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쁜 목조 주택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히카루 조회 9회 작성일 2023-02-21 12:56:05 댓글 0

본문

전원주택 목조주택 말고, 철근콘크리트 하세요. 철콘집 아니면, 평생 보수하면서 살아야 해요. (조립식주택,모듈러주택,경량철골주택,스틸하우스,컨테이너하우스,소향주택,단독주택)

목구조 주택에 9년 살았는데 진짜 이건 아니에요. 전원주택 다시 짓는다면, 절대로 목조주택은 안해요. 무조건 철근콘크리트 할거에요. 왜 그런지 그 이유를 알려드리겠습니다.
김영진 : 목조주택은 철저히 업자 입장에서만 좋은 주택이죠... 그리니 업자들은 목조 지으라고 부추기는거라 봐도 됩니다... 그리고 물성 자체가 철콘하고 목조주택이 비교가 됩니까. ㅋ 시공 잘하면 된다는 소리도 웃긴게, 그런 논리면 시공잘된 철콘이 훨씬 튼튼하고 집주인 손 탈일 별로 없고, 단열도 우수합니다. 무엇보다도 자연재해에는 철콘하고 목조가 비교가 됩니까. ㅋ

친환경 소리도 견소리인게, 목조주택이 골조가 목조인거지, 단열재는 글라스울이나 연질폼 사용하고, 내장제는 석고보드 치는데 저런 자재들이 친환경일까요? 그리고 필연적으로 사용해야하는 osb 판넬은 나무 조각들을 본드 범벅으로 압착 시킨건 알고나 친환경 타령하는건 지 모르겠습니다. ㅋ 물론 인체 관련 기준이야 다들 통과된 제품들이겠지만 친환경 타령할거면 북미식 경량 목구조가 아니라 통나무로 아예 벽체까지 짓는 중목구조 주택을 짓던가요...

나무라서 숨쉰다, 습기조절 된다 이런 헛소리도 하는데, 나무 물먹으면 썩고 뒤틀립니다. ㅋ 북미식 목구조는 나무 골조와 자재들이 습기를 머금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항상 통배기 신경써서 짓고 박공으로 짓는 이유도 눈비가 다 흘러내려서 방수되게 하려는건데 가끔 보면 목구조 주택 평지붕으로 짓는 무식한 경우도 있더군요. 물론 통배기랑 방수 시공이 자신있으면 모르겠으나 과연 한국의 목구조 시공자들이 그런거 잘 할지. ㅋ

숨쉬는 나무집 원하면 철콘으로 짓고 내장재를 나무로 두르시는게 나을 거라 봅니다. 편백 나무 같은. ㅋㅋㅋ
김민권 : 귀촌 후 전원주택 생활 3년이 되었습니다. 너무나도 운좋게 마을 주민이 구옥 기와집을 허물고 직접 시공한 집을 사서 들어왔지요. 어나더마인드 님이 다른 포스팅에서 언급한 주의사항들을 대부분 피해간 집이었습니다. 작지만 야물딱집니다. 1층 철콘 21평, 2층 중목구조 8평인데 실내는 소나무로 마감을 하여 건강과 미관에도 더없이 좋습니다. 2층엔 의도적으로 화장실을 넣지 않았고 베란다용 외부수전만 따로 뽑았습니다. 청소할 때 유용해요. 2층 베란다는 조망이 워낙 좋아서 만족합니다. 다만 방수문제를 고려하여 전문업체에게 주기적 관리를 맡긴 경우입니다. 그분들 말이, "방수시공 하러 전국을 돌아다닙니다만 특히 목조주택들은 십여 년쯤 지나면서부터 대책이 안 설만큼 썩어들어갑니다"라고 하더군요. 평지에 남동향이고 주차 3대 가능하니 기본적으로 채광이 좋습니다. 집터가 도로바닥보다 1.5미터 정도 높아서 배수나 조망이 훨씬 양호하기도 하고요. 만 3년 살았는데 이렇다할 불편함이나 하자 같은 건 없었고요 그래서 참 운이 좋았다는 생각이 듭니다. 나같은 무지랭이 초보가 속 썩이지 않고 시골 입성에 성공했으니 말이죠. 처음으로 시골에 살아보는 건데 아무튼 저는 더없이 만족합니다. 마을 주민들의 텃세는커녕 걸핏하면 뭐 먹을 거 갖다주시는 바람에 황송할 지경이죠. 그래서 지난 연말엔 경로당에 과일 약간 사다드렸어요.^^
빛과소금 : 엄청나게 도움이 되는 정보입니다
그냥 단순한 자신만의 생각이 아닌 경험과 지식으로 말씀해주시니 훨씬 신뢰가 가네요
백퍼 공감가는 내용입니다
yongmoon ji : 90프로 공감합니다. 작년 목조 or 철콘으로 고민하다 철콘으로 결정해서 건축했지요. 건축비도 큰차이 없었습니다. 순간의 결정이지만 탁월한 결정이라 생각하고 잘살고 있습니다. 목조가 나쁜 구조는 아니지만, 가장큰 이유는 우리나라 기후엔 맞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잘봤습니다.
록키 : 목조와 철큰 전원주택 다 살아본 저로서는 정말 공감되는 내용이네요. 특히 폭우 올때... 목조는 비새는 거 항상 걱정해야함. 지붕에서 비가 새서 천장이 온통 젖고 그로 인해 누전까지 걱정해야 하는 상황. 끔찍함. 난방도 요즘 철콘 기술이 좋아서 그런지 목조보다 훨씬 따뜻함.

'이 영상' 하나면 목조주택 왜 이렇게 짓는지 알게됩니다.

#경량목구조 #목조주택 #골조 #프레이밍

제가 좋아하는 "The Honest Carpenter" 채널에서 소개된 목조주택 영상을 참고해서 만든 영상입니다.
내용이 너무 좋아서 구성이나 스타일을 그대로 흉내내봤어요~
원본이 궁금하신분들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왕오빠 : 목조 주택의 시공방식은 다양하죠 ... 여러 나라들이 목조 주택 시공방식도 다양하고.. 딱 뭐가 정답이다라고 할순 없고.. 시공기술자라 칭하며 간혹 몇몇 유튜버를 까는 댓글들이 있는데. 깔건 아니라고 봅니다. 폭넓게 내다 봐야죵 . 외국에 비해 특히 한국은 바닥 난방 방식을 쓰기 때문에 이걸가지고 목조주택에 바닥난방을 하게 되면 목구조에 하자가 생긴다 들 하는 분들도 있는데 그건 시공방식에 따라 아닐수도 있죠.. 난 원칙적인 목구조로 집을 짓겟다 싶으신분은 걍 미국식 방식을 쓰세요.. 좌식 생활 양식인 대한민국엔 좀 안맞지 않나 싶긴 하지만..
Hue Design : 항상 궁금했던 부분이었는데 어려운 부분을 쉽게 설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Minhee Kang :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Byungjin Jung : 전체적으로 설명 잘 되어 있습니다! 다만 한 가지, 일반 가정집에 전단벽에 철물 브레이스 필요 없습니다. 좌우로 오는 힘들은 쉬딩과 스터드 사이에 못으로 견디게 됩니다. 만약에 큰힘에 견디게 하려면 못을 조금더 촘촘하게 박으면 됩니다. 네일건이 있으니 철물 브레이스 없이 쉽게 하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힘들이 벽 양 끝으로 가게 되고 그 양끝에 홀다운이 필요 합니다.
그리고 한국에서 지어지는 일반 주택에서 트러스 지붕은 필요도 없을 정도로 경간이 짧습니다. 그래서 보통 그냥 래프터로 지붕을 올리지요. 만약에 경간이 길어져서 트러스로 해야할 경우에 트러스 모양을 바꿔 다락 공간을 만들 수도 있습니다.
John Smith : 설명 참 잘해주시네요. 목조주택이 좋아도 선뜻 못하는 이유가 있는데 설명을 잘해 주시네요.

예쁜 작은주택 18평 방2개 화장실 2개 010-5441-5872 시공해서 완공까지 편안하게 마쳐드림. 목조주택 현장시공 감사합니다. 꼭 구독 좋아요 알람 부탁드립니다.

작고 예쁜 18평 목조주택 현장시공 했습니다. 방2개 화장실 2개 다용도실겸 보일러실 거실등ㆍㆍ외벽은 스타코 마감. 지붕 리얼징크 마감.
일층 입니다. 주택시공함에 있어서 편안하고 안전하고 확실하게 지어드리며 조금도 분쟁이 없이 일해 드리겠습니다. 항상 일을하고 있어서 뎃글을 달지못하는점 죄송하게생각합니다. 전화를 주시면 친절하게 상담해 드리겠습니다.010-5441-5872
감사합니다.
구독 알람 좋아요. 꼭 부탁드립니다.
백백종두 : 그냥건축비공개하시지요 뭘전화좀주십시요 하시나요
애자 차 : 구조를 너무 예쁘게 설계하셨네요~저도 시골에 소형주택 생각중이에요 ~
윤크라운 : 집이 아담하니 이쁘네요~견적이 궁금합니다^^
비비 : 크지 않고 아담하니 딱 살기 좋은 집이네요 .
구독 누르고 갑니다.
김영수 : 사장님
추운 날씨에도
불구하고 좋은 집
좋은 영상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행복한 주말
보내시고
건강 챙기시기를,,,
감사합니다 ~~♡

... 

#예쁜 목조 주택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3,993건 542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www.uljinpension.kr. All rights reserved.  연락처 : cs@ep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