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관리직채용
페이지 정보
본문
[끝난채용입니다]2021년 교육청 시설관리직 채용공고 떴습니다
––––––––––––––––––––––––––––––
Campfire by Scandinavianz https://soundcloud.com/scandinavianz
Creative Commons — Attribution 3.0 Unported — CC BY 3.0
Free Download / Stream: https://bit.ly/_campfire
Music promoted by Audio Library
––––––––––––––––––––––––––––––
뚱이 : 이번 해양경찰 필기시험에 나름 괜찮은 필기점수를 받았습니다 나머지 일정 무사히 마쳐서 꼭 합격하겠습니다
꿈도전 : 시설관리직 정보 잘보았습니다.
저도 해군대위 전역후 해경에 응시하였으나 정보지기님처럼 철저히 준비를 하지 못하여 해경이아닌 다른 공무원으로 근무중입니다.
그동안의 영상을 보며 비슷한 가치관을 가지고 있는거 같아 가깝게 느껴지네요.
현재 7년 정도 근무한 현재의 직장(연고지)에서 지방직(연고지)으로 옮기려 공부중입니다. 어느직장이든 만족은 있을수 없지만 향후 후회를 덜하기 위해 옮기려해요. 당연히 직급도 낮춰서요^^ (시설관리직은 아니고 극소수 직렬로 이동 하려합니다)
많은 고민이 있었지만 정보지기님 영상보며 다시금 마음 잡아봅니다.
포포 : 좋은정보 감사드립니다. 전에 올려주신 시설관리직이 하는 일에 대한 영상도 잘 보았는데 교육청에서 뽑는 일반전기직은 어떤 일을 하는시 아시나요? 뽑는 인원이 극소수라 정보를 찾기가 어렵네요. 교육청소속 일반 전기직도 시설관리직과 같이 학교시설을 관리하되 전기쪽만 담당하는 걸까요...?
DongHyun : 23년도 교육청 시설관리직 준비하려고하는데 한국사,사회는 어떻게 준비하면 될까요?
수능특강으로 준비할까 고민 중입니다.
김창한 : 경상남도양산에 살고있음 현실적으로 너무
공부를아니하고 양산외지역에서
근무하는것 사실 형편상 간절하미 없는네요
그래도 마음속한구석은 되고싶은 마음
예전에 밥언하고 시설직했는데
조금 후회스럽네요 이제는 현실적으로
양산이나 부산쪽으로 생각해야될뜻
좋은정보 감사
(※시청자사연) 올해 33살 남자입니다 공공기관 시설관리직으로 근무하고 있는데 대기업 생산직 계약직 합격했습니다. 가도 될까요?
○ 트위치 방송국 : https://www.twitch.tv/willow4052
○ 사연, 썰 문의: real609@naver.com
○ 트윕주소: https://twip.kr/donate/willow4052
○ 투네이션 주소: https://toon.at/donate/636714096830479848
○ 아프리카 방송국: https://afreeca.com/real609
#시청자사연 #33살남자 #시설관리직 #대기업생산직 #계약직채용
#4조3교대 #2년계약직 #디스플레이 #타지근무
@sanahn9117 : 정규직도 아니고 계약직인데 이걸 고민하다니;
@user-pt3zt8bz2c : 업무강도 차이 상당할거고 이십대 중후반이면 몰라도 33살에 비정규직들어가면 낙동강 오리알 됩니다
@user-sq4lg9qv1m : 기존 직장이 조건상 나은것 같은데...
다만 누수 세면대막힘 배수펌프막힘
비데수라 변기탈거 오수관막힘 등
추악한 일이 진저리나서 '탈시설'이
간절하다면 이직이 나을수도...
@user-sn1fn8xc6h : LG디스플레이 현직자입니다
저도 비추입니다
글쓴이 나이가 좀 있으시고
계약직이라 애매합니다
원서 접수 인원이 부족해서 지원하면 왠만하면 합격할겁니다
업무는 계약직은 어려운건 안 시키는데
몸은 좀 힘들수있어요
그래도 할만할겁니다
신입사원들이 느끼기에 블라인드에
기업문화가 좀 꼰대라는게 약간있고요
이건 신입이랑 기존사원 나이차이가 많아서 어쩔수없습니다
대기업 체험 삼아 다니기는 좋지만 장기적으론 비추입니다
@user-gx9yn7iy9h : 전기와소방 자격증 만 취득하시면 나중에 건물소장 할수있어요 건물경력만 싸으면
전기기사가 말하는 시설관리 계약직 3년차 느낀점 연봉,장점,단점,업무내용 등
후원은 컨텐츠제작과 김소장 살림살이에 도움이됩니다 감사합니다
https://toon.at/donate/637582079748826859
*설명을 돕기위한 복장일뿐 특정 기업 인물 업체 회사와는 무관한 내용임을 미리 고지드립니다 *
21살에 전기산업기사 취득후 직접 시설관리일을 3년조금넘게하면서 느낀점과 정보들입니다 시설관리 직 하는일 전망 연봉 급여 등이 나오니 도움되셨음좋겠네요 주관적인 견해일뿐이니 오해는 말아주세요~
#김소징tv #전기기사취업 #시설관리
▶추천영상
▶해운대 마린시티 제니스 :
▶해운대 마린시티 아라트리움 :
▶해운대 마린시티 월드마크 :
▶인스타그램 : https://www.instagram.com/ggg0n/
▶네이버 블로그 : http://blog.naver.com/hacker_gon
김소장tv : https://naver.me/FbiWm2w4 100년전통의 양조장에서만든 명품 건물주 주문
eom감자 : 오 열심히 사시는 모습 화이팅 입니다
전기기사 전기왕 정원장 : 21살에 전기 산업기사를 획득하셨다니 정말 대단하십니다!
전기기사가 일하는 근무 환경으로 인해 이직을 고려하는 사람들이 많은 거 같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영상 부탁드립니다. ^^
FOREVER __ : 저도 전문대 졸업학년을 앞두고 휴학해서 전기산업기사 따고 다른 자격증들도 따며 내년에 공기업 준비하려하는 학생인데 현직에서 일하시는 선배님 얘기들어보니 역시 현장은 쉽지않네요ㅠㅠ
꼭 공기업들어가야겠다는 마음을 다시 먹게되네요!!!
영상 잘 봤습니다
나르실 : 김소장님! 먼저 유익한 영상 감사드립니다. 저도 영업직으로 일을 하다가 전기 쪽 자격증을 따서 취업하기로 마음을 정했는데 주변에 전기 관련 일 하시는 분이 안계셔 정보 얻기가 어려워 유튜브 찾아보다가 여러 영상들 중 제일 와닿아 끝까지 보고 질문까지 남기게 됐습니다.
질문 내용은 제가 고졸에 영업직으로 일을 하다 보니 전기산업기사 응시자격요건이 안되더라고요. 그래서 자격을 채울 방법을 두가지로 나눠봤는데.
첫째, 학점 은행제로 41학점을 만들고 산업기사를 바로 취득한다.
둘째, 기능사 부터 따고 관련업종에서 1년 경력을 쌓은 후 산업기사를 취득한다.
어떤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생각하시는지 김소장님께 의견 구해봅니다.
––––––––––––––––––––––––––––––
Campfire by Scandinavianz https://soundcloud.com/scandinavianz
Creative Commons — Attribution 3.0 Unported — CC BY 3.0
Free Download / Stream: https://bit.ly/_campfire
Music promoted by Audio Library
––––––––––––––––––––––––––––––
뚱이 : 이번 해양경찰 필기시험에 나름 괜찮은 필기점수를 받았습니다 나머지 일정 무사히 마쳐서 꼭 합격하겠습니다
꿈도전 : 시설관리직 정보 잘보았습니다.
저도 해군대위 전역후 해경에 응시하였으나 정보지기님처럼 철저히 준비를 하지 못하여 해경이아닌 다른 공무원으로 근무중입니다.
그동안의 영상을 보며 비슷한 가치관을 가지고 있는거 같아 가깝게 느껴지네요.
현재 7년 정도 근무한 현재의 직장(연고지)에서 지방직(연고지)으로 옮기려 공부중입니다. 어느직장이든 만족은 있을수 없지만 향후 후회를 덜하기 위해 옮기려해요. 당연히 직급도 낮춰서요^^ (시설관리직은 아니고 극소수 직렬로 이동 하려합니다)
많은 고민이 있었지만 정보지기님 영상보며 다시금 마음 잡아봅니다.
포포 : 좋은정보 감사드립니다. 전에 올려주신 시설관리직이 하는 일에 대한 영상도 잘 보았는데 교육청에서 뽑는 일반전기직은 어떤 일을 하는시 아시나요? 뽑는 인원이 극소수라 정보를 찾기가 어렵네요. 교육청소속 일반 전기직도 시설관리직과 같이 학교시설을 관리하되 전기쪽만 담당하는 걸까요...?
DongHyun : 23년도 교육청 시설관리직 준비하려고하는데 한국사,사회는 어떻게 준비하면 될까요?
수능특강으로 준비할까 고민 중입니다.
김창한 : 경상남도양산에 살고있음 현실적으로 너무
공부를아니하고 양산외지역에서
근무하는것 사실 형편상 간절하미 없는네요
그래도 마음속한구석은 되고싶은 마음
예전에 밥언하고 시설직했는데
조금 후회스럽네요 이제는 현실적으로
양산이나 부산쪽으로 생각해야될뜻
좋은정보 감사
(※시청자사연) 올해 33살 남자입니다 공공기관 시설관리직으로 근무하고 있는데 대기업 생산직 계약직 합격했습니다. 가도 될까요?
○ 트위치 방송국 : https://www.twitch.tv/willow4052
○ 사연, 썰 문의: real609@naver.com
○ 트윕주소: https://twip.kr/donate/willow4052
○ 투네이션 주소: https://toon.at/donate/636714096830479848
○ 아프리카 방송국: https://afreeca.com/real609
#시청자사연 #33살남자 #시설관리직 #대기업생산직 #계약직채용
#4조3교대 #2년계약직 #디스플레이 #타지근무
@sanahn9117 : 정규직도 아니고 계약직인데 이걸 고민하다니;
@user-pt3zt8bz2c : 업무강도 차이 상당할거고 이십대 중후반이면 몰라도 33살에 비정규직들어가면 낙동강 오리알 됩니다
@user-sq4lg9qv1m : 기존 직장이 조건상 나은것 같은데...
다만 누수 세면대막힘 배수펌프막힘
비데수라 변기탈거 오수관막힘 등
추악한 일이 진저리나서 '탈시설'이
간절하다면 이직이 나을수도...
@user-sn1fn8xc6h : LG디스플레이 현직자입니다
저도 비추입니다
글쓴이 나이가 좀 있으시고
계약직이라 애매합니다
원서 접수 인원이 부족해서 지원하면 왠만하면 합격할겁니다
업무는 계약직은 어려운건 안 시키는데
몸은 좀 힘들수있어요
그래도 할만할겁니다
신입사원들이 느끼기에 블라인드에
기업문화가 좀 꼰대라는게 약간있고요
이건 신입이랑 기존사원 나이차이가 많아서 어쩔수없습니다
대기업 체험 삼아 다니기는 좋지만 장기적으론 비추입니다
@user-gx9yn7iy9h : 전기와소방 자격증 만 취득하시면 나중에 건물소장 할수있어요 건물경력만 싸으면
전기기사가 말하는 시설관리 계약직 3년차 느낀점 연봉,장점,단점,업무내용 등
후원은 컨텐츠제작과 김소장 살림살이에 도움이됩니다 감사합니다
https://toon.at/donate/637582079748826859
*설명을 돕기위한 복장일뿐 특정 기업 인물 업체 회사와는 무관한 내용임을 미리 고지드립니다 *
21살에 전기산업기사 취득후 직접 시설관리일을 3년조금넘게하면서 느낀점과 정보들입니다 시설관리 직 하는일 전망 연봉 급여 등이 나오니 도움되셨음좋겠네요 주관적인 견해일뿐이니 오해는 말아주세요~
#김소징tv #전기기사취업 #시설관리
▶추천영상
▶해운대 마린시티 제니스 :
▶해운대 마린시티 아라트리움 :
▶해운대 마린시티 월드마크 :
▶인스타그램 : https://www.instagram.com/ggg0n/
▶네이버 블로그 : http://blog.naver.com/hacker_gon
김소장tv : https://naver.me/FbiWm2w4 100년전통의 양조장에서만든 명품 건물주 주문
eom감자 : 오 열심히 사시는 모습 화이팅 입니다
전기기사 전기왕 정원장 : 21살에 전기 산업기사를 획득하셨다니 정말 대단하십니다!
전기기사가 일하는 근무 환경으로 인해 이직을 고려하는 사람들이 많은 거 같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영상 부탁드립니다. ^^
FOREVER __ : 저도 전문대 졸업학년을 앞두고 휴학해서 전기산업기사 따고 다른 자격증들도 따며 내년에 공기업 준비하려하는 학생인데 현직에서 일하시는 선배님 얘기들어보니 역시 현장은 쉽지않네요ㅠㅠ
꼭 공기업들어가야겠다는 마음을 다시 먹게되네요!!!
영상 잘 봤습니다
나르실 : 김소장님! 먼저 유익한 영상 감사드립니다. 저도 영업직으로 일을 하다가 전기 쪽 자격증을 따서 취업하기로 마음을 정했는데 주변에 전기 관련 일 하시는 분이 안계셔 정보 얻기가 어려워 유튜브 찾아보다가 여러 영상들 중 제일 와닿아 끝까지 보고 질문까지 남기게 됐습니다.
질문 내용은 제가 고졸에 영업직으로 일을 하다 보니 전기산업기사 응시자격요건이 안되더라고요. 그래서 자격을 채울 방법을 두가지로 나눠봤는데.
첫째, 학점 은행제로 41학점을 만들고 산업기사를 바로 취득한다.
둘째, 기능사 부터 따고 관련업종에서 1년 경력을 쌓은 후 산업기사를 취득한다.
어떤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생각하시는지 김소장님께 의견 구해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