
에이빙 유튜브 채널 : https://www.youtube.com/user/aving/about
에이빙뉴스 페이스북 : https://www.facebook.com/aving.net/
[Coffee Editor Y] 일회용컵 | 일회용컵 보증제 도입 | 누굴위한법인가
#일회용컵 #환경정책 #자원순환보증금
안녕하십니까.
커피뉴스 읽어주는 남자 Editor Y입니다.
2022년 6월부터 시행하는 일회용컵 보증제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고 하는데요.
실무자의 충분한 의견이 없이 나온 안타까운 제도가 아닌가 싶습니다.
소비자 입장에서, 그리고 다른 대표님들께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하네요.
보시고 여러분들 의견도 자유롭게 댓글로 남겨주세요.
커피맛의 기준 엘카페 : https://www.elcafe.co.kr
커피를 향한 꿈같은 여행 : https://www.youtube.com/c/커피어드벤처CoffeeAdventure
커쟁이 : 저 어릴적에도 롯데리아 콜라컵 반환하면 100원 돌려주는 제도가 있었던거 같은데, 그 시절에서 바뀐게 거의 없어보이네요..20년가량 흐른거같은데..
진짜 핵사이다급 청량한 뉴스 잘 봤습니다.
김경희 : 일회용컵 쓰지말아야하는데 ...편의성에 길들여진 요즘 양사장님 생각에 동의합니다.
그래도 환경은 지키려고 노력하는 엘프중 한사람입니다 ㅎㅎ
지룽이 : 보증금 300원 + 라벨 비용 약 7원 + 처리 지원금 4원 / 11원
이 모든게 가게 점주 개인부담입니다.
기본 1롤에 1000장이고 추가비용 합치면 318,000원이구요,
1롤 시켜서 되는 것도 아니고 초기물량 폭주로 인해 여러개 넉넉하게 시켜놔야합니다
물량 부족이나 주문 누락, 배송 지연으로 라벨이 없어도 영업을 못하고 라벨 없이 영업시 과태로 300만원이라네요?
넉넉히 10롤 시키면 약 318만원이라는 돈이 필요한데 당장 하루아침에 몇백만원 선불 결제해라 하면 그 돈은 정부에서 줍니까? 하늘에서 뚝 떨어집니까?
보증금 300원 손님한테 받는다쳐도 나머지 라벨비랑 처리지원금은 누가 보상해줍니까?
결제는 카드결제하고 보증금은 현금으로 돌려주면 카드 수수료로 나가는 돈은 누가 충당해줍니까?
당장에 월세내고 인건비 내기도 빠듯해서 알바 자르고 하루 14시간씩 일하고 있는데 여기서 뭘 더 어떻게 해야합니까?
안해도 될 일을 시키는거면 적어도 손해는 보게 만들지는 말게 시스템 구축을 하고서 시행 명령을 하는게 맞는거 아닙니까?
말이 큰 기업 브랜드지 정작 가게 운영하는 사람들은 개인입니다.
왜 이런 정책에 개인이 사비를 들여서 시행하게 하는 말도 안되는 시스템으로 만들어놓고
계도 기간도 없이 바로 안따르면 벌금 300만원 때린다하면 끝입니까?
시행을 할거면 두세발자국만 가도 카페 천국인 이 레드오션에서 어디는 시행하고 어디는 안해도 된다하면 이건 그냥 프랜차이즈 죽이기 정책이네요
말이 프랜차이즈지 프랜차이즈 가게를 운영하는
개인들 죽이는 정책이에요
할거면 개인, 프랜차이즈 가릴 거 없이 전부 다 하라고 하세요;
프렌차이즈, 카페만 죽이려하지말고
할거면 모든 포장, 배달 업체 모두 하라고 하세요
환경이 걱정되면 애초에 카페 일회용 컵을 만들때 재활용이 되는 종이와 PET로 만드는 정책을 추진하세요
이딴 밑빠진 독에 물붓기 정책
명목상 환경보호지만 진짜 목적은 세금 거둬들이기 정책 하지말고요
반환 된 컵들도 1000개가 모여야만 회수해간다고 하더라고요
그 쓰던 컵들 천개 도대체 어디에 보관합니까
더더욱이 코딱지만한 가게에서 테이크아웃 전용으로 운영하는 점주들은 물류 놔두기도 터질것 같은 공간인데 그 쓰던컵 천개는 어디에 보관을 해야합니까
제발 생각좀 하고 만들고서 시행하라 마라 하세요
카페 일 안하는 일반 사람이 생각해도 이렇게까지 생각 못 해내요
진짜 어떻게 해야 이런 발상이 나오고 이런 정책이 시행될수 있는겁니까
도와주지도 못할거면 그냥 가만히라도 냅두세요 가만히 있어도 숨통 막혀서 숨쉬기도 힘드니까
Ho-woon Jeon : 사이다 감사합니다!
최광호 : 진심입니다...... 쓰레기에 대한 문제이면 차라리 싱가폴처럼 쓰레기를 버리면 벌금내는걸로 하던가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