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한배달
페이지 정보
본문
[추적60분 RE:] 일당 10만원 위해 신호위반...배달대행 생긴 후 더 위험해졌다는 배달 생태계 | KBS 170322 방송
#배달대행 #집배원 #택시
방송일시 : 2017년 3월 22일
추적 60분 '고객 만족 실태 보고 1편 - 죽음을 부르는 배달전쟁' 편
24시간 꺼지지 않는 대한민국의 불빛. 이곳의 노동자들은 쉼 없이 달리고 있다. 전화와 컴퓨터, 스마트폰 한 대로 일상에 필요한 대부분의 것들을 해결할 수 있는 시대, 더 빠르고 더 편리해진 세상은 얼핏 당연해보이지만, 그 이면엔 불편한 진실이 숨어있다. 고객, 즉 소비자가 ‘신속함’과 ‘편리함’을 누리면 누릴수록, 그 이면에는 더 ‘위험’하고 ‘열악’한 상황에 놓이는 누군가가 있는 것이다. 고객의 권리가 극단적으로 존중받는 사회, 대한민국은 사실 과잉서비스 사회다. ‘고객 만족’이라는 허울 아래는, 기업의 극단적 이윤 추구와 이에 고통받는 노동자가 있다. 대다수 구성원이 소비자이자 곧 노동자인 사회에서, 모두가 만족할 만한 정도의 ‘속도’와 ‘편리함’은 어떻게 찾아야 하는 걸까. 《추적 60분》은 우리 사회의 노동력은 과연 올바른 방향을 향해 가고 있는지 묻고자 했다.
■ 전투콜, 속도는 높이되 책임은 없다
대한민국의 또 다른 이름은 ‘배달 공화국.’ 음식은 물론 꽃과 택배, 각종 심부름까지 안 되는 게 없는 배달 서비스의 나라다. 최근엔 아예 배달만을 전문으로 하는, 신종 ‘배달대행업체’들이 등장했다. 음식점들로부터 수수료를 받고, 스마트폰 어플을 통해 배달원과 연결시켜주는 것. 취재진은 일명 ‘전투콜 배차’로 불리는 ‘배달대행업체’의 배달원 이민재씨(가명)의 전쟁 같은 일상을 따라가봤다. 신호위반과 중앙선 침범은 물론, 인도와 차도를 넘나들며 무법질주를 하다 보니 아찔한 순간도 한두 번이 아니다. 무엇이 이들을, 사고의 위험으로 몰아넣고 있을까.
■ 배달원은 노동자가 아니라 사장님?
2011년, 등록금을 벌기 위해 피자 배달 아르바이트를 하던 19세 청년이 사망하면서, 이른바 ‘30분 배달제’에 대한 사회적 논란이 확산됐다. 결국 해당 업체는 30분 배달제를 폐지했다. 그런데 지난해, 또 한 명의 패스트푸드점 배달원이 택시와 충돌해 사망하면서, 다시 문제가 불거졌다. 숨진 배달원이, 10분 더 빨라진 ‘20분 배달’에 쫓기고 있었다는 것! 문제는 빨라진 속도만이 아니다. 4년 전 어려운 집안 형편으로 오토바이에 올랐던 18살의 이상우 씨(가명). 배달 아르바이트를 하던 도중, 평생 돌이킬 수 없는 상처를 입었다. 척수 손상으로 인한 하반신 마비. 배달 중 일어난 사고였던 만큼 이씨는 근로복지공단으로부터 ‘산업재해’를 인정받았지만, 이후 배달대행 업주는 치료비를 낼 수 없다며 근로복지공단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상우 씨가 업체에 소속된 근로자가 아니라, 스스로 콜을 받아 건당 수입을 챙겼던 개인사업자라는 것! 속도는 더 빨라졌지만, 사고 위험에 대한 부담은 ‘배달대행’이라는 이름으로, 청년들에게 떠넘겨지고 있는 상황. 과연 이대로 괜찮은 걸까.
■ 최근 1년간 집배원 10명 사망, 우체국에서 무슨 일이?
‘신속배달’의 압박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것은, 공공기관도 마찬가지다. 지난 2월 6일, 15년 간 성실하게 일했던 집배원 조만식(나이) 씨가 침대에서 홀로 숨진 채 발견됐다. 사인은, 돌연사의 대표적인 원인으로 꼽히는 ‘동맥경화에 따른 심정지.’ 유가족은 건강했던 조씨가 과도한 업무로 인해 사망한 것이라며 정밀 부검을 신청했다. 최근 1년 동안 숨진 집배원은 무려 10명. 그 중 대부분은 故조만식 씨처럼 4,50대의 비교적 젊은 나이에, 뇌심혈관계 질환으로 갑작스런 죽음을 맞았다. 우정사업본부는 2015년 민노총과 한국노총 등 여러 시민단체들이 조사한 ‘최악의 살인기업’ 4위를 차지했다. 대형 건설사들을 제외하면 가장 높은 순위. 속도에 쫓기고 과로에 시달리는 집배원들의 하루를, 《추적 60분》이 따라가봤다.
■ 택시, 공정속도를 말하다
소비자들의 편의라는 미명 아래 노동자들의 위험과 희생을 담보로 더 빨라지는 배달 서비스. 그러나 소비자 역시 돌아서면 노동자라는 굴레에서 벗어날 수 없다. 모두가 행복할 수 있는 ‘공정 속도’는 없을까. 2015년 7월에 출범한 한국택시협동조합은 기존의 택시회사들과 달리, 택시 기사들이 주인이다. 매일 회사에 납부해야하는 사납금에 쫓기는 대신, 조합 출자금을 낸 기사들이 지분을 공동 소유하고, 수익을 나눠 갖는 방식. 속도와 시간은 물론, 경제적으로도 여유로워지면서 사고율마저 낮아졌다는데.
《추적 60분》에서는 위험천만한 도로 위의 속도 경쟁을 추적하고 속도에 대한 정당한 대가는 무엇인지 ‘공정속도’를 생각해본다.
탐사 보도의 노하우와 정통 다큐멘터리의 기획력을 더했다! 《시사직격》
일본 강제동원 손해배상사건과 제주 4.3 군사재판 희생자들의 재심사건 담당.
거대한 국가 폭력에 항거하는 피해자의 곁을 묵묵히 지켰던 임재성 변호사와 함께합니다.
매주 금요일 밤 10시, KBS 1TV 방송
✔ 제보 : 010-4828-0203 / 시사직격 홈페이지 / betterkbs@gmail.com
▶홈페이지 : http://program.kbs.co.kr/1tv/culture/direct/pc/index.html
▶트위터 : https://twitter.com/KBSsisajg
▶페이스북 : https://www.facebook.com/kbssisajg1
▶인스타그램 : www.instagram.com/kbssisajg
@user-mf6bt1oq4v : 난 이렇게 배달하는사람보다 이런 오토바이랑 사고날 차주들이 안타깝네
@SuicideSquad45 : 저도 자동차 운전하는데 진짜 오토바이 배달원분들 먹고 살려고 한다는건 알고 있습니다만 법 , 신호 어기고 하지 맙시다. 겁나서 운전을 못하겠다.
진짜 사고 목격한것도 한두번도 아니고 무섭습니다 정말로...
@user-pp4ft9du2m : 영상이 다큐같아서 생생한 현장감이 느껴지네요 취재진분들의 노고가 느껴집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mn2tj3zc9d : 배달원들 위험운전 정말 심각합니다.
과속, 신호위반....강력하게 처벌해야합니다....
@KIM-ug8de : 대놓고 위반해가는 배달원이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그 사람들이 신기해서 잘 보고 갑니다
조금 특별한 배달 도계 가스 폭발. 전신화상으로 고통받는 한빈이의 이야기
한빈이[ http://www.doolbob.co.kr/414 ]지금은 몸에 여러 기능들이 떨어져있는 상태입니다.
- 걱정되는게 수술할게 너무 많아요. 서른번이 될지 마흔번이 될지.... 보험이 안되는 부분들도 많아서.. 수술비가 없어서 치료를 못해줄까봐 그게 걱정이에요...
위 영상을 공유해주시는 것만으로도 한빈이에게는 큰힘이 됩니다.
@user-ss2bq5io2f : 어쩜 나랑 똑같이 아이인데 얼마나 아팠니 지금 난 79프로 화상 4년째다 꼭 이겨내길 ^1
@MDASH0 : 한빈아 어린 나이에 감당할수 없을텐데
잘버텨줘서 고맙고 대견해
어머니 아버지도 힘드실텐데
너무 잘 버텨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zq8sc7dn3o : 얼마나 아팟을까 꼭 회복해서 꼭 하고싶은 거 꼭 이루세요
@user-pu8xb6ns1q : 가슴이 아프고 한빈이가 너무 대견하네요
지금은 많이 회복 되었을거라 믿을께요 ㅠ
한빈군 힘내요~~~!!
@user-jv6pi4hk6x : 아이가 큰 상처에 비해 성격이 밝길래 대단하다 싶었는데 아이도 아이지만 어머니도 대단하시네요 사랑도 많이 주고
잘 나가던 배달앱의 추락…"믿기지 않는다" (자막뉴스) / SBS
물가가 크게 올라 배달비를 줄이려는 추세가 뚜렷합니다.
적게는 3천 원부터 많게는 1만 원까지 나오는 배달비 낼 바에야 직접 가서 가져오겠다는 겁니다.
배달 음식 온라인 거래액은 6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이고 있고, 배달앱 3사의 월간 이용자는 전년 대비 16.6% 감소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영상으로 확인하시죠.
#sbs뉴스 #배달앱 #물가
☞더 자세한 정보
https://news.sbs.co.kr/y/?id=N1007105122
☞[뉴스영상] 기사 모아보기
https://news.sbs.co.kr/y/t/?id=10000000121
▶SBS 뉴스 채널 구독하기 : https://n.sbs.co.kr/youtube
▶SBS 뉴스 라이브 : https://n.sbs.co.kr/youtubeLive , https://n.sbs.co.kr/live
▶SBS 뉴스 제보하기
홈페이지: https://n.sbs.co.kr/inform
애플리케이션: 'SBS뉴스' 앱 설치하고 제보 - https://n.sbs.co.kr/App
카카오톡: 'SBS뉴스'와 친구 맺고 채팅 - https://pf.kakao.com/_ewsdq/chat
페이스북: 'SBS뉴스' 메시지 전송 - https://www.facebook.com/sbs8news
이메일: sbs8news@sbs.co.kr
문자: #6000
전화: 02-2113-6000
홈페이지: https://news.sbs.co.kr/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sbs8news
트위터: https://www.twitter.com/sbs8news
카카오톡: https://pf.kakao.com/_ewsdq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sbsnews
@happyalways961 : 예전처럼 아파트 광고지판에 책처럼 음식점들 모아 놓고 시켜먹는 시스템이 다시 돌아오면 좋겠다.. 치킨 피자 족발 자장면 냉면 모두 다 있는 책자에 자주 시켜먹으면 배달 아저씨랑도 친분도 쌓고.. 가격도 저렴했고.. 망할 배달 업체들이 가격만 엄청 올려놓고.. 짜증남
@user-vw2og5rx5j : 밖에서 애초에 식사를 해결하거나, 방문포장 해서 들어오는 것이 현명할 듯 합니다. 여유 있으신 분들은 계속해서 배달음식 시켜드셔도 상관 없을 듯 하구요.
@user-hg8mq2rm6q : 이미 코로나 시기부터 포장해다 먹었습니다. 그땐 음식값이라도 지금보다 저렴했지만...지금은 어후.....배달은 아플때 말고는 포기합니다.
@user-tw5uy2fr7e : 비대면 시대도 점차 사라지고
배달 전문업체들의 처참한 위생상태가 발각된 뉴스들을 보면 더이상 배달시켜먹을 이유가 없습니다..
요즘 밀키트도 잘되어있고 한번 배달비에 3~6천원을 소비했던 지난날이 정말 아깝네요.
@wono73p : 자장면 시킬때 배달비 생각해본적 없던때가 그립다
#배달대행 #집배원 #택시
방송일시 : 2017년 3월 22일
추적 60분 '고객 만족 실태 보고 1편 - 죽음을 부르는 배달전쟁' 편
24시간 꺼지지 않는 대한민국의 불빛. 이곳의 노동자들은 쉼 없이 달리고 있다. 전화와 컴퓨터, 스마트폰 한 대로 일상에 필요한 대부분의 것들을 해결할 수 있는 시대, 더 빠르고 더 편리해진 세상은 얼핏 당연해보이지만, 그 이면엔 불편한 진실이 숨어있다. 고객, 즉 소비자가 ‘신속함’과 ‘편리함’을 누리면 누릴수록, 그 이면에는 더 ‘위험’하고 ‘열악’한 상황에 놓이는 누군가가 있는 것이다. 고객의 권리가 극단적으로 존중받는 사회, 대한민국은 사실 과잉서비스 사회다. ‘고객 만족’이라는 허울 아래는, 기업의 극단적 이윤 추구와 이에 고통받는 노동자가 있다. 대다수 구성원이 소비자이자 곧 노동자인 사회에서, 모두가 만족할 만한 정도의 ‘속도’와 ‘편리함’은 어떻게 찾아야 하는 걸까. 《추적 60분》은 우리 사회의 노동력은 과연 올바른 방향을 향해 가고 있는지 묻고자 했다.
■ 전투콜, 속도는 높이되 책임은 없다
대한민국의 또 다른 이름은 ‘배달 공화국.’ 음식은 물론 꽃과 택배, 각종 심부름까지 안 되는 게 없는 배달 서비스의 나라다. 최근엔 아예 배달만을 전문으로 하는, 신종 ‘배달대행업체’들이 등장했다. 음식점들로부터 수수료를 받고, 스마트폰 어플을 통해 배달원과 연결시켜주는 것. 취재진은 일명 ‘전투콜 배차’로 불리는 ‘배달대행업체’의 배달원 이민재씨(가명)의 전쟁 같은 일상을 따라가봤다. 신호위반과 중앙선 침범은 물론, 인도와 차도를 넘나들며 무법질주를 하다 보니 아찔한 순간도 한두 번이 아니다. 무엇이 이들을, 사고의 위험으로 몰아넣고 있을까.
■ 배달원은 노동자가 아니라 사장님?
2011년, 등록금을 벌기 위해 피자 배달 아르바이트를 하던 19세 청년이 사망하면서, 이른바 ‘30분 배달제’에 대한 사회적 논란이 확산됐다. 결국 해당 업체는 30분 배달제를 폐지했다. 그런데 지난해, 또 한 명의 패스트푸드점 배달원이 택시와 충돌해 사망하면서, 다시 문제가 불거졌다. 숨진 배달원이, 10분 더 빨라진 ‘20분 배달’에 쫓기고 있었다는 것! 문제는 빨라진 속도만이 아니다. 4년 전 어려운 집안 형편으로 오토바이에 올랐던 18살의 이상우 씨(가명). 배달 아르바이트를 하던 도중, 평생 돌이킬 수 없는 상처를 입었다. 척수 손상으로 인한 하반신 마비. 배달 중 일어난 사고였던 만큼 이씨는 근로복지공단으로부터 ‘산업재해’를 인정받았지만, 이후 배달대행 업주는 치료비를 낼 수 없다며 근로복지공단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상우 씨가 업체에 소속된 근로자가 아니라, 스스로 콜을 받아 건당 수입을 챙겼던 개인사업자라는 것! 속도는 더 빨라졌지만, 사고 위험에 대한 부담은 ‘배달대행’이라는 이름으로, 청년들에게 떠넘겨지고 있는 상황. 과연 이대로 괜찮은 걸까.
■ 최근 1년간 집배원 10명 사망, 우체국에서 무슨 일이?
‘신속배달’의 압박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것은, 공공기관도 마찬가지다. 지난 2월 6일, 15년 간 성실하게 일했던 집배원 조만식(나이) 씨가 침대에서 홀로 숨진 채 발견됐다. 사인은, 돌연사의 대표적인 원인으로 꼽히는 ‘동맥경화에 따른 심정지.’ 유가족은 건강했던 조씨가 과도한 업무로 인해 사망한 것이라며 정밀 부검을 신청했다. 최근 1년 동안 숨진 집배원은 무려 10명. 그 중 대부분은 故조만식 씨처럼 4,50대의 비교적 젊은 나이에, 뇌심혈관계 질환으로 갑작스런 죽음을 맞았다. 우정사업본부는 2015년 민노총과 한국노총 등 여러 시민단체들이 조사한 ‘최악의 살인기업’ 4위를 차지했다. 대형 건설사들을 제외하면 가장 높은 순위. 속도에 쫓기고 과로에 시달리는 집배원들의 하루를, 《추적 60분》이 따라가봤다.
■ 택시, 공정속도를 말하다
소비자들의 편의라는 미명 아래 노동자들의 위험과 희생을 담보로 더 빨라지는 배달 서비스. 그러나 소비자 역시 돌아서면 노동자라는 굴레에서 벗어날 수 없다. 모두가 행복할 수 있는 ‘공정 속도’는 없을까. 2015년 7월에 출범한 한국택시협동조합은 기존의 택시회사들과 달리, 택시 기사들이 주인이다. 매일 회사에 납부해야하는 사납금에 쫓기는 대신, 조합 출자금을 낸 기사들이 지분을 공동 소유하고, 수익을 나눠 갖는 방식. 속도와 시간은 물론, 경제적으로도 여유로워지면서 사고율마저 낮아졌다는데.
《추적 60분》에서는 위험천만한 도로 위의 속도 경쟁을 추적하고 속도에 대한 정당한 대가는 무엇인지 ‘공정속도’를 생각해본다.
탐사 보도의 노하우와 정통 다큐멘터리의 기획력을 더했다! 《시사직격》
일본 강제동원 손해배상사건과 제주 4.3 군사재판 희생자들의 재심사건 담당.
거대한 국가 폭력에 항거하는 피해자의 곁을 묵묵히 지켰던 임재성 변호사와 함께합니다.
매주 금요일 밤 10시, KBS 1TV 방송
✔ 제보 : 010-4828-0203 / 시사직격 홈페이지 / betterkbs@gmail.com
▶홈페이지 : http://program.kbs.co.kr/1tv/culture/direct/pc/index.html
▶트위터 : https://twitter.com/KBSsisajg
▶페이스북 : https://www.facebook.com/kbssisajg1
▶인스타그램 : www.instagram.com/kbssisajg
@user-mf6bt1oq4v : 난 이렇게 배달하는사람보다 이런 오토바이랑 사고날 차주들이 안타깝네
@SuicideSquad45 : 저도 자동차 운전하는데 진짜 오토바이 배달원분들 먹고 살려고 한다는건 알고 있습니다만 법 , 신호 어기고 하지 맙시다. 겁나서 운전을 못하겠다.
진짜 사고 목격한것도 한두번도 아니고 무섭습니다 정말로...
@user-pp4ft9du2m : 영상이 다큐같아서 생생한 현장감이 느껴지네요 취재진분들의 노고가 느껴집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mn2tj3zc9d : 배달원들 위험운전 정말 심각합니다.
과속, 신호위반....강력하게 처벌해야합니다....
@KIM-ug8de : 대놓고 위반해가는 배달원이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그 사람들이 신기해서 잘 보고 갑니다
조금 특별한 배달 도계 가스 폭발. 전신화상으로 고통받는 한빈이의 이야기
한빈이[ http://www.doolbob.co.kr/414 ]지금은 몸에 여러 기능들이 떨어져있는 상태입니다.
- 걱정되는게 수술할게 너무 많아요. 서른번이 될지 마흔번이 될지.... 보험이 안되는 부분들도 많아서.. 수술비가 없어서 치료를 못해줄까봐 그게 걱정이에요...
위 영상을 공유해주시는 것만으로도 한빈이에게는 큰힘이 됩니다.
@user-ss2bq5io2f : 어쩜 나랑 똑같이 아이인데 얼마나 아팠니 지금 난 79프로 화상 4년째다 꼭 이겨내길 ^1
@MDASH0 : 한빈아 어린 나이에 감당할수 없을텐데
잘버텨줘서 고맙고 대견해
어머니 아버지도 힘드실텐데
너무 잘 버텨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zq8sc7dn3o : 얼마나 아팟을까 꼭 회복해서 꼭 하고싶은 거 꼭 이루세요
@user-pu8xb6ns1q : 가슴이 아프고 한빈이가 너무 대견하네요
지금은 많이 회복 되었을거라 믿을께요 ㅠ
한빈군 힘내요~~~!!
@user-jv6pi4hk6x : 아이가 큰 상처에 비해 성격이 밝길래 대단하다 싶었는데 아이도 아이지만 어머니도 대단하시네요 사랑도 많이 주고
잘 나가던 배달앱의 추락…"믿기지 않는다" (자막뉴스) / SBS
물가가 크게 올라 배달비를 줄이려는 추세가 뚜렷합니다.
적게는 3천 원부터 많게는 1만 원까지 나오는 배달비 낼 바에야 직접 가서 가져오겠다는 겁니다.
배달 음식 온라인 거래액은 6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이고 있고, 배달앱 3사의 월간 이용자는 전년 대비 16.6% 감소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영상으로 확인하시죠.
#sbs뉴스 #배달앱 #물가
☞더 자세한 정보
https://news.sbs.co.kr/y/?id=N1007105122
☞[뉴스영상] 기사 모아보기
https://news.sbs.co.kr/y/t/?id=10000000121
▶SBS 뉴스 채널 구독하기 : https://n.sbs.co.kr/youtube
▶SBS 뉴스 라이브 : https://n.sbs.co.kr/youtubeLive , https://n.sbs.co.kr/live
▶SBS 뉴스 제보하기
홈페이지: https://n.sbs.co.kr/inform
애플리케이션: 'SBS뉴스' 앱 설치하고 제보 - https://n.sbs.co.kr/App
카카오톡: 'SBS뉴스'와 친구 맺고 채팅 - https://pf.kakao.com/_ewsdq/chat
페이스북: 'SBS뉴스' 메시지 전송 - https://www.facebook.com/sbs8news
이메일: sbs8news@sbs.co.kr
문자: #6000
전화: 02-2113-6000
홈페이지: https://news.sbs.co.kr/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sbs8news
트위터: https://www.twitter.com/sbs8news
카카오톡: https://pf.kakao.com/_ewsdq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sbsnews
@happyalways961 : 예전처럼 아파트 광고지판에 책처럼 음식점들 모아 놓고 시켜먹는 시스템이 다시 돌아오면 좋겠다.. 치킨 피자 족발 자장면 냉면 모두 다 있는 책자에 자주 시켜먹으면 배달 아저씨랑도 친분도 쌓고.. 가격도 저렴했고.. 망할 배달 업체들이 가격만 엄청 올려놓고.. 짜증남
@user-vw2og5rx5j : 밖에서 애초에 식사를 해결하거나, 방문포장 해서 들어오는 것이 현명할 듯 합니다. 여유 있으신 분들은 계속해서 배달음식 시켜드셔도 상관 없을 듯 하구요.
@user-hg8mq2rm6q : 이미 코로나 시기부터 포장해다 먹었습니다. 그땐 음식값이라도 지금보다 저렴했지만...지금은 어후.....배달은 아플때 말고는 포기합니다.
@user-tw5uy2fr7e : 비대면 시대도 점차 사라지고
배달 전문업체들의 처참한 위생상태가 발각된 뉴스들을 보면 더이상 배달시켜먹을 이유가 없습니다..
요즘 밀키트도 잘되어있고 한번 배달비에 3~6천원을 소비했던 지난날이 정말 아깝네요.
@wono73p : 자장면 시킬때 배달비 생각해본적 없던때가 그립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