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져1호
페이지 정보
본문
보이저 1호에서 이상 징후가 포착되었다?! | 태양계 끝에서 날아온 슬픈 신호... | NASA 공식 백서 공개
#보이저 #Voyager #태양계 #나사 #NASA #보이저1호 #보이저2호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우주 #성간 #인터스텔라 #Interstellar #칼세이건 #창백한푸른점 #palebuledot #carlsagan
칼럼 링크
https://m.post.naver.com/my/series/detail.nhn?seriesNo=351775\u0026memberNo=30808112\u0026prev
NAVER 오디오클립 팟캐스트 링크
https://audioclip.naver.com/channels/143
레퍼런스
https://www.scientificamerican.com/article/voyager-1-leaves-solar-system/
https://www.nature.com/articles/nature.2013.12662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50-019-0928-3
https://www.jpl.nasa.gov/news/nasa-contacts-voyager-2-using-upgraded-deep-space-network-dish
https://voyager.jpl.nasa.gov/mission/status/
https://agupubs.onlinelibrary.wiley.com/doi/full/10.1002/grl.50383
https://voyager.jpl.nasa.gov/news/details.php?article_id=114
https://voyager.jpl.nasa.gov/news/details.php?article_id=116
https://voyager.jpl.nasa.gov/mission/science/jupiter/
https://www.jpl.nasa.gov/news/engineers-investigating-nasas-voyager-1-telemetry-data
본 컨텐츠는 NAVER 네이버 \u0026 비즈한국의 지원으로 제작됩니다.
javaxer jack : 40년간 별 문제 없이 작동해준거 자체가 이미 예상을 넘어가는 일이죠.
반데라스안토니오 : 70년대 만들어진 보이저호를 지금 지구에서 통제 한다는 것에 할 말이 없다. 그당시 보이저호를 제작한 과학자가 너무나 위대하다는 말밖에... 정말 감동 그 자체다...
팽나무그늘에서 : 상상이 안 되는 광활한 우주를 외롭게 여행하며 우주의 정보를 전해주는 보이저호가
따뜻한 피가 흐르는 살아있는 생명체로 느껴지는군요. ^^
김철수 : 항상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전문정보를 본질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쉽게 '이해가도록' 설명해주는 과학채널은 여기가 최고인것같습니다..ㅠㅠ
정수철 : 태양계 끝을넘어 성간우주에서도 지구에서 보이져호를 무선으로 작동시킬수 있다는것도 신기하군
얼마전 갑자기 의문의 데이터를 보내기 시작한 보이저 1호
Instagram ID @archiveyoutube
#보이저1호 #Voyager #NASA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NASA 제트추진연구소의 엔지니어들은 얼마전 수신 받은 보이저1호의 데이터 때문에 대 혼란에 빠졌습니다.
https://www.jpl.nasa.gov/news/engineers-investigating-nasas-voyager-1-telemetry-data
맴버쉽 가입: https://www.youtube.com/channel/UC1Do3xw9OuUk7FQuPTmSVOw/join
※ 후원 : https://toon.at/donate/knowledge
--------------------------------------
제보 및 비지니스 문의
E-Mail : asdfg3663@gmail.com
Blog : http://blog.naver.com/asdfg3663
Instagram : https://www.instagram.com/archiveyoutube/
--------------------------------------
BGM 정보
Savfk - Ultra :
웅장한 느낌의 곡 - TTRM
지식보관소 : NASA 제트추진연구소의 엔지니어들은 얼마전 수신 받은 보이저1호의 데이터 때문에 대 혼란에 빠졌습니다.
https://www.jpl.nasa.gov/news/engineers-investigating-nasas-voyager-1-telemetry-data
------- 제보/소통/질문 -------
Instagram : https://www.instagram.com/archiveyoutube/
Blog : http://blog.naver.com/asdfg3663
------- 부계정(보관소TV) -------
https://www.youtube.com/channel/UCjjPpn-_LcSQXlOKiQWiiMw
------- 비지니스 문의 -------
E-Mail : asdfg3663@gmail.com
너굴이 : 빛의 속도(전자기파의 속도)가 아무리 빠르다고 한들 그 빛이 목표물까지 무사히 도달해야 의미가 있다는 걸 생각해보면, 저 먼 거리까지 신호가 전달되고 또 그 신호가 다시 지구까지 도달한다는 게 신기하네요. 1977년 기술로 ㄷㄷ 일반인들은 드론이나 RC 기기, 휴대폰 등등의 기기들로 무선 신호를 접하다보니 저렇게 먼 거리까지 신호가 오고갈 수 있다는 게 실감이 안나요.
신효섭 : 정말 상상도 못 할 정도로 먼 여행중인 보이저호가 아직까지 지구와 통신이 가능하다는 점이 정말 놀랍네요. 또 기계에 불과하지만 묵묵히 외롭게 혼자 지구상 가장 먼 여행을 하고 있다는 것이 외롭고 비장하게 느껴지기까지 합니다. 보이저호 프로젝트를 계획했고 실행중인 낭만 넘치는 과학자들에게 박수를 보냅니다.
K.Y Lee : 국민학교 6학년때인가...학생과학 잡지에 보이저 1,2 호기 발사에대한 내용을 본 기억이 있어요. 벌써 45년전이네요. 인류가 가보지 못한 영역에서 고군분투하는 보이저호를 응원합니다. 꼭 정상작동으로 많은 자료가 전송되기를...
_소연 : 거의 50년이 지난 기술로 그것도 엄청나게 멀리 떨어진 곳의 정보를 받을 수 있는 현대의 기술력이 정말 대단합니다. 2년 후 보이저호가 어떤 행보를 보일지 궁금합니다
우주다큐 1편 - 보이저 1호 233억km 비행 중 - 이상징후 감지 / 외계인에 메시지 보내는 과학자들 / 토성 위성 미마스 얼음 밑 바다 존재 / 목성 위성 유로파에 물 존재
태양계 밖을 벗어나 지구에서 약 233억㎞ 떨어진
성간 우주(interstellar space)를 비행하며
인류의 우주 탐사선 중 가장 멀리 진출한
'보이저1호'에 이상이 생겼습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 제트추진연구소(JPL)와 외신에 따르면
1977년 발사 이후
45년째 비행 중인 보이저1호는
여전히 성간 우주의 과학 자료를 수집해서 보내고
지구에서 전송한 명령을 수신해 이행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고성능 안테나를 지구로 향하게 하는 등
탐사선 및 장비의 방향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자세 및 접합부 제어시스템'(AACS)의 판독값과 실제 위치가
일치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 . .
Source: : https://www.youtube.com/channel/UCmHof0uMcf-KZOZfxmbRrOw/about?view_as=subscriber
Image Source :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New_shot_of_Proxima_Centauri,_our_nearest_neighbour.jpg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Artist%E2%80%99s_impression_of_Proxima_Centauri_b_shown_hypothetically_as_an_arid_rocky_super-earth.jpg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ESPRESSO_instrument_achieves_first_light_with_all_four_Unit_Telescopes.jpg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E3%81%AF%E3%82%84%E3%81%B6%E3%81%952.jpg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Jan_Mayen_in_Nordland,_Norway_and_Europe.png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A_Whirlpool_of_Stars.jpg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99942_Apophis_shape.png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Ryugu_rotation.gif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Ryugu_colored.jpg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Hayabusa2_Ion_thruster.jpg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Images_of_asteroid_Ryugu_from_the_wide_angle_Optical_Navigation_Cameras_(ONC-W1_and_ONC-W2)_via_Hayabusa2.jpg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41550_2021_1550_Fig5_ESM.jpg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SgrA2018.gif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Tiangong_1_drawing.png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Sag_A*.jpg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A_view_of_the_M87_supermassive_black_hole_in_polarised_light.tif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Arecibo_Radiotelescopio_SJU_06_2019_7472.jpg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Frank_Drake_-_edit.jpg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BlackHole_Lensing.gif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Cyanobacterial-algal_mat.jpg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Voyager2_1977-2019-overview.png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Cumberland_Falls_meteorite.jpg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Arabidopsis_thaliana.jpg
https://en.wikipedia.org/wiki/File:Mars_Global_Remote_Sensing_Orbiter_and_Small_Rover_at_IAC_Bremen_2018_09.jpg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Viking_lander_model.jpg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Iridium-4_Mission_(25557986177).jpg
nrck999@gmail.com
#보이저#우주다큐
광속의속도로 : 1년만 지나도 새로운 기술들이 나오는데 45년전에 보낸 우주비행체가 아직도 비행중이고 연락중이라는게 그당시 얼마나 기술집약해서 만들었는지 짐작되네요
Hee-Ya히야 : 이 2시간 영상을 만들기위해 얼마나 많은 시간을 할애하시어 제작에 힘 쓰셨을지 가늠이 안된다... ㄷㄷ 우주아저씨 존경합니다!
lin Tubu : 근데 진짜 이 아저씨 영상은 진짜 우주 연구가 어떻게 되어가고 있는지 세세하게 알려주는 영상이라서 보면 내용이 항상 신기하고 새로움 ㅋㅋㅋ
유튜브로 이런 정보들을 너무 쉽게 접근할 수 있어서 신기하기도... 그리고 저런 참고영상들도 갠적으로 맘에 들고 ㅎㅎ
김윤정 : 보이저호가 45년간 우주를 비행하며 아직도 약하게 신호를 보낸다는데 놀라움과 경이로움을 느낍니다 성간우주에 있는 보이저호는 인간이 만든 탐사선중 가장 위대한 걸작이고 영웅입니다
홍익인간 : 존경합니다
이런 전문적이고 교육적이고 미래지향적인 방송을 유튜브로 공짜로 시청할 수 있어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영어버젼 위주로 하신다면 구독자 1억 찍을 수 있으리라 확신합니다
우주개발에 진심인 큰행님들이 반드시 키워줄거라 확신합니다
돈이 목적이 아니라면 당신은 진정한 성인이십니다
#보이저 #Voyager #태양계 #나사 #NASA #보이저1호 #보이저2호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우주 #성간 #인터스텔라 #Interstellar #칼세이건 #창백한푸른점 #palebuledot #carlsagan
칼럼 링크
https://m.post.naver.com/my/series/detail.nhn?seriesNo=351775\u0026memberNo=30808112\u0026prev
NAVER 오디오클립 팟캐스트 링크
https://audioclip.naver.com/channels/143
레퍼런스
https://www.scientificamerican.com/article/voyager-1-leaves-solar-system/
https://www.nature.com/articles/nature.2013.12662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50-019-0928-3
https://www.jpl.nasa.gov/news/nasa-contacts-voyager-2-using-upgraded-deep-space-network-dish
https://voyager.jpl.nasa.gov/mission/status/
https://agupubs.onlinelibrary.wiley.com/doi/full/10.1002/grl.50383
https://voyager.jpl.nasa.gov/news/details.php?article_id=114
https://voyager.jpl.nasa.gov/news/details.php?article_id=116
https://voyager.jpl.nasa.gov/mission/science/jupiter/
https://www.jpl.nasa.gov/news/engineers-investigating-nasas-voyager-1-telemetry-data
본 컨텐츠는 NAVER 네이버 \u0026 비즈한국의 지원으로 제작됩니다.
javaxer jack : 40년간 별 문제 없이 작동해준거 자체가 이미 예상을 넘어가는 일이죠.
반데라스안토니오 : 70년대 만들어진 보이저호를 지금 지구에서 통제 한다는 것에 할 말이 없다. 그당시 보이저호를 제작한 과학자가 너무나 위대하다는 말밖에... 정말 감동 그 자체다...
팽나무그늘에서 : 상상이 안 되는 광활한 우주를 외롭게 여행하며 우주의 정보를 전해주는 보이저호가
따뜻한 피가 흐르는 살아있는 생명체로 느껴지는군요. ^^
김철수 : 항상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전문정보를 본질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쉽게 '이해가도록' 설명해주는 과학채널은 여기가 최고인것같습니다..ㅠㅠ
정수철 : 태양계 끝을넘어 성간우주에서도 지구에서 보이져호를 무선으로 작동시킬수 있다는것도 신기하군
얼마전 갑자기 의문의 데이터를 보내기 시작한 보이저 1호
Instagram ID @archiveyoutube
#보이저1호 #Voyager #NASA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NASA 제트추진연구소의 엔지니어들은 얼마전 수신 받은 보이저1호의 데이터 때문에 대 혼란에 빠졌습니다.
https://www.jpl.nasa.gov/news/engineers-investigating-nasas-voyager-1-telemetry-data
맴버쉽 가입: https://www.youtube.com/channel/UC1Do3xw9OuUk7FQuPTmSVOw/join
※ 후원 : https://toon.at/donate/knowledge
--------------------------------------
제보 및 비지니스 문의
E-Mail : asdfg3663@gmail.com
Blog : http://blog.naver.com/asdfg3663
Instagram : https://www.instagram.com/archiveyoutube/
--------------------------------------
BGM 정보
Savfk - Ultra :
웅장한 느낌의 곡 - TTRM
지식보관소 : NASA 제트추진연구소의 엔지니어들은 얼마전 수신 받은 보이저1호의 데이터 때문에 대 혼란에 빠졌습니다.
https://www.jpl.nasa.gov/news/engineers-investigating-nasas-voyager-1-telemetry-data
------- 제보/소통/질문 -------
Instagram : https://www.instagram.com/archiveyoutube/
Blog : http://blog.naver.com/asdfg3663
------- 부계정(보관소TV) -------
https://www.youtube.com/channel/UCjjPpn-_LcSQXlOKiQWiiMw
------- 비지니스 문의 -------
E-Mail : asdfg3663@gmail.com
너굴이 : 빛의 속도(전자기파의 속도)가 아무리 빠르다고 한들 그 빛이 목표물까지 무사히 도달해야 의미가 있다는 걸 생각해보면, 저 먼 거리까지 신호가 전달되고 또 그 신호가 다시 지구까지 도달한다는 게 신기하네요. 1977년 기술로 ㄷㄷ 일반인들은 드론이나 RC 기기, 휴대폰 등등의 기기들로 무선 신호를 접하다보니 저렇게 먼 거리까지 신호가 오고갈 수 있다는 게 실감이 안나요.
신효섭 : 정말 상상도 못 할 정도로 먼 여행중인 보이저호가 아직까지 지구와 통신이 가능하다는 점이 정말 놀랍네요. 또 기계에 불과하지만 묵묵히 외롭게 혼자 지구상 가장 먼 여행을 하고 있다는 것이 외롭고 비장하게 느껴지기까지 합니다. 보이저호 프로젝트를 계획했고 실행중인 낭만 넘치는 과학자들에게 박수를 보냅니다.
K.Y Lee : 국민학교 6학년때인가...학생과학 잡지에 보이저 1,2 호기 발사에대한 내용을 본 기억이 있어요. 벌써 45년전이네요. 인류가 가보지 못한 영역에서 고군분투하는 보이저호를 응원합니다. 꼭 정상작동으로 많은 자료가 전송되기를...
_소연 : 거의 50년이 지난 기술로 그것도 엄청나게 멀리 떨어진 곳의 정보를 받을 수 있는 현대의 기술력이 정말 대단합니다. 2년 후 보이저호가 어떤 행보를 보일지 궁금합니다
우주다큐 1편 - 보이저 1호 233억km 비행 중 - 이상징후 감지 / 외계인에 메시지 보내는 과학자들 / 토성 위성 미마스 얼음 밑 바다 존재 / 목성 위성 유로파에 물 존재
태양계 밖을 벗어나 지구에서 약 233억㎞ 떨어진
성간 우주(interstellar space)를 비행하며
인류의 우주 탐사선 중 가장 멀리 진출한
'보이저1호'에 이상이 생겼습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 제트추진연구소(JPL)와 외신에 따르면
1977년 발사 이후
45년째 비행 중인 보이저1호는
여전히 성간 우주의 과학 자료를 수집해서 보내고
지구에서 전송한 명령을 수신해 이행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고성능 안테나를 지구로 향하게 하는 등
탐사선 및 장비의 방향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자세 및 접합부 제어시스템'(AACS)의 판독값과 실제 위치가
일치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 . .
Source: : https://www.youtube.com/channel/UCmHof0uMcf-KZOZfxmbRrOw/about?view_as=subscriber
Image Source :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New_shot_of_Proxima_Centauri,_our_nearest_neighbour.jpg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Artist%E2%80%99s_impression_of_Proxima_Centauri_b_shown_hypothetically_as_an_arid_rocky_super-earth.jpg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ESPRESSO_instrument_achieves_first_light_with_all_four_Unit_Telescopes.jpg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E3%81%AF%E3%82%84%E3%81%B6%E3%81%952.jpg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Jan_Mayen_in_Nordland,_Norway_and_Europe.png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A_Whirlpool_of_Stars.jpg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99942_Apophis_shape.png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Ryugu_rotation.gif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Ryugu_colored.jpg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Hayabusa2_Ion_thruster.jpg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Images_of_asteroid_Ryugu_from_the_wide_angle_Optical_Navigation_Cameras_(ONC-W1_and_ONC-W2)_via_Hayabusa2.jpg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41550_2021_1550_Fig5_ESM.jpg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SgrA2018.gif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Tiangong_1_drawing.png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Sag_A*.jpg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A_view_of_the_M87_supermassive_black_hole_in_polarised_light.tif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Arecibo_Radiotelescopio_SJU_06_2019_7472.jpg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Frank_Drake_-_edit.jpg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BlackHole_Lensing.gif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Cyanobacterial-algal_mat.jpg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Voyager2_1977-2019-overview.png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Cumberland_Falls_meteorite.jpg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Arabidopsis_thaliana.jpg
https://en.wikipedia.org/wiki/File:Mars_Global_Remote_Sensing_Orbiter_and_Small_Rover_at_IAC_Bremen_2018_09.jpg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Viking_lander_model.jpg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Iridium-4_Mission_(25557986177).jpg
nrck999@gmail.com
#보이저#우주다큐
광속의속도로 : 1년만 지나도 새로운 기술들이 나오는데 45년전에 보낸 우주비행체가 아직도 비행중이고 연락중이라는게 그당시 얼마나 기술집약해서 만들었는지 짐작되네요
Hee-Ya히야 : 이 2시간 영상을 만들기위해 얼마나 많은 시간을 할애하시어 제작에 힘 쓰셨을지 가늠이 안된다... ㄷㄷ 우주아저씨 존경합니다!
lin Tubu : 근데 진짜 이 아저씨 영상은 진짜 우주 연구가 어떻게 되어가고 있는지 세세하게 알려주는 영상이라서 보면 내용이 항상 신기하고 새로움 ㅋㅋㅋ
유튜브로 이런 정보들을 너무 쉽게 접근할 수 있어서 신기하기도... 그리고 저런 참고영상들도 갠적으로 맘에 들고 ㅎㅎ
김윤정 : 보이저호가 45년간 우주를 비행하며 아직도 약하게 신호를 보낸다는데 놀라움과 경이로움을 느낍니다 성간우주에 있는 보이저호는 인간이 만든 탐사선중 가장 위대한 걸작이고 영웅입니다
홍익인간 : 존경합니다
이런 전문적이고 교육적이고 미래지향적인 방송을 유튜브로 공짜로 시청할 수 있어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영어버젼 위주로 하신다면 구독자 1억 찍을 수 있으리라 확신합니다
우주개발에 진심인 큰행님들이 반드시 키워줄거라 확신합니다
돈이 목적이 아니라면 당신은 진정한 성인이십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