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속기 종류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스테빠뉘 조회 15회 작성일 2023-04-19 21:04:30 댓글 0

본문

감속기의 종류와 사용법 EP.01 감속기의 종류

#기어 #사이클로이드 #하모닉감속기

정말 오랜만에 돌아왔습니다!

이번에는 감속기에 대해 알아볼까요?
@user-qn4hl9pr5w : 3D 프린터로 기구를 만들다가 베어링에 대한 이해가 필요와서 들어왔다가 모든 컨텐트를 봤습니다. 기계공학을 전공하지 않은 사람들이 쉽게 배울 수 있는 설명 좋았습니다. 언제쯤 다시 컨텐트들이 올라올까요. 혹시나 컨텐트를 계속하신다면 윤활제의 종류에 대해서도 한번 설명이 되면 좋겠습니다.
@jslim8639 : 더 많은 영상 올려주시면 좋겠어요ㅜㅜㅜ
@user-gy7fw6hj8p : 신선하고 양질의 채널이네요 다들 기다리시는거 같네요
저도마찬가지구요^^
@user-gc7jf1or7p : 하모닉 감속기에 대해 요즘 공부중인데, 잘 모르겠네요ㅠㅠ 영상이 하루빨리 올라오길 바랍니다~
@user-sl8li1zb5r : 언제쯤 다시 올려주시는지 ㅠㅠ 간간히라도 올려주시면 너무 감사드릴것같습니다 ㅠㅠ

기어모터 감속기의 원리,종류,사용목적과 설계에 대해 알아보자.

감속기 설계기능 더 보기▶https://bit.ly/3JcRJTH

감속기란무엇인가?
[reducer]

기계 한 축에서 다른 축으로 동력을 전달할 때, 회전 속도를 줄이는 장치. 톱니바퀴식, 유체식, 마찰식을 말하며 높은 회전 출력 토크를얻을 목적으로 사용되며 감속비율, 출력토크, 백래시, 회전정밀도, 모터의 취부방법 등을 고려하여 선정된다.
자료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감속기의 원리는 구동축과 피동축의 원주 속도는 항상 같은 것을 이용한다. 구동축과 피동축은 일반적으로 기어, 벨트, 체인에 걸려 돌아가게 된다.

구동축이 10을 돌면 피동축도 10을 돌아야 정상이지만 구동축보다 피동축의 직경이 크게되면 피동축은 10보다 적게 돌아야 원주속도가 길게된다. 이런 역할을 감속기가 하게되는 것이다.


#감속기 #모터설계 #기어설계

솔리드웍스 3DCAD와 구조해석의 모든 정보!
3DCAD,구조해석,CAD,CAE 전문기업
SINCE 1997

#솔리드웍스 #SOLIDWORKS #3DCAD #3D모델링 #CAE #구조해석 #CFD

홈페이지 https://www.prism21.co.kr
블로그 https://blog.naver.com/prismco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prism21
카카오 https://pf.kakao.com/_CIxbyd
Derek. 지호 Kim : 자료 감사합니다. 감속기 성능 및 내구성 평가 기준으로 본다면, 백래쉬 외에 어떤 것을 통해 객관적으로 비교할 수 있을까요?
3-STAR 박군진 : 감속기에 대해 도움받고갑니다.
감사합니다.
니까야 (빠알리 대장경) : 최고입니다.
썬테크 :

BLDC 모터 웜기어 감속기

[핫클립] 국내 최초 국산화에 성공한 정밀 감속기 / YTN 사이언스

제조, 생산업, 서비스업 등 여러 산업 분야에서 활용하는 산업 로봇.
로봇의 핵심적인 중추 역할은 바로 '감속기'
특히 정밀 감속기는 반도체 산업에 필수로 필요하다고 하는데…
전량 수입에 의존해야 했던 감속기 기술을 국내에서 최초로
국산화에 성공하고 개발한 오늘의 기술자를 만나보자.

========================================
※ Full 영상 ▶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감속기 #정밀감속기 #로봇 #산업로봇 #반도체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185\u0026key=202208261640503502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mkx : 대단한 노력에 박수를 보냅니다 지속된 성장은 꾸준한 노력으로 1등 에서 특 등으로 류재완 대표 님 화이팅 물론 회사원 모두 축하와 화이팅 입니다^^
SY Mrs.Robot : 축하드립니다. 우리나라도 경쟁력 있는 로봇이 꾸준히 발전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김Dangsu : 당신들의 열정과 노고를 응원합니다
bandi : 베어링 국산화와 소재 국산화 끝없는 실험연구 베이스로 연구개발이 이루어 지고 학문으로 발전시켜서 세계에서 우뚝 서는 그날이 와야합니다
SJ : 아쉽긴 하지만 아직 많은 산업현장의 대형 정밀 설비들이 일제 독일제 입니다 차근차근 기술발전이 되어야 겠고 많지 않은 수요에 시장진입이 어렵습니다 예를 들면 저제품ㄹ 국산화 했더라도 저걸 만드는 설비들은 독일 일제 들입니다

... 

#감속기 종류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3,993건 508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www.uljinpension.kr. All rights reserved.  연락처 : cs@ep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