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증증상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타라 조회 8회 작성일 2022-10-24 18:35:41 댓글 0

본문

우리아이 자폐가 의심된다면, 이 영상부터 보세요! (feat.소아정신과의사)

#자폐스펙트럼장애 #영유아자폐증상

자폐 스펙트럼 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SD)는 사회적인 상호작용의 질적인 저하와,
반복적이고 제한된 행동, 관심사를 특징으로 하는 발달장애 입니다.

스펙트럼(Spectrum)이라는 말에서 알수 있듯이,
ASD를 가진 아동들의 모습은 너무나 천차만별입니다.
아동의 나이와 발달수준등에 따라서 최적의 치료법도 조금씩 달라지구요~

하지만 모든 전문가들이 입을 모아 말하는것이 바로 조기진단!입니다.
아이가 ASD의 가능성이 있다면 이를 조기에 발견해서 도와줄수 있어야 한다는 뜻입니다.
조기진단이라하면 ✔24개월~ 36개월을 말합니다.
생각보다도 훨씬 더 어린나이지요?

사실 부모님들이 발달의 전문가도 아니고 다른 애들을 많이 키워본것도 아닌데
이렇게 어린 아이들에게서 ASD 의 가능성을 발견하기가 쉬운것은 아닙니다.

그럼에도 최근에는 유튜브를 포함해서 많은 매체들에서 ASD에 대해서 많이 이야기하고
전문가분들의 지식공유 뿐아리나,
ASD 로 진단받고 치료를 받는 아동의 부모님들께서도 경험도 공유해주셔서,
ASD의 조기진단, 그리고 인식 개선등에도 많은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것 같습니다.

이러한 선한영향력에 조금이나마 일조를 하고자 이번 영상을 준비했습니다.
소아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이신 박쌤은 현재 발달센터에서 아이들을 만나고 계십니다.
언어지연, 전반적 발달장애, 자폐 스펙트럼장애를 두루 진료하고 치료하고 계신데요.

그래서 오늘의 영상은 영유아를 키우면서
"혹시나 우리아이가 자폐가 아닐까"하고 걱정하시는 부모님들을 위해서 준비해보았습니다.

많은 정보들이 있어서 긍정적인 영향들이 있지만,
또 그 정보를 어떻게 해석하고 받아들이느냐가 정말 중요한데요.
✅그래서 "영유아의 자폐의심시 중요하게 보아야 할 사인 3가지"를
앞으로 총 2편에 걸쳐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1)눈맞춤 eye contact
2)호명반응 Response to name calling
3)감정의 공유 sharing emotions- 포인팅 pointing

그리고 2편에서는 집에서 체크해볼수 있는 자폐체크리스트도 공유해드리겠습니다!

자폐 스펙트럼장애에 관한 내용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꾸준히 업로드될 예정이니,
주변에 도움이 필요한 분들께 널리 널리 알려주세요~
(feat. 홍익인간 정신)

감사합니다!!


**✔영상내용에 관한 부가 설명✔**
영상 중 "언어와는 관계가 없다"고 나오는 부분이 있습니다.
이 부분은 "말이 느리다고 해서 무조건 자폐를 의심해야 한다"
혹은 "말을 잘 하면 무조건 자폐가 아니다"
는 것이 아니라는 말을 강조하려는 의도에서 제작을 한 부분인데,
오해의 소지가 있을것 같습니다.

자폐 진단의 기준에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어려움과,
언어사용의 비전형성등이 포함되어있고,
또한 자폐스펙트럼장애를 가진 아동들의 많은 아이들이 언어지연이 초기에 나오는 모습들 중 하나입니다.
이부분에 대한 오해업으시길 바라며,
앞으로는 영상 제작에 더욱 신경쓰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영상 속에 예시로 사용된 영상들은 @함께웃는재단정보나눔 에서 자세히 보실수 있습니다.

✔함께 웃는 재단
함께 웃는 재단은, 함께웃는재단은 (주)서플러스글로벌이 사회공헌 사업의 일환으로써
발달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웃는,
함께 행복한 사회를 구현하고자 2012년에 설립한 사회복지법인입니다.

포털사이트, 유투브, SNS 등에 현장전문가 컬럼, 국내외 연구자료, 해외 영상 및 자료 번역 제공, 함께웃는시리즈 도서출판 등 발달장애에 관련한 전문 컨텐츠를 구축하고 있으며, 오티즘 엑스포를 비롯하여 대한민국 자폐성장애 이해향상 UCC공모전, 함께웃는음악회, 발달장애작가 미술전시회지원등을 통한 장애인식 개선사업과 발달장애 당사자 및 가족의 역량강화와 사회통합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자폐스펙트럼 장애에 관한 다양하고 유익한 정보들이 많으니 참고하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우리어린이의 박쌤도 최근에 재단과 함께 치료영상을 만들었습니다.
링크는 여기에 ; https://www.youtube.com/watch?v=3qEIfxUwpSQ\u0026t=21s
root루트 : 우리 둘째아이가 25개월인데요. 오늘 설명해주신 선생님께 상담 받아보고 싶어요. 어떻게 찾아뵐 수 있을까요? 우리 둘째아이는 뇌질환이 있는 아이인데요. 발달이나 자폐 관련해서 상담받고 싶어요.
투잇 : 아가가 집에 온 지 2주, 태어난 지 한 달되었어요!ㅎㅎㅎ.... 정말 정보가 많으니 이런 저런 걱정, 하지 않아도 될 걱정을 하게 되더라고요. 적당한 경계? 정확한 정보 전달을 위해 제작해 주신 영상 잘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jn K : 자폐스펙트럼에 대한 가장 이해하기 완벽한 영상이예요.
Rachel Seo : 안녕하세요 손쌤 박쌤! 캐나다 밴쿠버에 살고 있는 10개월 아가를 둔 초보맘 레이첼 입니다. 늘 좋은 정보를 공유해 주셔서 항상 감사해요.
그리고 많은 고민끝에 이렇게 글을 씁니다. 얼마전 저희 사랑스런 4개월 조카가 Infantile Spasms 판정을 받고 약물치료를 시작했고 정확한 원인을 알기위해 MRI 기다리고 있어요. 보통 Tuberous Sclerosis Complex가 있는 애기들이 Infatile Spasms 이 같이 있다고 하네요. 제발 TSC는 아니길 바라며 하루하루 기도하고 있어요. 정말 다행히도 굉장히 빨리 캐치 했다고 하네요. 그런데 이 무서운 병은 워낙 드물에서 도움이 될 만한 최근 자료가 찾기 쉽지 않네요.
그러다 제가 매일 밤잠 수유하며 애청하는 우리동네 어린이병원이 생각났어요. 저뿐만 아니라 이렇게 초기 발견이 중요한, 특히 유아스파즘을 분별할 수 있는 방법, 최근 스터디나 쌤님들 경험담, 의견, 조언, 어떻게 이런 아이들에게 조금 이나마 더 도움이 될 수 있게 키워야 하는지 등등 이 주제에 다뤄 주시면 정말 많은 도움이 될것 같아요.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글을 남깁니다.
쌤님 모두 행복한 주말 되세요. 감사합니다!
yoo moong : 임신 땐 우리동산! 출산 후에는 우리어린이! 두 채널에 늘 도움 많이 받아요 ^^

말 늦고 눈맞춤 안 되는 아이, 자폐 스펙트럼 장애일 수도 / YTN

[앵커]
지난주에 이어 아이들을 위한 건강정보 알아봅니다.

이번 주는 영유아 자폐 스펙트럼 장애입니다.

뒤늦게 말문이 트이는 경우도 있지만, 아이가 할 줄 아는 말이 극히 적고 눈 맞춤이나 이름을 불러도 바라보지 않을 경우 정확한 진단을 받고 빨리 치료에 들어가는 게 필요하다고 합니다.

김정회 기자입니다.

[기자]
자폐 스펙트럼 증상이 의심돼 놀이 검사 중인 23개월 아기입니다.

불러도 쳐다보지 않고 눈앞에서 강아지 인형이 재롱을 피워도 장난감 자동차 바퀴에만 시선을 둔 채 놉니다.

탑 쌓기 놀이도 똑바르게 위로만 쌓길 고집합니다.

[자폐 스펙트럼 증상 아동 어머니 : 엄마, 아빠까지는 했는데 아빠도 이제 안 하더라고요. 오로지 엄마만. (부르면 반응하는 것이) 거의 없어요. 10번 중 한두 번 눈 마주치고.]

자폐 스펙트럼 장애는 의사소통, 상호 작용에 결함을 보이고 특정 관심거리에 반복적 행동을 하는 뇌 신경 발달 장애입니다.

발달 단계에 따라 나타나는 증상이 광범위해 자폐로만 불리다가 이젠 자폐 스펙트럼 장애로 불립니다.

[이지원 / 순천향대 부천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 원인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아이의 사회성을 관장하는 뇌 발달에 연관된 다수 유전자 변이가 복합적으로 발생하는 거로 보입니다.]

유전적 결함에 의한 장애라 12개월에서 18개월이면 증상이 보입니다.

언어 발달이 늦고 눈 맞춤을 안 하는 게 대표적입니다.

이름을 불러도 반응이 없고 엄마나 아빠가 웃을 때 따라 웃지도 않습니다.

강한 집착, 그에 반해 주의력은 부족하고 모방 행동도 드뭅니다.

자라면서 ADHD, 불안 장애, 우울증, 틱 장애가 동반되기도 합니다.

[이지원 / 순천향대 부천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 ADHD와 자폐 스펙트럼 장애가 동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이가 자폐 스펙트럼 장애가 있으면서 산만하고 충동 조절이 안 되는 경우가 40∼80%까지….]

선천적인 질환이지만 돌 무렵부터 증상을 보이는 만큼 조기 진단으로 36개월 전에 치료를 시작하면 예후가 좋습니다.

때 되면 나아지겠지 하다간 자칫 치료 시기를 놓칠 수 있습니다.

때문에 말도 늦고 눈 맞춤이나 같이 놀기가 잘 안 되는 경우, 한 가지 관심사에만 집착할 경우엔 병원을 찾는 게 필요합니다.

또 부모의 양육 태도나 환경 문제로 생기는 질환은 아니지만, 아이들이 부모와 애착 관계가 더 생기도록, 같이 놀고, 함께 하는 시간을 더 갖도록 노력하는 게 중요하다고 전문의들은 조언합니다.

YTN 김정회입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YTN은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YTN을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온라인 제보] www.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001180221098382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YTN \u0026 YTN PLUS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우꺄우우우 : 29갤에 발견해서 치료중인데 진짜 좋아지기는해요..ㅜㅜ지금은 부모가 케어해주지만 혹시라도 부모가 돌봐주지 못하는 상황이 생길때 미래가 너무 걱정되네요ㅜㅜ
코코볼마시쩡 : 발달장애 아동들을 많이 보는 치료사입니다. '우리 아이가 장애가 있을까? 없을까?'하는 생각에 대학병원이나 소아정신전문병원 10군데 왔다갔다하는 것 보다는 아이의 현 수준이 발달상 지연된다면 빨리 중재해주세요.. 장애를 받아들이기 어려우시겠지만 골든타임 놓치지 않도록요..
임상에 있으면서 항상 안타까운 마음에 글 남깁니다..
최서형 : 미래의 내 아이의 장애는 무섭지가 않은데, 그 애가 살아내야 하는 세상이 너무 무섭다. 애를 가지기 전에 사람의 발달과정에 대해 많이 배워두고 익혀놔야겠다.
찡찡이 : 대학병원보다 발달센터가서 치료먼저 받는게 좋아요
수리 : 친척중에 자폐아 있는데 일단 사람 눈을 안마주치고 옆에서 이름을 수없이 불러도 대답도 않고 쳐다보지도 않음... 말이 심하게 늦음 말을 못하니 싫은게 있으면 악을쓰고 집어던지는 행동으로 표출되더라..

뇌전증·자폐증, 후천적 뇌 발달장애 원인 밝혔다 / YTN

[앵커]
간질로 불리는 뇌전증과 자폐증은 대표적 난치성 질환으로 알려졌는데요.

후천적인 뇌 돌연변이로 인해 나타나는 이런 질환의 발생 원리를 국내 연구진이 처음 밝혀내 뇌 발달장애 환자 치료에 도움을 줄 전망입니다.

이정우 기자입니다.

[기자]
뇌전증과 자폐증은 주로 후천적 뇌 돌연변이 때문에 발생합니다.

후천적 뇌 돌연변이로 인해 신경세포 이동장애 증상이 발생한다는 사실은 이미 밝혀졌지만, 근본적 원인에 대해서는 아직 확인된 게 없습니다.

국내 연구진이 뇌전증, 자폐증과 밀접하게 연관된 대뇌피질 발달장애 환자의 뇌 조직에서 엠토르(mTOR) 유전자의 후천적 뇌 돌연변이가 발생한다는 사실을 처음 확인했습니다.

[박상민 / KAIST 석박사 통합과정(1저자) : 대뇌피질 발달 기형 환자들에게서 보이는 신경세포 이동 장애가 왜 일어나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생리학적 발병 기전을 저희가 최초로 밝혔다 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연구팀은 엠토르 돌연변이를 가진 신경세포에서 세포의 작은 기관인 일차 섬모의 생성 기능이 망가졌음을 확인하고, 이것이 신경세포 이동장애를 일으키는 것을 밝혔습니다.

또, 돌연변이를 가진 신경세포에서 과다하게 축적돼 일차 섬모 생성을 방해하는 역할인 OFD1 단백질 발현을 억제해 일차 섬모의 생성을 회복시켰습니다.

이번 연구결과는 후천적 뇌 돌연변이로 인한 뇌 발달 장애 환자들의 치료에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보입니다.

후천적 뇌 발달장애 환자의 대표적 증상인 신경세포 이동결함이 그동안 주목하지 않았던 일차 섬모라는 세포 소기관의 생성으로 설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정호 / 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 : 신경세포 이동을 저희가 회복을 시킨다면 난치성 간질이나 자폐증 환자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지 않을까 라고 생각을 해서 저희가 후속 연구를 진행 중에 있습니다.]

이번 연구결과는 신경생물학 분야 국제 학술지 '뉴런'에 실렸습니다.

YTN 이정우[ljwwow@ytn.co.kr]입니다.

▶ 기사 원문 : http://www.ytn.co.kr/_ln/0115_201807100328554523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8585@ytn.co.kr,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Naomi Lee : 얼른 약 개발되어 우리 자폐 아이에게도 먹이는 날이 빨리 왔음 좋겠어요!!
느나 : 중1때 학교에서 극심한 교우관계 스트레스로 인해서 공황장애가 왔고, 공황장애가 오자 기존에 선천적으로 가지고있던 약한 몽유병이 공황장애랑 겹치면서 몽유병마저 새벽중에 급작스레 깨어나서 이유모를 엄청난 공포를 느낄정도로 심각하게 발전이 됐었습니다.
덤으로 자폐증상까지와버렸습니다. 예로는 까치발을 들고 다닌다던지,뒷 머리를 자꾸 빻아야 마음이 안심이 된다던지 무조건 한여름에도 모자를 써야 안심이 된다던지 이러한 증상들이 나왔었습니다.

중학교 2학년에 제가 학교에서 정말 정말 좋은친구들을 만나서 교우관계로인한 공황장애가 점차 사라지고 나니 몽유병과 자폐증상또한 점점 없어지기 시작했습니다.

중학교 3학년 시절에는 교우관계가 원만해지지가 않고 중1때처럼 돌아가 버렸습니다.
그로인해 공황장애가 점차 생기며 잠들어있던 몽유병과 자폐증상이 하나 둘씩 나오기 시작했습니다.
고1때는 또 좋은친구 들을 만나서 공황장애가 다시 사라지고 어느정도 머리가 커서 스스로 마인드컨트롤도 가능해지고 정신력이 강해져서
공황장애가 아예 사라졌습니다.

이전의 저처럼 후천적 자폐증상을 앓고있는 분들과 부모님들은 자신이나 자신의 자녀가 공황장애 증상이 있거나 자폐증상이 있는지 유심히 관찰하시고 원인을 찾는게 제일 중요합니다.
저의 경우는 가족관계나 상황,교우관계가 얽혀서 공황장애가 왔고, 공황장애로 인해서 다른 복합적인 정신적 질환이 온것입니다.
저처럼 정신적 질환을 없애고 치료하고싶으시면 원인을찾고 원인을 없애셔야합니다.
제 글을보고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Jack O Lantern : 도대체 저런 끔찍한병들은왜 생기는거냐....부모가슴찢어지게....
Frontman : 약으로 자폐환자가 완치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완치의 길이 열리길 기원합니다.
김수박 : 우리 아이도 치료가 될수있다면..

... 

#자폐증증상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3,993건 634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www.uljinpension.kr. All rights reserved.  연락처 : cs@ep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