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사시보충제판매점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하트러버 조회 15회 작성일 2022-10-26 10:44:18 댓글 0

본문

단백질 보충제는 꼭 이 제품으로 섭취하세요. (건강을 해치는 프로틴이 많습니다)

드디어 단백질 보충제, 프로틴에 대해 준비했습니다.
정말 많은 사람들이 애용하는 영양제인데도,
제대로 된 제품 추천은 찾기가 쉽지 않습니다.

콜레스테롤 뿐 아니라 중금속이 발견되는 제품도 있어서,
성분표 뿐 아니라 품질도 반드시 확인하고
구매하시길 바랍니다.

* 이 영상은 그 어떤 광고도 포함하고 있지 않습니다.

감사합니다.


약사 메디슨맨의 영양제 정리 \u0026 상담 웹사이트
https://medimantv.com

문의\u0026상담
mediman@kakao.com


#단백질 #프로틴 #보충제
#운동 #헬스 #근육 #근성장
약사 메디슨맨 TV : 좋은 품질의 영양제 정리 & 상담을 위한 사이트를 개설했습니다.
많은 이용 부탁드립니다!
https://medimantv.com/
근육비계 : 보충제 계속 먹으면 간 기능이 안 좋아 진다는걸 어디서 본것 같은데 사실인가요? 간은 한번 나빠지면 다시 돌아오기 힘들다던데. 보충제 안 먹어도 상관없나요? 그리고 BCAA나 크레아틴 아니면 아르기닌 같은 영양제는 먹는게 좋은 건가요?이것들도 많이 먹으면 간에 부작용 있나요?
BetterThanYesterday : 안녕하세요. 역시 옵티멈뉴트리션과 마이프로틴은 어느정도 검증되었나 봅니다. 신타6의 경우 품질은 괜찮으나 첨가물이 너무 많이 들어간거 같네요. 혹시 combat 제품이나 아이언맥스 제품은 어떤지 여쭤봐도 괜찮을까요? 부모님께 드리고 싶은데 관련 정보를 찾기 힘들어서 가능하시다면 조언부탁드립니다. ( 둘다 대형 기업같기는한데 생각보다 평가자료가 없네요)
파란 : 메디슨맨님 설명하신 크레아틴 관련 영상을 보고 구독하고 있습니다. 항상 양질의 정보 제공 감사드립니다. Jarrow Formulas, 유청 단백질, 초콜릿 <<<<이제품은 혹시 괜찮은 제품인지 궁금합니다.
여름덥다 : 영상들 정주행 후 궁금한거 하나 질문드립니다.
몸무게가 100kg인 건장한 성인남자와 몸무게 50kg인 여성의 각종 영양제 복용량은 약병에 써있는데로 똑같은건가요?
예를들어 마그네슘의경유 400mg이 남성/여성 체격차이가 큰데 동일한 복용량인지 궁금합니다. 아니면 몸무게별 단밸질 필요량 처럼 각각의 기준이 있는건가요?

보충제 시장 1등급 고인물 스포츠영양사의 국산vs외국 단백질 보충제 전격비교

일단 보고.....
찌쥬방 : 피톨로지 영상을 챙겨보지는 않았지만 간혹 영상을 보다가 처음으로 이렇게 댓글을 써봅니다.
먼저 현재 한국의 단백질보충제 시장을 정확히 분석해주셔서 너무 좋네요.
저도 얼마전까지 이런 단백질보충제를 OEM 생산해서 판매를 했습니다.
해외에서 보충제 시장을 직접 경험하고, 한국 단백질 보충제 시장에 대한 분석도 정말 오래하고 사업을 진행했으며,
꽤 오래 판매를 진행했지만 한국 단백질 보충제 시장의 한계를 경험하고 이제 정리하게 되었습니다.
우수님께서 말씀하신 부분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몇가지 얘기를 해보고자합니다.

1.싼게 좋다.
- 이부분은 50%정도 공감합니다.
물론 Whey 단백질을 기준으로 말씀해주셨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해서는 50% 정도 동감합니다.
우유에서 가공한 Whey의 경우 다른 부산물에 활용가능성이 있기때문에 Whey가 저렴합니다. 다만, 다른 식물성 단백질원료르 보게되면 단백질원료로 가공을 하고 남은 부산물에 대해서는 활용도가 매우 떨어지는 상황입니다.
저도 처음 진행할때는 농업실용화재단을 통해서 한국에서 쌀단백을 직접 가공하고 저희 제품에 직접 사용할 정도로 국산화율이 높았습니다. 다만, 이렇게 국산 쌀단백질을 만들고나면 나머지 부산물을 활용해 추가 수입이 창출되어야 하는데 거기서 끝입니다. 따라서 쌀단백을 국내에서 만들어놓고도 수익구조가 안나오기 때문에 국내산 쌀단백질을 개발하고도 사용이 힘든 상황입니다. 미국의 낙농업이 매우 발달을 하기도 했고, 우유를 통해서 여러가지 가공원료가 나오기때문에 whey단백질의 경우 가격 싼것이 최고다라는 부분은 동의될 수 있지만, 식물성 단백질(ISP를 제외한)은 아직 단순히 가격만 보고 비교하기는 힘들어 보입니다.

2. 원료가 단순할수록 좋다.
- 이 내용은 정말 100% 아니 10,000% 동의합니다.
한국에서 단백질 보충제 특히 보디빌딩을 전문으로 하지 않고 생활 체육인 또는 미용을 목적으로 하시는 분들이 먹는 제품일수록 단백질 보충제의 원재료는 정말 너무 많습니다. 저는 원료가 평균 10개, 아무리 많아도 13개의 원재료를 넘지 않았습니다. 클린라벨 시장을 보고 제품을 개발하고 생산하였지만, 인스타그램에서 홍보하는 또는 일부 운동하는 인플루언서들이 판매한 제품을 보면 원재료가 30개에서 많으면 50개까지도 있습니다. 이렇게 원재료가 많아지는 이유는 우수니께서 말씀하신거처럼 원가를 낮추기 위함이 정말 100%입니다. 제품의 상세페이지를 보면 원료A가 들어있어서 어디에 좋고, 원료B가 들어있어서 어디에 좋고 이런 말들이 정말 많이 있습니다. 근데 그 원재료의 함량을 확인해보면 총원료의 1%는 커녕 0.1%도 안들어있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식품표기상 소비자를 기만하는 방법도 정말 많이 있습니다. 단적이 예로, 딸기맛 단백질쉐이크라고하면 사람들은 원재료명에서 딸기라는 글씨와 함량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뒷면의 원재료 및 함량을 보면 최하단에 딸기분말(딸기95%, 덱스트린, 설탕.........) 95%라는 숫자는 또 희안하게 더 크게 써있습니다. 이렇게 써있으면 사람들은 딸기가 정말 많이 들어갔구나 라고 생각을 하는데 이거는 식품표기법을 정확하게 지키면서도 소비자를 기만하는 마케팅 방법입니다. 딸기분말을 만들기 위해 사용된 1차 가공된 딸기의 원재료가 95%라는거지 저 안에는 2차가공된 딸기분말은 실제 0.1%가 사용되었는지 10%가 사용된건지 제품만 보고는 알수가 없는 상황입니다. 그리고 저런 딸기맛, 바나나맛, 고구마맛 이런제품들은 섭취하는 과정에서 느끼는 맛은 거의다 원리가 똑같습니다. 딸기향분말(합성향료)+설탕입니다. 동결건조된 100% 원물의 경우 거의 아무 맛이 나지 않기도 하고, 원가가 높아서 많이 넣을수 없는 구조입니다.
따라서, 원료가 단순할수록 좋다는 말은 정말 많은 사람들이 알았으면 좋겠습니다.

3. 몇개의 제조공장에서 스티커만 바꿔서 생산된다.
이부분은 70%정도 동의합니다. 한국에 전통적으로 단백질보충제를 생산하는 회사가 몇곳이 있습니다. 일반적인 단백질보충제의 경우 이러한 몇몇 공장에서 가지고 있는 기본 레시피(배합비)를 통해서 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포장방식도 사용되는 컨테이너도 동일합니다. 단지 스티커만 바꿔서 마케팅을 달리해서 생산을 하고있죠. OEM이라기 보다는 거의 ODM으로 보는게 더 정확합니다.
제조사에서도 배합비를 바꾸거나 새로운 원료를 사용하는것을 썩 좋아하지 않습니다. 생산 기계 청소도 그렇고 새로운 원료를 보관하는거도 좋아하지 않기때문이죠.
최근에는 커피분말을 다루던 공장, 선식을 만들던 공장 이런곳에서도 단백질 보충제를 많이 만들고 있습니다. 영양성분에 크게 의미를 두지 않고, 온갓 알수없는 원료를 이용해 정말 맛있게 잘 만드는곳은 기존 단백질보충제 공장이 아니고 이런 커피분말, 선식분말을 다루는 곳이거든요. 위에서 말했던 생활체육 또는 미용을 목적으로 하시는분들이 먹는 제품은 대부분 이런 후자에서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온갖 마케팅을 통해서 해외에서는 정말 찾아볼 수 없는 완벽하면서도 정말 맛있는 단백질이기때문에 인스타그램, 페이스북에서 정말 광고를 많이하고, 인플루언서들이 공동구매도 정말 많이 하고 있죠. 저는 정말 건강을 생각한다면 이런 제품은 걸러줬으면 좋겠습니다. 일단 이런곳에서 사용되는 원료는 정말 원가가 상상을 초월할정도로 저렴하기도 하지만, 정말 중요한거는 유통기한입니다. 우수님께서 말씀하신거처럼 유통기한은 최종 포장을 한 날로부터 다시 시작이 됩니다. 제조를 하는 거래처를 통해서 들은 얘기지만 간혹 정말 악질 쇼핑몰의 경우 유통기한이 한달남은 whey 원재료를 가져와 제품 생산을 하고 유통기한을 2년을 찍어달라고 웃돈까지 주면서 요청한다고 합니다. 그렇게 되면 유통기한이 한달남은 whey원재료가 2년의 새로운 생명을 얻게됩니다. 자동차로 치면 부활차랑 똑같습니다. 택시나 렌터카로 이미 그 목적을 다하고 일반사용사로 목적이 바뀌면서 마치 포멧하는 듯한 상황이랑 똑같습니다.
이렇게 해외 원료회사에서 생산된 원료가 배를타고 한국에와서 한국 원물상이 제조사 또는 2차 원물상을 갔다가 제조에 투입되기까지 정말 많은 시간이 걸리는데 소비자가 먹는 단백질 원료는 빠르면 빠를수도 있겠지만 생산된 1년에서 2년된 단백질이 대부분인거 같습니다.

동영상을 보고 느낀게 정말 많아서 두서없이 글을 쓰게 되었네요. 저도 이런 획일화된 단백질 보충제 시장을 바꿔보고자 정말 오랜기간 노력했지만, 한국이라는 나라의 구조상 쉽게 바뀌기는 힘든 상황인거 같습니다. 언젠가는 이 시장도 변화가 있을 수 있겠지만 그런 시장을 바꾸는 사람이 대기업이 아닌 진짜 관심이 많은 사람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새롭게 시작한 회사의 제품을 대기업에서 그대로 카피하고, 마케팅으로 초반에 돈을 써서 마치 자기가 원조인거마냥 그런 몹쓸짓은 하지 않았으면 좋겠네요.
Paltroy : 10만이나 되는 건강관련 유튜버가 이런 말을 하다니 용기에 감사합니다
하비에르자네티 : 한창 헬린이 시작한 20대 때 유명포털 사이트서
우수님 알게되고 포스팅 보면서 상담도 제법
받으면서 보충제 정보 겟하면서 운동했는데
그때 얻었던 지식이 10년이 지나도 여전히
남아있어서 도움이 많이 됩니다.
그런 우수님을 영상으로 보니 반갑고 신기해요
스벅빌런 : 이런 양질의 고품격 영상을 보다니.. 구독자 수 떡상 해야한다 진짜.
뇌출혈바디빌더 : 4:00정도부터 유통기한에 대한 이야기...
소오름... 분명 들었던 정보인데 우수님이 정리와 비교를 너무 잘 해주시네요!!!

국산보충제, 해외보충제 어떻게 다른가?

좋아요 구독 부탁드리요 ^-^bb

동면중의 운동 도우미
http://wintersleeping.com/

동면중 카페 (자료 올리는곳)
https://cafe.naver.com/hibernating

Polar 심박계
https://coupa.ng/bi1bSS

마이프로틴 구매
http://bit.ly/SportKoreanMP
할인코드 Dcextra
추천인코드 Daejin-R2

아이허브
https://iherb.co/qjf6Y3Bh
추천인코드 ARM5054

쿠팡 구매 링크
https://coupa.ng/bhBaKC

후원
https://toon.at/donate/636768471542670760
https://twip.kr/donate/hibernating89 해당 링크를 통해 구매시 동면중에게 도움이 됩니다.
최세훈 : 유니버셜사 어떤가요?
카일의 맨몸운동 성장기 : 보충제 관련 궁금한거 많았는데 명쾌하게 풀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김태훈 : 몸을 키우려고 운동을하고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등을 섭취하고 있는 분들이 많을텐데 뱃살이 유독 많이나오게되는 이유를 영상으로 다뤄주시면좋을것같아요
It’s Bona Kim : 잇츠보나킴 : 식물성 단백질 보충제도 운동 도우미에 추가해주시면 너무 좋을 거 같아요 ㅠㅠ 저는 비건이라.. 미국 사는데 미국 제품 조심해야겠네요. 저는 Nuzest 꺼 먹는데...
음음 : 진짜 동면중 영상 도움 많이 됨!
더 흥하자!

... 

#무사시보충제판매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3,993건 633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www.uljinpension.kr. All rights reserved.  연락처 : cs@ep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